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교폭력의 개념
2. 학교폭력 청소년의 특성
3. 학교폭력의 원인
4. 집단따돌림의 개념
5. 집단따돌림청소년의 특성
6. 집단따돌림의 원인
7. 집단따돌림으로 인한 문제점들
8. 실태(학교폭력과 왕따)
9. 사례
10. 대처방안
11. 학교폭력 예방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12. 대처방안에 구체적인 사례들
13. 왕따와 폭력청소년 문제에 따른 현행 서비스
14. 각종 연구결과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시사점
15. 제언
2. 학교폭력 청소년의 특성
3. 학교폭력의 원인
4. 집단따돌림의 개념
5. 집단따돌림청소년의 특성
6. 집단따돌림의 원인
7. 집단따돌림으로 인한 문제점들
8. 실태(학교폭력과 왕따)
9. 사례
10. 대처방안
11. 학교폭력 예방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12. 대처방안에 구체적인 사례들
13. 왕따와 폭력청소년 문제에 따른 현행 서비스
14. 각종 연구결과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시사점
15. 제언
본문내용
주변의 유해환경 정화로 명랑한 면학분위기를 조성하고, 학교폭력 척결 및 등·하교길 교통지도 단속 등으로 청소년 보호
- 민·관이 일체화된 새로운 시민운동 전개
범죄예방활동에 대한 국민의 자발적 참여의식을 고취하고, 도덕성을 회복하여 청정한 생활 환경을 유지함으로써 한 차원 높은 사회로 이르는 기틀을 마련
라. 자원봉사위원협의회
- 1997. 10. 대검찰청에 자원봉사위원전국연합회를 두고, 전국 53개 검찰청에「자녀안심하고 학교보내기운동」자원봉사위원협의회를 발족하였으며, 협의회 산하에 지구자원봉사위원협의회를 각 시·군·구 등 행정단위별로 설치하여 학교폭력 예방활동 및 청소년 유해환경 감시활동 등 청소년 보호활동 실시
- 2000. 12. 31. 현재 250,000여명의 자원봉사위원이 활동하고 있음.
라. 추진실적
(1) 신고전화 운용
- 전국적으로 도합 31,283건 접수 ('97. 9.∼2000. 12.)
대 검 찰 청 : 8,859건
일선지검·지청 : 22,424건
대검찰청은 '97. 9. 3.부터 신고전화를 설치 운영하고 있으며 일선 검찰청은 '97. 9. 23.부터 설치 운영 중
- 즉응 처리 결과
학교폭력 : 123,893명 단속, 13,428명 구속
유해업소 : 117,360명 단속, 6,873명 구속
가출소녀 등 귀가조치 : 19,721명
처리 건수(%) : 31,259건 (처리율 99.9%)
(2) 지도·점검활동
- 생 활 지 도 : 657,504회에 걸쳐 실시, 도합 4,546,273명 참여
- 유해환경 점검 : 421,697회에 걸쳐 실시, 도합 3,125,412명 참여
총 1,079,201회에 걸쳐 7,671,685명 참여
(3) 청소년 선도 및 지원활동
- 상담·면담 : 46,094회에 걸쳐 211,129명을 대상으로 실시
- 강연·교육 : 17,772회에 걸쳐 3,827,935명을 대상으로 실시
- 결연·지원 : 12,545회에 걸쳐 152,802명을 대상으로 실시
상담 및 면담은 '98년부터 시작
마. 추진성과
(1) 학교폭력 증가추세 둔화 및 발생인원 감소
[학교폭력 연도별 발생 동향]
(단위 : 명)
연 도
'96
'97
'98
'99
2000
발생인원
18,185
39,883
37,374
36,965
33,833
- 학교폭력 동향
'99년 대비 2000년 학교폭력은 발생인원 8.5%, 구속인원 33.9% 감소
(2) 청소년보호의 공감대 형성
- 청소년 유해환경 단속
청소년 고용 불법업주 등 유해사범 115,869명 단속, 6,621명 구속
- 미성년 윤락 상대방 단속
'98. 5.부터 1,491명 단속, 252명 구속
- 유해업소에 대한 사회적 감시체제 구축
미성년 고용업소에 대한 사회적 감시체제 확립
(3) 가출청소년 귀가
- 단속과 예방활동, 신고전화를 통하여 길거리를 방황하던 가출청소년 19,721명을 귀가조치
귀가시 전문상담위원의 상담과 자원봉사위원의 1 : 1 결연을 통한 사후관리 철저
14. 각종 연구결과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시사점
첫째, 청소년들간의 폭력은 주로 학교 안에서 반친구와 학교친구들을 대상으로 손바닥, 발길질, 주먹과 같은 신체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친구관계가 넓어지면서 모르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학교주변이나 번화가 등 학교 밖에서 일어나는 폭력이 증가하였다.
