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타자화 된 자아
3. 자본주의와 거대조직
4. 그러나 희망은 남아있는가
5. 나가며
2. 타자화 된 자아
3. 자본주의와 거대조직
4. 그러나 희망은 남아있는가
5. 나가며
본문내용
으로 쏜 상황에서 말라와 손을 꼭 붙잡고 있는 마지막 장면이 마지막 희망인 인간성, 또는 사랑에 대해서 말하려 한다는 것은 알겠으나 그 장면이 설득력을 가질만한 사건들이 더 필요하다.
5. 나가며
영화의 날카로운 시선과 빠른 전개, 배우들의 탁월한 연기력은 영화를 보는 내내 시선을 고정시키도록 한다. 강한 문제의식과 철학적 메세지가 관객들로 하여금 많은 생각을 하도록 한다. 그러나 메세지 전달에 너무 치중한 나머지 이 영화를 다시 볼 경우에 약간의 지루함을 느끼도록 한다. 해석의 모호성이나 상징성 보다는 “우리는 숨쉬는 쓰레기다!”, “우린 목적을 상실한 역사의 고아다!” 라는 등의 직접적 제시는 영화를 보는 재미를 반감시키기도 한다.
예상치 못한 반전은 나와 상대방, 선과 악 등의 이분법적인 사고에 젖어있는 우리들에게 경종을 울리고 ‘나는 타자다’라는 랭보의 말을 떠올리게 한다. 우리는 스스로의 사고방식과 행동들이 일관되고 합리적이라고 믿고 있지만, 사실 우리 안에 수많은 인격과 욕망들이 숨어 있음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자본주의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고층의 건물들이 모두 무너지는 마지막 장면은 인간이 소외되고 물질 만능인 이 현대사회에 대한 부정이 강하게 드러나 있다. 그러나 건물들이 무너진 후에 남는 것은 무엇인가. 건물의 폭파가 기존의 사회에 변화를 가져왔는가. 이 사회를 변화시킬 힘을 가졌을 것이라 생각했던 파이트클럽 역시 변질되고 퇴색되어 버렸다. 이 점은 결국 우리 사회는 변화될 수 없는 것인가 하는 회의를 느끼게 한다. 아쉽게도 영화를 보고나서 느껴지는 감정은 강한 허무주의뿐이다.
5. 나가며
영화의 날카로운 시선과 빠른 전개, 배우들의 탁월한 연기력은 영화를 보는 내내 시선을 고정시키도록 한다. 강한 문제의식과 철학적 메세지가 관객들로 하여금 많은 생각을 하도록 한다. 그러나 메세지 전달에 너무 치중한 나머지 이 영화를 다시 볼 경우에 약간의 지루함을 느끼도록 한다. 해석의 모호성이나 상징성 보다는 “우리는 숨쉬는 쓰레기다!”, “우린 목적을 상실한 역사의 고아다!” 라는 등의 직접적 제시는 영화를 보는 재미를 반감시키기도 한다.
예상치 못한 반전은 나와 상대방, 선과 악 등의 이분법적인 사고에 젖어있는 우리들에게 경종을 울리고 ‘나는 타자다’라는 랭보의 말을 떠올리게 한다. 우리는 스스로의 사고방식과 행동들이 일관되고 합리적이라고 믿고 있지만, 사실 우리 안에 수많은 인격과 욕망들이 숨어 있음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자본주의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고층의 건물들이 모두 무너지는 마지막 장면은 인간이 소외되고 물질 만능인 이 현대사회에 대한 부정이 강하게 드러나 있다. 그러나 건물들이 무너진 후에 남는 것은 무엇인가. 건물의 폭파가 기존의 사회에 변화를 가져왔는가. 이 사회를 변화시킬 힘을 가졌을 것이라 생각했던 파이트클럽 역시 변질되고 퇴색되어 버렸다. 이 점은 결국 우리 사회는 변화될 수 없는 것인가 하는 회의를 느끼게 한다. 아쉽게도 영화를 보고나서 느껴지는 감정은 강한 허무주의뿐이다.
추천자료
집으로-영화 비평
오아시스-영화 비평
선생 김봉두-영화 비평
선생 김봉두-영화 비평
집으로-영화 비평
두사부일체-영화 비평
영화<가루지기> 비평문- 성담론적 관점에서
우디 앨런(Woody Allen) 감독의 주요 영화 비평 (영화 감상)
[정신건강론] 정신건강관련 영화 비평문 - 영화 ‘지구를 지켜라’를 보고
문학의이해-‘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신이 애독, 애청한 소설작품...
[심리주의 비평] [문학文學의 이해 공통] ‘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
‘괴물’ 비평문 (괴물 감상평, 괴물 영화 감상문, 괴물 감상문, 괴물 영화 내용, 괴물 느낀~
영화감상과 비평-돼지의 왕, 파수꾼, 똥파리의 공통점과 차이점
영화 비평문 - 뷰티풀 마인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