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진단
2. 간호사정
3. 간호목표
4. 간호계획
5. 간호중재
6. 이론적 근거
7. 간호평가
8. 참고문헌
2. 간호사정
3. 간호목표
4. 간호계획
5. 간호중재
6. 이론적 근거
7. 간호평가
8.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의로 약물을 중단할 경우 기도 부종이 재발하거나 염증이 악화되어 호흡곤란 증상이 심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1.호흡기 증상에 대한 치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호흡수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산소포화도도 95% 이상으로 지속되어,산소 공급의 개선을 보였다. (달성)
2.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천명음, 늑간 함몰, 보조근 사용 등의 호흡곤란 증상이 완전히 소실되었다. (달성)
3.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기침과 쉰 목소리 등 호흡기 증상이 현저히 완화되었으며, 기침은 약해졌고 쉰 목소리도 거의 사라졌다. (달성)
단기목표
1.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산소포화도가 95% 이상으로 상승하였다. 치료 초기 산소포화도는 91~92%였으나, 산소 요법과 약물 치료 후 호흡기 증상 개선을 나타냈다. (달성)
2.초기 호흡수는 36회/분이었으나, 치료 후 호흡수가 안정적으로 28~30회/분으로 감소하며 호흡의 효율성이 증가했다. (달성)
3.초기에는 폐에서 천명음과 협착음이 명확하게 들렸으나, 3일 후 청진상 천명음과 협착음의 강도가 현저히 약해졌으며, 폐음은 정상적으로 청진되었다라는 간호기록이 있었다. (달성)
4,대상자는 3일 이내에 늑간 함몰 및 보조근 사용이 감소하거나 사라졌다. (달성)
5,대상자는 3일 이내에 기침의 강도가 감소하였고, 수면 중 호흡장애 증상이 완화되었다. 증상 완화 후 수면의 질이 향상되었음을 보호자가 말했다. (달성)
6,대상자는 3일 이내에 입으로 호흡하는 빈도가 감소하였고, 점차적으로 편안하게 호흡하는 모습을 보였다. (달성)
7.보호자는 기침, 쉰 목소리, 호흡곤란의 주요 징후를 이해하고, 약물 사용법 및 응급 상황에서 대처 방법에 대해 명확히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달성)
참고문헌
·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 2007, 표준 간호진술문을 적용한 임상 간호과정
· 김미혜 외 (2018), 아동건강회복간호, 수문사
· 김영혜 외 (2019),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수문사
· 소아 크룹 환자들의 원인 바이러스에 따른 임상 양상과 입원 경과 비교,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소아청소년과, 김가은 외 3명
· 후두기관지폐렴으로 진단된 소아 환자들의 임상 양상과 원인, 가천대학교 길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은진 외 8명
· 크룹(Croup)에서 Nebulized Budesonide와 Dexamethasone 주사의 치료효과 비교,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이정우 외 4명
간호평가
장기목표
1.호흡기 증상에 대한 치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호흡수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산소포화도도 95% 이상으로 지속되어,산소 공급의 개선을 보였다. (달성)
2.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천명음, 늑간 함몰, 보조근 사용 등의 호흡곤란 증상이 완전히 소실되었다. (달성)
3.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기침과 쉰 목소리 등 호흡기 증상이 현저히 완화되었으며, 기침은 약해졌고 쉰 목소리도 거의 사라졌다. (달성)
단기목표
1.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산소포화도가 95% 이상으로 상승하였다. 치료 초기 산소포화도는 91~92%였으나, 산소 요법과 약물 치료 후 호흡기 증상 개선을 나타냈다. (달성)
2.초기 호흡수는 36회/분이었으나, 치료 후 호흡수가 안정적으로 28~30회/분으로 감소하며 호흡의 효율성이 증가했다. (달성)
3.초기에는 폐에서 천명음과 협착음이 명확하게 들렸으나, 3일 후 청진상 천명음과 협착음의 강도가 현저히 약해졌으며, 폐음은 정상적으로 청진되었다라는 간호기록이 있었다. (달성)
4,대상자는 3일 이내에 늑간 함몰 및 보조근 사용이 감소하거나 사라졌다. (달성)
5,대상자는 3일 이내에 기침의 강도가 감소하였고, 수면 중 호흡장애 증상이 완화되었다. 증상 완화 후 수면의 질이 향상되었음을 보호자가 말했다. (달성)
6,대상자는 3일 이내에 입으로 호흡하는 빈도가 감소하였고, 점차적으로 편안하게 호흡하는 모습을 보였다. (달성)
7.보호자는 기침, 쉰 목소리, 호흡곤란의 주요 징후를 이해하고, 약물 사용법 및 응급 상황에서 대처 방법에 대해 명확히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달성)
참고문헌
·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 2007, 표준 간호진술문을 적용한 임상 간호과정
· 김미혜 외 (2018), 아동건강회복간호, 수문사
· 김영혜 외 (2019),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수문사
· 소아 크룹 환자들의 원인 바이러스에 따른 임상 양상과 입원 경과 비교,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소아청소년과, 김가은 외 3명
· 후두기관지폐렴으로 진단된 소아 환자들의 임상 양상과 원인, 가천대학교 길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은진 외 8명
· 크룹(Croup)에서 Nebulized Budesonide와 Dexamethasone 주사의 치료효과 비교,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이정우 외 4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