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빈치코드 비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다빈치코드 비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다빈치코드 해체
2. 문학적, 역사적 오류
3. 성경적 관점의 오류
Ⅲ. 결론

* 참고 문헌

본문내용

8:32] 우리는 진리를 알고 있는가? 맞다. 알고 있다. 당신이 진리라고 확실히 말할 수 있는 것. 세상이 모두 아니라고 해도 "정녕 사실인 걸 어쩌겠는가."라고 말할 수 있는 것. 그것이 우리 안에 진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알아야 하는 단 한 가지 진리는, 첫째,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셨다. 둘째, 말씀이 육신이 되어 오셨다. 셋째, 그의 피로 죄인 된 우리의 죄가 씻어졌다.
다시 말해도 대답은 하나이다. 당신이 알고 있는 그 진리는 그리스도 안에서만 참 진리가 될 수 있다. 성경은 정답을 말하고 있다.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지 못하는 것들의 증거니
선진들이 이로써 증거를 얻었느니라
믿음으로 모든 세계가 하나님의 말씀으로 지어진 줄을 아나니
보이는 것은 나타난 것으로 말미암아 된 것이 아니니라[히브리서 11:1-3]
Ⅳ. 참고문헌
<도서>
* Erwin Lutzer 저, 이용복 역, 『다빈치코드 깨기』(서울: 규장, 2005. 1).
* Dan Burstein 엮음, 곽재은, 권영주 공역, 『다빈치 코드의 비밀』(서울: 루비박스, 2005. 3).
* 간하배 편집, 정광욱 역, 『성경무오와 해석학』(서울: 도서출판 엠마오, 1994).
* R. Laird Harris 저, 박종칠 역, 『성경의 영감과 정경』(서울: 한국개혁주의신행협회, 1982).
* Jim Wilhoit, Leland Ryken 공저, 손미라 외 역, 『성경을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비결』
(서울: 도서출판 프리셉트, 2003).
* 미카엘 베이전트, 리처드 레이, 헨리링컨 공저, 강혜령 역, 『성혈과 성배, 예수의 결혼
예수의 아내』(서울: 행림출판, 1982. 3).
* F. F. Bruce 저, 조성로 역, 『신약 성서의 신빙성』(서울: 도서출판 심지, 1985).
* 김성영, 윤동철 공저, 『알기 쉬운 기독교 교리의 이해』(경기: 성결대 출판부, 2001).
* 전경연 저, 『역사적 예수의 진실』(서울: 향린사, 1979).
* Metzjer, Bruce M. 저, 민영진 역, 『외경이란 무엇인가』(서울: 컨콜디아사, 1979).
<논문>
*『막달라 마리아와 예수』 최영실. (서울: 성공회대학교 교수 신약학)

* (Unlocking)Davinci's code, (서울: 에이나인미디어, 2004).
<인터넷 사이트>
* 다빈치코드 공식 홈페이지 www.davincicode.co.kr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0.14
  • 저작시기200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45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