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정의
2.원인
3.발생기전
4.진단
5.종류
1)자극형성장애로 인한 부정맥
(1)S-Anode에서 발생한 부정맥
①동성빈맥(sinus tachycardia)
②동성서맥(sinus bradycardia)
③동성부정맥(sinus dysrhythmia)
④동정지(sinus arrest)
(2)심방에서 발생한 부정맥
①심방성 조기수축(atrial premature contraction:APC=심방성 기외수축
②심방성 발작성 빈맥 (atrial paroxysmal tachycadia:APT)
③심방조동 (atrial flutter)
④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3)심실에서 발생하는 이소성 자극 형성
①심실성 조기수축(Ventricular premature contraction : V.P.C)
②심실성 발작성 빈맥(Ventricular paroxysmal tachycardia : V.T.P)
③심실조동(Ventricular flutter)
④심실세동(Ventricular fibillation: YF)
2) 자극전도장애로 인한 부정맥
(1)방실블럭(atrio-ventricular block : AVB)
①제 1도 방실블럭(1st. degree A-V block)
②제 2도 방실블럭(2nd degree A-V block : incomplete ht. block)
③제 3도 방실블럭(third degree A-V block : complete ht. block)
(2) 각 블록(bundle branch block : BBB)
3)혼합 장애로 인한 부정맥
(1)조기흥분증후군(preexcitation syndrime):심실조기흥분
(2)para-arrhythmia
6.간호관리
(1)약물요법
2.원인
3.발생기전
4.진단
5.종류
1)자극형성장애로 인한 부정맥
(1)S-Anode에서 발생한 부정맥
①동성빈맥(sinus tachycardia)
②동성서맥(sinus bradycardia)
③동성부정맥(sinus dysrhythmia)
④동정지(sinus arrest)
(2)심방에서 발생한 부정맥
①심방성 조기수축(atrial premature contraction:APC=심방성 기외수축
②심방성 발작성 빈맥 (atrial paroxysmal tachycadia:APT)
③심방조동 (atrial flutter)
④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3)심실에서 발생하는 이소성 자극 형성
①심실성 조기수축(Ventricular premature contraction : V.P.C)
②심실성 발작성 빈맥(Ventricular paroxysmal tachycardia : V.T.P)
③심실조동(Ventricular flutter)
④심실세동(Ventricular fibillation: YF)
2) 자극전도장애로 인한 부정맥
(1)방실블럭(atrio-ventricular block : AVB)
①제 1도 방실블럭(1st. degree A-V block)
②제 2도 방실블럭(2nd degree A-V block : incomplete ht. block)
③제 3도 방실블럭(third degree A-V block : complete ht. block)
(2) 각 블록(bundle branch block : BBB)
3)혼합 장애로 인한 부정맥
(1)조기흥분증후군(preexcitation syndrime):심실조기흥분
(2)para-arrhythmia
6.간호관리
(1)약물요법
본문내용
e ht. block)
: 심방에서부터 전도되어오는 모든 자극들이 방실결절에서 차단되고 심방과 심실은 완전 히 해리되어 심방과 심실이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수축하는 상태
㉠심실 수축 : 30~40회/min
<그림 17-47D>
㉡
㉢기전 : C.O ↓ →뇌의 혈량↓→현기증, 경련 의식상실, Cheyne-stoke resp.
㉣원인 : MI, 심전도계의 만성병변, digitalis 중독, 선천성 기형
㉤치료 : Isoproterenol (교감신경흥분제), Atropine(부교감신경차단제)
(2) 각 블록(bundle branch block : BBB)
: 심실중격의 상부에서 His bundle이 좌우각(branch)으로 갈라져 좌우심실로 흥분을 전 달하는데, 이중 어떤각이 차단되어 심실의 말초부에 흥분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
①우각블럭(Right bundle branch block :RBBB)
rSR ' 파형 (V1 lead에서)
QRS폭 ↑(넓어짐:02초이상)
②좌각블럭(Lt.bundle branch block : LBBB)
QRS파형이 M자형을 나타낸다. (II lead나 V5 lead에서)
<그림 17-48>
3)혼합 장애로 인한 부정맥
;자극형성 장애 및 전도장애의 복합으로 발생됨.
