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의 이해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농구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농구의 주요 경기규칙

Ⅱ. 농구의 경기기술
1. SHOOT
2. PASS
3. BALL RECEPTION & STOP
4. ROCKER MOTION
5. STEP
6. DRIBBLE

Ⅲ. 농구의 공격과 수비전술
1. 공격전술
(1) 속공(Fast Break)
(2) 지공(Set Offense)
2. 수비전술
(1) 대인 방어(Man To Man Defence)
(2) 지역 방어(Zone Defence)

본문내용

. 오른쪽 방향으로 나아가려고 할 때, 방어자가 따라와 접근한 순간에 양쪽 발 사이에서 뒤쪽으로 바운드한다. 2. 반대쪽 손으로 드리블 한다. 3. 오른발과 오른쪽 어깨를 왼쪽 방향으로 돌려 피하면서 진행 방향을 왼쪽으로 바꾼다.
(6) Reverse turn dribble
‘리버스 턴 드리블’은 방어자와 밀착되어 있는 상황에서 뒤쪽으로 턴(리버스 턴)해서 드라이브하는 기술이다.
1. 방어자가 정면에서 바짝 접근해 왔을 때, 왼발을 축으로 삼아서 드리블 하면서 뒤쪽으로 턴한다. 2. 프리 풋 쪽의 어깨를 낮추어 턴한다. 3. 탄이 끝나고 나면 왼쪽으로 드리블 바운드를 실시한다.
(7) Behind back dribble
‘비하인드 백 드리블’은 등 쪽으로 공을 돌려 반대쪽 손으로 드리블해서 방향을 전환하는 기술로, 농구에서 화려한 동작의 하나로 꼽힌다.
1. 왼쪽 방향으로 나아가려고 해서 방어자가 왼쪽으로 바짝 접근해 왔을 때, 왼손으로 공을 뒤쪽으로 돌린다. 2. 왼손으로 오른발 옆으로 드리블한다. 3. 바운드시킨 공은 오른손으로 받는다. 4. 드리블 바운드를 오른손 쪽으로 바꾸고, 오른쪽으로 방향을 전환한다.
(8) Drag dribble
‘드레그 드리블’은 뒷걸음질하면서 드리블하는 기술로, 공격 포스트 맨 또는 포워드가 방어자를 등 뒤에 둔 채 뒤쪽으로 돌아서 골로 향한다.
1. 골에 등을 돌린 상태로 1~2회 드리블 하며 뒷걸음질한다. 2. 방어자와 접근한 순간에, 즉시 다음 동작을 선택해서 재빨리 옮긴다. 3. 상황에 따라 그대로 슛한다. 실전에서는 그대로 슛으로 옮기는 경우가 많다.
∴ 방어자가 접근하였을 때 오펜스 파울에 주의해야 한다.
(9) Hesitation dribble
‘지공 드리블’은 ‘망설이는 드리블’이라는 뜻으로, 드리블하는 공격자가 천천히 방어자에게 접근해서 멈추면, 방어자도 멈춘다. 그 순간을 이용해서 맹렬한 속도로 드리블해서 방어자 옆을 빠져 나간다.
1. 허리 높이의 하이 드리블로써 천천히 방어자에게 접근한다. 2. 드리블하면서 일단 멈춘다(망설이는 듯한 시늉을 한다). 3. 방어자가 멈추는 순간에, 낮고 빠른 드리블로써 방어자 옆을 빠져 나간다.
(10) Double transfer
‘더블 트랜스퍼’는 드리블하다가 공을 등 쪽으로 돌려서 패스하거나 레이업 슛을 시도하는 고도의 기술이다.
1. 드리블해 온 공을 무릎 높이로 집어 든다. 2. 한 손으로 공을 등 쪽으로 돌리고, 다른 한 손으로는 공을 보호한다. 3. 공을 앞으로 돌리고, 다른 한 손으로 공을 보호한다. 4. 레이업 슛 또는 패스를 실시한다.
Ⅲ. 농구의 공격과 수비전술
1. 공격전술
(1) 속공(Fast Break)
상대팀이 미처 방어태세를 갖추기 전에 즉, 방어에서 공격으로 전환 시 공격자의 숫자가 방어자의 숫자보다 많으면 형성되는 공격전술이다.