둘째, 청소년들은 폭력을 당할 때, 보복이 두렵거나 이야기해봐야 소용없을 것 같거나 혹은 대단한 일이 아니라고 생각하여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고 가만히 있었으며, 이는 청소년들이 폭력을 당했을 때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처방법을 배우지 못했음을 의미하며, 현재 실시되고 있는 폭력예방을 위한 학교, 가정 및 사회적인 지원이 학생들에게 다가가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청소년들은 폭력의 원인을 자신이 아닌 타인에게서 찾았으며, 이는 타인의 입장을 적절하게 공감할 수 없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특별한 이유없이 홧김에 폭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자기통제나 감정통제와 같은 적절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15. 제언
청소년들의 폭력문제는 오늘의 문제만은 아니다. 오래 전부터 있어왔던 문제로 현재 많은 사람들의 관심사가 된 것은 한 사회의 미래라고 일컬어지는 청소년들의 문제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중에서 청소년들간의 폭력의 문제는 더욱 심각해져서 서로에게 정신적, 신체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줄 뿐 만 아니라 그 주위 사람들에게까지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청소년들의 폭력실태와 의식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알아보는 것은 청소년 폭력문제 해결의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
학교폭력이나 집단따돌림과 같은 청소년폭력이 사회적으로 간과해서는 안 될 중요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들의 대처방안이나 예방을 위한 각종 연구들이 넘쳐나고 있지만, 이 부분들의 내용을 정리하고 알아보면서 안타까움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첫째, 청소년폭력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데에는, 우리 어른들의 몫이 크다고 할 수 있겠다. 우리의 미래를 책임지고 갈 청소년들에게 좀더 관심을 갖고, 그들의 잘못을 탓하기만 할 것이 아니라, 가정. 지역. 사회가 모두 함께 따뜻한 사랑으로서 지켜보고 이끌어주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청소년폭력(뿐만 아니라, 모든 청소문제포함)에 대한 많은 관심으로 각종각계에서 그들을 위한 예방과 대처방안을 내 놓고 있다. 하지만 그 내용들을 살펴보면, 너무나 진부하고 이론적 경향이 짙다. 도덕책과 같은 그런 내용은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실을 한번 더 일깨워주는 일에 불과하다. 그런 인식을 심어주는 것 또한 중요하지만, 지금 우리 현 상황에서는 보다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해볼 수 있는 실천적이고 효과적인 문제해결방안 및 예방책이 필요하다.
셋째, 가장 중요한 점으로는 청소년들의 인식이 올바르게 정립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시기의 특성상 올바른 생각과 행동을 추구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하지만, 청소년들도 이런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고, 피하려하기보다는 당당하게 맞서 극복해나갈 수 있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 민·관이 일체화된 새로운 시민운동 전개
범죄예방활동에 대한 국민의 자발적 참여의식을 고취하고, 도덕성을 회복하여 청정한 생활 환경을 유지함으로써 한 차원 높은 사회로 이르는 기틀을 마련
라. 자원봉사위원협의회
- 1997. 10. 대검찰청에 자원봉사위원전국연합회를 두고, 전국 53개 검찰청에「자녀안심하고 학교보내기운동」자원봉사위원협의회를 발족하였으며, 협의회 산하에 지구자원봉사위원협의회를 각 시·군·구 등 행정단위별로 설치하여 학교폭력 예방활동 및 청소년 유해환경 감시활동 등 청소년 보호활동 실시
- 2000. 12. 31. 현재 250,000여명의 자원봉사위원이 활동하고 있음.
라. 추진실적
(1) 신고전화 운용
- 전국적으로 도합 31,283건 접수 ('97. 9.∼2000. 12.)
대 검 찰 청 : 8,859건
일선지검·지청 : 22,424건
대검찰청은 '97. 9. 3.부터 신고전화를 설치 운영하고 있으며 일선 검찰청은 '97. 9. 23.부터 설치 운영 중
- 즉응 처리 결과
학교폭력 : 123,893명 단속, 13,428명 구속
유해업소 : 117,360명 단속, 6,873명 구속
가출소녀 등 귀가조치 : 19,721명
처리 건수(%) : 31,259건 (처리율 99.9%)
(2) 지도·점검활동
- 생 활 지 도 : 657,504회에 걸쳐 실시, 도합 4,546,273명 참여
- 유해환경 점검 : 421,697회에 걸쳐 실시, 도합 3,125,412명 참여
총 1,079,201회에 걸쳐 7,671,685명 참여
(3) 청소년 선도 및 지원활동
- 상담·면담 : 46,094회에 걸쳐 211,129명을 대상으로 실시
- 강연·교육 : 17,772회에 걸쳐 3,827,935명을 대상으로 실시
- 결연·지원 : 12,545회에 걸쳐 152,802명을 대상으로 실시
상담 및 면담은 '98년부터 시작
마. 추진성과
(1) 학교폭력 증가추세 둔화 및 발생인원 감소
[학교폭력 연도별 발생 동향]
(단위 : 명)
연 도
'96
'97
'98
'99
2000
발생인원
18,185
39,883
37,374
36,965
33,833
- 학교폭력 동향
'99년 대비 2000년 학교폭력은 발생인원 8.5%, 구속인원 33.9% 감소
(2) 청소년보호의 공감대 형성
- 청소년 유해환경 단속
청소년 고용 불법업주 등 유해사범 115,869명 단속, 6,621명 구속
- 미성년 윤락 상대방 단속
'98. 5.부터 1,491명 단속, 252명 구속
- 유해업소에 대한 사회적 감시체제 구축
미성년 고용업소에 대한 사회적 감시체제 확립
(3) 가출청소년 귀가
- 단속과 예방활동, 신고전화를 통하여 길거리를 방황하던 가출청소년 19,721명을 귀가조치
귀가시 전문상담위원의 상담과 자원봉사위원의 1 : 1 결연을 통한 사후관리 철저
14. 각종 연구결과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시사점
첫째, 청소년들간의 폭력은 주로 학교 안에서 반친구와 학교친구들을 대상으로 손바닥, 발길질, 주먹과 같은 신체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친구관계가 넓어지면서 모르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학교주변이나 번화가 등 학교 밖에서 일어나는 폭력이 증가하였다.
