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오1세의 교황권확립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레오1세의 교황권확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A. 연구의 목적
B. 연구의 방법과 범위

Ⅱ. 초대교회의 수위권 논쟁과 직분제도
A. 정의와 배경 그리고 확립
1. 정의
2. 배경
1)기독교의 공인
2)로마교회와 제국국가의 수위권 논쟁
3. 확립
B. 초대교회의 직분제도와 감독제도

Ⅲ. 레오1세의 로마교회 수위권 주장의 배경
A. 레오1세의 업적과 신학적 배경
B. 레오1세의 로마교회 수위권 주장의 성경적 배경
C. 역사적 배경

Ⅳ. 레오1세의 수위권 주장에 대한 개혁주의 입장에서의 비평
A. 개혁주의 신학적 입장에서의 베드로의 교황직 승계에 대한 비평
B. 개혁주의 성경적 입장에서의 베드로의 교황직 승계에 대한 비평

Ⅴ. 결론

본문내용

그룹은 에비온파인다. 그들은 신약성경의 초자연적인 내용들을 부정한다. 그 이야기들은 그 기원과 내적인 불일치성으로 의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모든 것을 믿을 수 있는 참조물들이 유세비우스의 저작물에서 나오며 그 참조물 들은 심지어 로마가톨릭 저작자들도 의심하고 있다. Ibid, p166
이러한 근거에 비추어 볼 때 베드로가 로마에서 복음 사역을 하며 교황으로 25년간 활동했다는 가톨릭의 주장은 받아들려 질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가톨릭에서 주장하는 베드로의 후계로소의 교황은 받아들여 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교황이 교회의 수장이 된다는 것은 더 더욱 받아들여 질수가 없는 것이다.
B. 개혁주의 성경적 입장에서의 베드로의 교황직 승계에 대한 비평
가톨릭에서 로마교황의 수위권의 주장의 성경적 지지를 받고 있다고 생각하는 말씀은 마16:18절 말씀에 그 근거를 두고 있다. 로마가톨릭에서는 이 말씀을 베드로라는 한 개인의 인격위에 교회를 세우시겠다는 뜻으로 이해하고 또 이를 마16:19절과 연결시킨 뒤 교황은 이러 베드로의 권위를 계승받은 사람이므로 교황이 없이는 교회도 없고 오직 교황이 다스리는 교회만이 교회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는 예수님의 말씀을 잘 못 이해한 데서 나온 오류 이다. 왜냐하면 먼저 반석 위에라 라고 할 때(마16:18)이는 베드로의 인격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베드로가 행한 신앙고백을 가리킨다. 이는 베드로가 남성명사인데 반하여 반석(헬라어, 페트라)이 여성 명사인 점에서도 강력한 지지를 받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성도들의 대표로서 신앙고백을 한 베드로는 바로 뒤이은 내용에서 ‘사단아 물러가라’ (23절)는 책망을 받는다. 이처럼 유한한 인간이 영원한 교회의 기초가 될 수 없다. 교회의 기초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 이시다. 그리고 간접적으로 신앙고백을 행하는 모든 그리스도인들 이다. 더욱이 베드로를 포함한 사도직은 복음전파의 출발점이라는 특수한, 시대적 일회적 사명이지 무슨 특별한 권한을 가진 것으로서 사도의임으로 타인에게 계승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그와 더블어 베드로의 등의 사도직은 교황을 중심으로 한 교권 계급제도와는 전혀 상관이 없는 것으로 교황제도는 순전히 로마 가톨릭 교회사의 산물에 불과 하다.
Ⅴ. 결론