1) 투라인 스트레이트 패싱(Two Line Straight Passing) : 2명이 나란히 패스를 주고 받으 며 볼을 운반하는 형태이다.
2) 스리라인 스트레이트 패싱(Three Line Straight Passing) : 3명이 패스를 주고 받으며 볼을 운반하는 속공 형태이다.
3) 속공의 일반 원칙
- 상대편이 방어형태가 형성되기 전에 시도해야한다.
- 디펜스 리바운드의 확보와 롱 패스의 능력이 있어야한다.
- 프론트 코트로 빠른 볼 운반이 되어야 하며, 드리블을 가급적 피해야한다.
- 방어자가 안정을 찾으면 무리한 공격을 피하고 세트 오펜스로 즉시 교환한다.
(2) 지공(Set Offense)
상대편의 방어 태세가 갖추어졌을 경우 패스와 드리블로 세트 플레이를 한다.
1) 컷인 플레이 (Give & Go) : 상대편이 적극적인 방어를 하는 경우 옆에 있는 자기편에게 공을 패스하고, 골밑으로 달려 들어가면서 다시 패스를 받아 슛한다.
-컷인 플레이-
2) 스크린 플레이 : 2인이 협조하여 1명에게 공격기회를 만들어주는 플레이.
-스크린 플레이(슛)-
-스크린 플레이(드라이브인)-
3) 로링 플레이 : 5명이 서로 패스하여 공격 기회를 찾는 플레이.
4) 포스트 플레이 : 프리스로 라인이나 골 주변에 장신 선수를 두고 그를 중심으로 공격.
2. 수비전술
(1) 대인 방어(Man To Man Defence)
방어자 개개인이 공격자 1명씩 책임지고 맡아 방어하는 방법.
장점
- 방어에 대한 책임이 분명하다.
- 공격자의 기능과 특성에 맞추어 방어자를 선정할 수 있다.
- 코트 어디에서나 가능한 수비형태이다.
단점
- 1:1에서 공격자를 놓치면 쉽게 득점 허용.
- 스크린 플레이와 컷 인에 약하다.
- 체력 소모가 심하므로 파울 발생이 많다.
(2) 지역 방어(Zone Defence)
볼의 이동에 따른 지역을 5명이 협력하여 방어하는 형태, 공격측보다 개인기량이 뒤떨어지거나 체력이 약한 팀에서 상호 협력하는 방어형태.
장점
- 조직적인 방어 형태로서 속공 전환이 빠르다.
- 체력 소모가 적다.
- 컷 인이나 스크린 플레이에 강하다.
- 파울의 발생이 적다.
- 외각 슛이 약한 팀에 효과적이다.
단점
- 상호 의존도가 높으므로 허점이 노출됨.
- 1명의 이동이 틀리면 방어 형태가 무너짐.
- 빠른 패스 및 중거리 슛에 약하고 볼이 투입되면 쉽게 무너짐.
- 공격자의 기능과 특성에 대인 방어와 같이 대처할 수 없음.
1) 2-3 지역방어 : 앞선에 2명, 뒷선에 3명 배치, 뒤의 3명은 리바운드를 대비하기 위해 장신을 배치한다. 중거리 슛이 정확한 팀에는 부적합한 수비형태이다.
2) 1-2-2 지역방어 : 앞선 1명, 사이드 2명, 뒷선 2명 배치, 포워드와 센터를 동시에 강화 하기 위한 수비형태로, 센터의 공격을 막기 위한 수비형태이다.
3) 2-1-2 지역방어 : 앞선 2명, 센터 1명, 뒷선 2명을 배치한다. 센터 공격을 막기 위한 수비형태이다.
참고자료
실전농구 -이우제-
임성훈의 KBL -http://frisco.pe.kr/basket/-
한국농구연맹 -http://www.kbl.or.kr/-
교육용 농구레슨(교안)
네이버 사진 자료 -http://www.naver.com/-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5.12.04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47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