(1)조기흥분증후군(preexcitation syndrime):심실조기흥분
-WPW증후군(Wolff-parkinson-white syndrome)
EKG파형에서 정상적인 수축이전에 delta가 생기는 것
심방과 심실을 연결하는 방실간로의 부경로를 통해 일어나는 부정맥
(40~80%빈맥성부정맥)
(2)para-arrhythmia : 두개의 심박조절자가 서로 독립적으로 전기자극을 발생함으로써 심 장이 흥분하는 비정상적 리듬
6.간호관리
(1)약물요법
1)Class I (sodium 통로차단제) -심근세포막의 Na channel 통과를 차단하여 심장의 탈분 극화 속도를 억제시키는 제제
ex)quinidine, lidocaine, aprindine, procainamide, disopyramide
2)Class II(교감신경 수용제 차단제)- Catecholamine의 심장 -교감신경 수용체에 대한
작용 차단
ex)propranonol, acebutolol, nadolol, tenormin 3)Class III(심장 재분극 연장제) - 심근의 활동 전위 지속 시간을 연장시킴으로써
부정맥 발현을 차단.
lidocaine이나 procainamide로 치료되지 않는
만성 심실성 빈맥과 심실세동에 사용
ex)Amiodarone, bretylium
4)Class IV(칼슘 통로 차단제)
심근세포막의Ca channel(slow path way)통과를 차단시키는제제
ex) Verapamil, diltiazem
☆정리(1) lidocaine - ① 심실성 부정맥에 사용, 국소마취제
② 부작용 ; 중추신경계이상(경련)
③ 주로 iv로 주입
④ 경구투여시 간에서 대사되므로 간에 대한 독성↑
(2) Quinidine - ① 심방성 부정맥에 씀
② 심방세동, 심장리듬전환술시 이용
③ 주로 p.o. medication ('.'심근수축력 ↓)
④ 설사, 식욕감퇴, 구토등의 위장장애
⑤ 계속투약 - 간의 독성
⑥ 승모판막질환으로 색전증 예방을 위해 warfarin sodium을 쓰는
Pt 에게 사용하는 약물간의 상호작용에 유의한다.
(3) procainamide (pronestyl)
① 만성 심실성 부정맥제 사용
② p.o(주로) iv, im가능
(4) Isoproterenol (Isuprel)
① 적응증- Adam's stoke
② 금기증 : hyperthyroidism, glaucoma, MI
③ 투약방법 : 심근에 직접 주사,or IM
④ 부작용 : 빈맥, 심계항진, 신체허약, 오심, 두통, 협심증
(5) propranonol (Inderal) - AP, MI시 사용
금기 : 울혈성 심부전증, 기관지천식
(6) verapamil : 심실상부빈맥에 사용
(7)Disopyramide
① lidocaine이나 procaina-mide에 듣지않는 심실성부정맥이나 심방성 부정맥치료에 사용.
② 부작용 ; 심근의 수축력저하
(8)Mexiletine
① lidocaine와 작용이 비슷. P.O
② 부작용 : 진정(tremor). 현기증 운동 실조증(ataxia)
③ procainamide, quinidine. disopyramide에 반응 없는 심실성 부정맥에도 효과가 큼
: 심방에서부터 전도되어오는 모든 자극들이 방실결절에서 차단되고 심방과 심실은 완전 히 해리되어 심방과 심실이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수축하는 상태
㉠심실 수축 : 30~40회/min
<그림 17-47D>
㉡
㉢기전 : C.O ↓ →뇌의 혈량↓→현기증, 경련 의식상실, Cheyne-stoke resp.
㉣원인 : MI, 심전도계의 만성병변, digitalis 중독, 선천성 기형
㉤치료 : Isoproterenol (교감신경흥분제), Atropine(부교감신경차단제)
(2) 각 블록(bundle branch block : BBB)
: 심실중격의 상부에서 His bundle이 좌우각(branch)으로 갈라져 좌우심실로 흥분을 전 달하는데, 이중 어떤각이 차단되어 심실의 말초부에 흥분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
①우각블럭(Right bundle branch block :RBBB)
rSR ' 파형 (V1 lead에서)
QRS폭 ↑(넓어짐:02초이상)
②좌각블럭(Lt.bundle branch block : LBBB)
QRS파형이 M자형을 나타낸다. (II lead나 V5 lead에서)
<그림 17-48>
3)혼합 장애로 인한 부정맥
;자극형성 장애 및 전도장애의 복합으로 발생됨.