둘째, 청소년들은 폭력을 당할 때, 보복이 두렵거나 이야기해봐야 소용없을 것 같거나 혹은 대단한 일이 아니라고 생각하여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고 가만히 있었으며, 이는 청소년들이 폭력을 당했을 때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처방법을 배우지 못했음을 의미하며, 현재 실시되고 있는 폭력예방을 위한 학교, 가정 및 사회적인 지원이 학생들에게 다가가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청소년들은 폭력의 원인을 자신이 아닌 타인에게서 찾았으며, 이는 타인의 입장을 적절하게 공감할 수 없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특별한 이유없이 홧김에 폭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자기통제나 감정통제와 같은 적절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15. 제언
청소년들의 폭력문제는 오늘의 문제만은 아니다. 오래 전부터 있어왔던 문제로 현재 많은 사람들의 관심사가 된 것은 한 사회의 미래라고 일컬어지는 청소년들의 문제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중에서 청소년들간의 폭력의 문제는 더욱 심각해져서 서로에게 정신적, 신체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줄 뿐 만 아니라 그 주위 사람들에게까지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청소년들의 폭력실태와 의식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알아보는 것은 청소년 폭력문제 해결의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
학교폭력이나 집단따돌림과 같은 청소년폭력이 사회적으로 간과해서는 안 될 중요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들의 대처방안이나 예방을 위한 각종 연구들이 넘쳐나고 있지만, 이 부분들의 내용을 정리하고 알아보면서 안타까움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첫째, 청소년폭력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데에는, 우리 어른들의 몫이 크다고 할 수 있겠다. 우리의 미래를 책임지고 갈 청소년들에게 좀더 관심을 갖고, 그들의 잘못을 탓하기만 할 것이 아니라, 가정. 지역. 사회가 모두 함께 따뜻한 사랑으로서 지켜보고 이끌어주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청소년폭력(뿐만 아니라, 모든 청소문제포함)에 대한 많은 관심으로 각종각계에서 그들을 위한 예방과 대처방안을 내 놓고 있다. 하지만 그 내용들을 살펴보면, 너무나 진부하고 이론적 경향이 짙다. 도덕책과 같은 그런 내용은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실을 한번 더 일깨워주는 일에 불과하다. 그런 인식을 심어주는 것 또한 중요하지만, 지금 우리 현 상황에서는 보다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해볼 수 있는 실천적이고 효과적인 문제해결방안 및 예방책이 필요하다.
셋째, 가장 중요한 점으로는 청소년들의 인식이 올바르게 정립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시기의 특성상 올바른 생각과 행동을 추구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하지만, 청소년들도 이런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고, 피하려하기보다는 당당하게 맞서 극복해나갈 수 있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청소년학교폭력-일진회(학교폭력실태와 해결방안)
[학교폭력]청소년의 문제로서 학교폭력 가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대책
[학교폭력] 학교폭력의 특징과 원인 및 예방, 해결방안에 대하여 논하세요.
[학교폭력] 학교폭력의 특징과 원인 및 예방, 해결방안에 대하여 논하세요.
학교폭력의 대책 및 근절 사례, 학교폭력의 발생 원인, 유형, 예방
학교폭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의견 제시하시오. - 학교폭력의 원인, 가정요인과...
학교폭력 근절에 대비하여 유아기에서부터 실행할 수 있는 학교폭력 근절대비 교육방법에 대...
최근 증가추세인 학교폭력 가해자, 피해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생태체계...
학교폭력의 현황과 예방대책에 대한 교사의 책무 및 학교폭력의 해결방안
상담자의 자질과 학교폭력 - 청소년 상담 (상담사의 자질, 학교폭력의 실태 및 특징, 생활지...
학교폭력 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작성 [학교폭력]
사회복지실천론_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주요하다고 생각되는 사회복지실천방법(문제해결 ...
한국방송통신대-만점받음-학교폭력의 원인과 결과에 대해서 분석하시오.국내 학교폭력 예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