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The 1st Sound Shift
2. The 2nd Sound Shift
2. The 2nd Sound Shift
본문내용
째 음절에 있으며, θ는 어두음도 아니고, 무성음 옆에 있지도 않다. 따라서 무성마찰음 θ는 유성마찰음 o로 되었다.
간단히 표현하자면, 원시 게르만어의 무성마찰음이 유성의 환경에 있고, 인구어의 강세가 바로 앞음절에 없으면 유성화된다는 것이 베르너의 법칙이다.
2. The 2nd Sound Shift
- 서게르만어는 고지독일어와 저지독일어로 구분되는데, 저지독일어에서는 일련의 자음의 변화 없이 그대로 이어졌으나 고지독일어에서는 변화를 겪었는데, 이 자음의 변화를 Grimm's Law와 구별하기 위해 보통 제2자음 추이(The Second Consonant Shift)라 부른다.
Low German
(English)
변화
High German
(English)
예
[p]
→
[f]
leap → tief
[t]
[z]
ten → zehn
[t]
[s]
water → wasser
[k]
[x]
book → buch
[d]
[t]
day → tag
[s]
[sch]
sleep → schlafen
[v]
[b]
live → leben
♠ 참 고 자 료 ♠
1. 영어발달사. 한신문화사. 김순신 옮김.1985
2. 영어발달사. 경성대학교 출판부. 서석룡 저. 1997
3. 영어발달사. 형설출판사. 권영규 저. 1988
4. http://my.netian.com/~jongjin72/readings/paper32.htm
5. http://www.kgd.german.or.kr/down/13/SongWanYong.hwp
6. http://cosmos.changwon.ac.kr/~narara/verner.html
간단히 표현하자면, 원시 게르만어의 무성마찰음이 유성의 환경에 있고, 인구어의 강세가 바로 앞음절에 없으면 유성화된다는 것이 베르너의 법칙이다.
2. The 2nd Sound Shift
- 서게르만어는 고지독일어와 저지독일어로 구분되는데, 저지독일어에서는 일련의 자음의 변화 없이 그대로 이어졌으나 고지독일어에서는 변화를 겪었는데, 이 자음의 변화를 Grimm's Law와 구별하기 위해 보통 제2자음 추이(The Second Consonant Shift)라 부른다.
Low German
(English)
변화
High German
(English)
예
[p]
→
[f]
leap → tief
[t]
[z]
ten → zehn
[t]
[s]
water → wasser
[k]
[x]
book → buch
[d]
[t]
day → tag
[s]
[sch]
sleep → schlafen
[v]
[b]
live → leben
♠ 참 고 자 료 ♠
1. 영어발달사. 한신문화사. 김순신 옮김.1985
2. 영어발달사. 경성대학교 출판부. 서석룡 저. 1997
3. 영어발달사. 형설출판사. 권영규 저. 1988
4. http://my.netian.com/~jongjin72/readings/paper32.htm
5. http://www.kgd.german.or.kr/down/13/SongWanYong.hwp
6. http://cosmos.changwon.ac.kr/~narara/verner.html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