가톨릭교회에서는 최고지도자를 로마교황이라고도 한다. 그는 로마주교(主敎)이며, 그리스도의 대리자, 사도(使徒) 베드로의 후계자이고, 전(全)가톨릭교회의 최고 사제(司祭), 서유럽 총대주교(總大主敎), 이탈리아의 수석(首席) 대주교, 로마교구 대주교이자 바티칸의 원수(元首)라고 호칭 된다. 가톨릭에서 교황을 부르는 친밀한 호칭인 파파(Papa)는 본래 그리스어인 파파스(papas;아버지라는 뜻)에서 유래하였고, 동방세계에서는 수도원장주교총주교를 호칭하는 말이었다. 로마에서는 로마주교 리베리오(재위 352~366)의 묘비명에 처음으로 새겨졌고, 동방교회가 교황 레오 1세(재위 440~461) 앞으로 보낸 편지에 종종 쓰였다. 서방교회에서는 5세기 중엽 이래 로마의 주교만이 (파파) (신앙상의 아버지) 또는 (교황)이라고도 불리게 되었다. 이 호칭은 그레고리오 7세(재위 1073~1085)에 의하여 보편화되었다. 한편 교황 그레고리오 1세(재위 590~604)는 자신을 가리켜 (하느님의 종들의 종)이라고 했는데, 이것이야말로 교황직의 성격을 잘 나타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초대교회에서 감독과 주교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어 중세에 교황제가 보편화되기 까지 레오1세의 역할이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결국 레오1세의 수위권확립은 왜곡된 성격해석과 함께 야만족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잘 처리해 냄으로 인하여 국가의 권력을 등에 업고 정치 세력화 되어가는 과정에서 확립되어왔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중세로 가면서 더욱 심화 되고 교황과 황제의 지위가 바뀌는 강력한 정치 세력으로 변화 하게 된다.
예수님 이후 무서운 박해의 순교의 터 위에 세워진 초대교회가 콘스탄틴 대재의 기독교 공인과 함께 무서운 속도로 기독교가 팽창되고 그로 인한 정치 세력화로 인하여 5개의 대 교구로 나뉘어진 기독교는 서로간의 수위권을 점하려는 논쟁을 지속해오다 레오1세를 통하여 로마교회가 전교회의 대표로 수위권을 가진다는 신학적, 법률적, 성경적 토대를 만들었다.
그러나 이러한 교황직에 대한 개혁교회의 입장은 단호하다. 비 성경적이며, 비역사적인 왜곡된 것이다. 교황이 베드로부터의 승계라는 주장도 성경의 오석일 뿐 아니라 교황도 유한하며, 연약한 한 인간이며, 죄인이다. 오직 교회의 머리는 예수그리스도이며, 베드로의 신앙고백위에 세워진 교회는 중생한 그리스도인이며, 교회는 몸으로서 머리이신 예수그리스도를 모시고 섬기는 것이다.
참고문헌
황기택, 『로마카톨릭의 진실을 말한다』(서울: 도서출판 예루살렘, 2001).
양향진, 『성경적 관점에서 본 로마 카톨릭』(서울: 도서출판 이레서원, 2003).
최형걸, 『초대교회사』(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9).
랄프우드로우, 『로마 카톨릭주의의 정체』(안금영 역: 서울: 하늘기획, 1997).
윌리스턴 워커,『기독교회사』(송인설 역; 서울: 크리스챤 다이제스터, 2002).
한국사목연구소, 『카톨릭 신학총서 세계사』(서울: 한국천주교 중앙협의회, 2000).
우드로우, 랄프,『로마카톨릭주의의 정체』, (서울: 도서출판 노아방주, 1987).
로레인 뵈트너, 『로마카톨릭 사상 평가』,(이송훈 역: 서울: CLC, 1992)
브루스 셀리, 『현대인을 위한 교회사』, (박희석 역; 경기: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2001).
루돌프 피셔볼 페르트, 『교황사전』, (안명옥 역; 경기: 가톨릭대학 출판부, 2001).
J.B. KIDD,「THE Roman primacy」,(New york: THEMACMILLAN Company).
최주희, “가톨릭 교회관에 대한 개혁주의 입장에서의 평가”, 석사학위 논문: 총신대학교, 2004.
김현우, “로마가톨릭 교황권에 대한 마티 루터의 논박”, 목회학 석사논문 : 호남신학대학 교, 2003.
이건희, “교황국가의 기원과 성립”, 박사학위 논문 : 경북대학교, 1992.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11.05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88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