(1)조기흥분증후군(preexcitation syndrime):심실조기흥분
-WPW증후군(Wolff-parkinson-white syndrome)
EKG파형에서 정상적인 수축이전에 delta가 생기는 것
심방과 심실을 연결하는 방실간로의 부경로를 통해 일어나는 부정맥
(40~80%빈맥성부정맥)
(2)para-arrhythmia : 두개의 심박조절자가 서로 독립적으로 전기자극을 발생함으로써 심 장이 흥분하는 비정상적 리듬
6.간호관리
(1)약물요법
1)Class I (sodium 통로차단제) -심근세포막의 Na channel 통과를 차단하여 심장의 탈분 극화 속도를 억제시키는 제제
ex)quinidine, lidocaine, aprindine, procainamide, disopyramide
2)Class II(교감신경 수용제 차단제)- Catecholamine의 심장 -교감신경 수용체에 대한
작용 차단
ex)propranonol, acebutolol, nadolol, tenormin 3)Class III(심장 재분극 연장제) - 심근의 활동 전위 지속 시간을 연장시킴으로써
부정맥 발현을 차단.
lidocaine이나 procainamide로 치료되지 않는
만성 심실성 빈맥과 심실세동에 사용
ex)Amiodarone, bretylium
4)Class IV(칼슘 통로 차단제)
심근세포막의Ca channel(slow path way)통과를 차단시키는제제
ex) Verapamil, diltiazem
☆정리(1) lidocaine - ① 심실성 부정맥에 사용, 국소마취제
② 부작용 ; 중추신경계이상(경련)
③ 주로 iv로 주입
④ 경구투여시 간에서 대사되므로 간에 대한 독성↑
(2) Quinidine - ① 심방성 부정맥에 씀
② 심방세동, 심장리듬전환술시 이용
③ 주로 p.o. medication ('.'심근수축력 ↓)
④ 설사, 식욕감퇴, 구토등의 위장장애
⑤ 계속투약 - 간의 독성
⑥ 승모판막질환으로 색전증 예방을 위해 warfarin sodium을 쓰는
Pt 에게 사용하는 약물간의 상호작용에 유의한다.
(3) procainamide (pronestyl)
① 만성 심실성 부정맥제 사용
② p.o(주로) iv, im가능
(4) Isoproterenol (Isuprel)
① 적응증- Adam's stoke
② 금기증 : hyperthyroidism, glaucoma, MI
③ 투약방법 : 심근에 직접 주사,or IM
④ 부작용 : 빈맥, 심계항진, 신체허약, 오심, 두통, 협심증
(5) propranonol (Inderal) - AP, MI시 사용
금기 : 울혈성 심부전증, 기관지천식
(6) verapamil : 심실상부빈맥에 사용
(7)Disopyramide
① lidocaine이나 procaina-mide에 듣지않는 심실성부정맥이나 심방성 부정맥치료에 사용.
② 부작용 ; 심근의 수축력저하
(8)Mexiletine
① lidocaine와 작용이 비슷. P.O
② 부작용 : 진정(tremor). 현기증 운동 실조증(ataxia)
③ procainamide, quinidine. disopyramide에 반응 없는 심실성 부정맥에도 효과가 큼
추천자료
[간호학]ADI 대상자 간호 (급성 약물 중독)
임신과 육아 (임신 중 약물 복용)
정맥주사와 근육주사
화상의 종류, 병태생리, 응급처치, 약물치료 및 처방예와 해외 연구 보고서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질병 검사 및 약물 치료기구 정리
[상황별 응급처치 및 간호] 약물과다와 중독
[약리학] 심폐소생술 (CPR :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심폐소생술에 쓰이는 약물
간호과정 case - 부정맥; PSVT(발작성 상심실성 빈맥)
간호학 실습 - 뇌신경계 환자 약물요법과 치료계획
[약리학] 비뇨기계에 작용하는 약물, 이뇨제, Diuretics, 항통풍약, Antigout drugs, 전립선...
결핵간호(병태생리, 분류법, 검사, 약물요법, 간호과정, 예방접종)
[울혈성 심부전] 울혈성심부전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방법(영양치료 및 약물치료)
고위험 신생아와 가족 간호 (1. 영양 2. 수유저항 3. 에너지 보존 4. 피부간호 5. 약물투여 6...
약리학 핵심 요약 정리-표로 깔끔하게 정리- (항우울제, 진통제, 심부전 약물 등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