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에 대해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파킨슨병에 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II. 본 론
1. 파킨슨 병 이란?
2. 파킨슨 병의 원인
3. 파킨슨 병의 증상
4. 파킨슨 병의 치료
5. 파킨슨 병의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질환

III. 결론

본문내용

레보도파로 인한 이상운동을 없애는데 가장 효과적이지만 움직임이 느려지는 것과 근육강직도 호전시킨다. 시상 제거술은 담창구로부터 비정상적인 자극이 전달되는 영역을 감소시키기 위해 시도된다. 일반적으로 시상 제거술은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수전증에 가장 효과가 크다. 담창구 제거술과 시상 제거술은 수술후 즉각적으로 증상의 호전을 보인다. 시상 제거술은 진전(수전증)의 치료에 장기간 효과적이지만 담창구 제거술의 효과가 장기간 지속되는지 아직 확실하지 않다. 이런 수술은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지만 진행된 파킨슨병 환자에서 만약 진전증이 주증상이라면 시상 제거술이 좋은 치료방법이 될 수 있다. 만약 레보도파 치료에 따른 이상운동이 주된 문제라면 담창구 제거술이 치료방법이 될 수 있다.
② 심부 뇌조직 자극(Deep Brain Stimulation:DBS)
심부 뇌자극은 영구적으로 뇌조직을 파괴시키는 것이 아니라는 점만 제외하면 그 효과는 뇌의 일부에 병변을 만드는 수술과 비슷하다. 병변을 만드는 대신 전극을 자극하고자 하는 뇌 깊숙한 곳에 삽입한다. 전기생성 장치는 흉부와 복부의 피부 밑에 심어 놓으며 전극과 연결된다. 이 기구는 뇌에 지속적인 고주파의 파동을 가해서 자극받은 뇌가 전기적인 휴지기 상태가 되도록 한다. 심부 뇌 자극은 뇌제거술과 같은 파괴적인 조작이 아니다. 심부 뇌 자극은 반대편에 또 수술을 하더라도 발음이상과 인지기능이상이 생기는 경우가 드물다. 수술 후에 증상이 악화되었을 때 심부 뇌 자극을 한 경우에는 강도를 변경시켜 증상을 조절할 수 있지만 파괴수술은 또 한번 더 부가적인 수술을 해야 한다. 또한 심부 뇌 자극은 수술의 위험이 높은 환자들에서 훨씬 더 안전하다. 그러나 심부 뇌 자극은 파괴보다 수술방법이 복잡하다. 또한 뇌수술을 한 다음에 자극 장치를 삽입하는 두 번째 수술을 며칠 안으로 해야 한다. 자극 장치는 비싸며 감염과 기술적으로 실패할 위험이 있다. 최근 시상밑핵의 뇌심부 자극술이 대부분의 파킨슨병 증세와 징후를 크게 호전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자극하는 부위는 담창구 또는 시상밑핵이다.
③ 태아 세포의 이식
신경 이식은 뇌조직이 영구히 파괴되거나 수술에 의해서 비활성화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식은 뇌조직을 정상 상태로 되돌려 놓으려는 시도이다. 이 시술에서는 조가비핵과 미상핵으로 구성된 선조에 도파민성 신경원을 이식시킨다. 최초의 시도는 도파민성 신경원과 비슷한 세포를 많이 포함한 것으로 알려진 환자 자신의 부신 수질을 이용하는 것이다. 부신은 양쪽 신장의 윗 부분에 위치하며 부신 수질은 부신의 내부에 위치한다. 1980년에 멕시코에서 이 분비샘을 몇몇 환자의 뇌에 이식하여 새로운 관심을 불러 일으켰으나 심각한 위험과 함께 비교적 낮은 치료 효과를 보여 현재 시술이 금지되어 있다. 두 번째로 얻을 수 있는 신경원은 태아의 중뇌 조직이다. 임신 6-9주에서 낙태된 태아의 뇌조직을 환자의 미상핵과 조가비핵으로 이식한다. 조직을 여기에 이식하면 태아 뇌조직은 도파민을 직접 공급하는 펌프처럼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시술에는 중요한 문제가 있다. 치료적으로 임신 중절하여 조직을 얻기 때문에 윤리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태아조직은 이식을 받는 사람에게로 바이러스등을 감염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검사를 해야 한다. 따라서 태아조직을 이식하는 것은 몇몇 의료기관에서만 국한되어 연구중이다. 최근에는 황우석 박사에 의해 줄기세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인간 태아 줄기세포로 쥐의 파킨슨 병을 치료했다는 연구결과가 밝혀져 파킨슨 병 환자들에게는 매우 효과적인 성과이다.
5. 파킨슨 병의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질환
파킨슨병 환자중 다른 질환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간혹 이러한 질환이나 이를 위한 약물이 파킨슨병의 치료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그 예로는 녹내장, 심장질환, 고혈압, 위장관 질환, 소변장애가 있는 경우, 정형 외과적 문제가 있는 경우, 암 등이다.
신경과 영역에서 신경세포가 파괴되어 가는 퇴행성 질환은 대부분 아직 그 원인이나 치료법이 잘 알려져 있지 않은데 그 중 파킨슨병은 가장 많은 발병률을 보이고 평균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환자수가 점차 늘어나는 추세여서 더욱 중요하다.
III. 결론
만성 신경성 질환중 파킨슨병의 경우에는 그 치료에 있어서 눈부신 발전을 해왔으며 최근 서울대 황우석 박사의 활발한 연구를 통하여 줄기세포를 이용한 파킨슨 병의 치료에 획기적인 발전을 거듭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특히 증상의 조절을 위한 치료방침이 아니라 병의 진행을 막거나 이식 수술 등을 통하여 부족해진 신경세포를 직접 보충해 주는 등의 치료법 개발로 멀지 않은 장래에 파킨슨병을 정복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Reference
고성범. 파킨슨병의 진단과 치료. 가정의학회지 2003;24:1059-1068
고성범, 권도영, 이종문, 한진규, 김병조, 박민규, 박건우, 이대희. 안산시에서의 파킨 슨 증후군의 역학 조사. 대한신경과학회지 2003;21(5):498-501.
전범석. Progress in Medical Treatment of Parkinson disease. 기초임상통합 심포 지엄.
Jiang Y, Ellis T, Greenlee AR. Genotyping Parkinson Disease-Associated Mitochondrial Polymorphisms.Clin Med Res. 2004 May;2(2):99-106.
이상운동센터 http://www.snumdc.org/index.asp
http://www.parkinson.co.kr/sub02_03.htm
http://www.msd-korea.com/msdkorea/servlet/nhealth/nhealth?code=NQBA
http://science.or.kr/sa0news/03/02e/index.jsp?cId=146487&selMenu=cb
https://filenet.software.umn.edu:8471/neurology/clinical/parkinsons/home.html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5.12.04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44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