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기여입학제도에 대한 이해와 찬반양론 및 나의 견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서론

II-(1) 대두배경 과 외국대학의 사례
<<기여입학제의 추진경과>>

II-(2) 찬, 반대론자의 의견
1. 찬성론자의 의견
2. 반대론자의 의견

II-(3)기여입학제도의 해결책

III.결론

참고문헌
참고사이트

본문내용

으로 인해 다른 학생들에게 기회를 뺏는 경우를 대비하여 학생선발인원은 정원 외로 정하고 일회성 기부에 의한 입학을 막기 위한 방법들도 여러 가지로 논의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기간을 정해서 얼마간의 시간이 흐른 후에 기부자의 자녀나 자손이 입학할 수 있는 자격을 얻을 수 있게 하는 방법도 논의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대학의 입장에서도 기부를 했다고 학습 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된 학생을 받아들일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각 대학에서는 성적 커트라인을 별도로 정할 것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뿐만이 아니라 최근 여러 대학들에서 엄격한 졸업 조건을 정하고 있는데 좀더 엄격한 관리를 도입하여 ‘들어오기만 하면 졸업은 쉽다’라는 생각을 버리도록 만드는 것도 방법입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기여내용과 용도의 투명화에 있습니다. 기여내용의 투명화를 통해 정부가 대학별 기부금 규모를 파악해 빈부격차에 따라 지원금을 적절히 조정, 중하위권 대학에 대한 지원금을 보다 늘려 재정난을 보전해 주는 등의 해결방안이 나오고 있습니다.
선진국의 대학들이 시행하기 있기 때문에 우리도 해야 된다는 것만으로는 명분이 약한 것처럼 교육적 측면만 부각시킬 수도 없는 것이며, 그렇다고 사회의 흐름만 쫓아갈 수도 없는 교육의 특성을 감안해야 합니다.
우리의 문화와 정서를 고려하지 않는 제도는 비록,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그에 따른 시행착오의 과정을 피할 수는 없는 것이므로, 새로운 제도로써 정착이 되고 안정화한다 하더라도, 어린아이가 재미 삼아 던진 돌에 개구리가 맞는 것처럼 희생을 감안해야 합니다. 선진국의 제도라 하여 어떠한 검증 절차 없이 교육 현장에 끼워 맞추기 식의 투입은 또 다른 모순과 폐단을 낳게 되므로, 제도를 시행하는 과정에서부터 첫 단추를 채우는 자세로 검증과 보완을 거듭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III.결론
지금까지 기여 입학제에 대한 정의와 대두배경, 찬반 의견, 해결책에 대해서 조사 해 보았습니다. 처음 연세대에서 기여입학제를 도입검토중이라는 말이 나왔을 때만 해도 대다수의 사람들은 이를 반대하였습니다. 그러나 몇 년이 지난 요즘에는 오히려 기여입학제를 도입하자 는 의견들이 점점 힘을얻어가고 있습니다.
물론 기여입학제를 시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도 분명히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우리사회는 새로 바뀐 입시제도로인해 학생들은 친구들끼리도 서로 경쟁심리에 휩싸여 진정한 친구마저도 적대자로 만들어가고 있고, 대입에 대한 압박감을 견디지 못해 자살을 하는 친구들도 속출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아직까지 이들에게 대입은 인생에서 가장 중요하다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치열한 입시전쟁을 치르고 있는 게 사실입니다.
이러한 현실을 보았을 때 우리나라에서는 기여입학제가 사회 여건상 아직은 시기상조란 여론이 지배적인 상황입니다. 기여입학제는 사회 통념상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수준이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합리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렇지 못했을 경우 능력에 따라 평등하게 교육받을 권리를 침해했다는 반발을 피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참고문헌
-김호진 <지식혁명시대의 교육과 대학> 박영사 2004
-월간중앙 2002년 12월호 <大논쟁, 기여입학제>
참고사이트
-구글 http://www.google.co.kr/
-네이버 http://www.naver.com/
-다음 http://www.daum.net/
-야후 http://kr.yahoo.com/
-중앙일보 http://www.joins.com/
-한겨레신문 http://www.hani.co.kr/
-한토마(한국대표토론마당) http://hantoma.hani.co.kr/main.asp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10.31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79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