'생존의 W이론'을 읽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존의 W이론'을 읽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기를 낚기 위해서는 낚시대 하나면 된다.

2. 발상의 전환 + 시대흐름 = 패러다임인가?

3. 프랑스-독일-영국의 체제를 Asia에서 본다.

4. 신바람 나도록, 억압된 실사구시 문화를....?

5. 백전백승, 백원의 해전 달인 충무공 이순신

(후기) 산업공학과 W이론의 연계성

본문내용

일을 완성하는 것이다. 위대한 지도자 역시 이러한 갑작스런 과제를 슬기롭게 해결해 나갔고, 전쟁터의 뛰어난 지도자 역시 생존위험의 순간순간을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으로 헤쳐 나간 것이다.
(후기) 산업공학과 W이론의 연계성
책을 모두 읽고 난 후, 나는 내 자신이 공부하고 있는 산업공학이라는 학문을 다시 보게 되었다. 책을 지은 이면우 교수는 스물 여섯 살에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를 창설했다. 그리고 W이론을 만든 것도 저자 본인이기 때문에 산업공학과 W이론은 (=)의 관계가 성립돤다고 과감하게 말할 수 있다. 내년이면 나도 스물 여섯 살이지만 뭔가 창의적인 일을 할 수 없다는 것에 그 동안 시대에 흐름에 맞추어서만 살아온 내 자신이 많이 후회가 된다.
원래 예술직종인 게임을 개발하면서 어렸을 적 하고 싶었던 창의적인 일을 해보려고 노력을 했었지만 사회에 부딪혀 좌절하였다. 하지만 좀 더 깊이있는 산업공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다시 접하게 되어 행복하다.
아직 산업공학의 개론 수준에도 못 미치는 지식을 가지고 있지만 산업공학은 여타 다른 전문적인 공학보다 좀 더 창의적이라고 생각한다. 시대의 변혁에 맞추어 끊임없이 변화해 왔기 때문이다. 그래서 산업공학을 공부하게 되면 예전 지식은 금방 시들해지고 새로운 것을 다시 창조하는 학문을 반복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예를들어 전기공학은 전기가 필요없을 때까지는 한번 배워 놓았던 지식이 오래오래 가지만 산업공학은 시대의 산업구조가 변할 때 마다 같이 변화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산업공학을 공부하게 되면 항상 깨어있는 정신과 사고력을 많은 나이에도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며 그만큼 멋지다고 본다. 이러한 것이 바로 W이론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하지만 워낙 넓고 방대하다 보니 진출 분야도 많아서 장인정신의 의미를 지니기에는 조금 어려운 듯 싶다. 그래서 여타 복수전공과 다른 전공의 지식을 추가로 더 실어주는 경우가 많다고 본다.
책을 읽기 전과 W이론을 알게 된 후의 나는 마음속에서 크게 눈을 떴다. 그리고 목표설정도 조금 더 분명해지고 침침한 안개속에서 빠져나갈 길의 흔적을 발견한 것이다. 앞으로 창의적인 배움에 있어서 무엇이 달라질 지는 알 수 없으나, 조금씩 발전해 나가는 내 자아 앞에서 나는 또 한 번 만족하고 있다.
끝으로 비록 중간고사 과제이지만 책을 읽게 하시어, 뭔가를 크게 남겨주신 담당교수님께 크게 감사드린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10.26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72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