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창출기업 -노나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식창출기업 -노나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 요약

결론

비평

본문내용

. 그들은 기업의 비전에 따라 현실을 다시 만들어 낸다.
이와 같이 이쿠지로 노나카(Ikujiro Nonaka)는 '지식창출 기업(The Knowledge-Creating Company)'을 통해 일본기업들의 성공을 암묵적 지식과 지식창출과정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재미있는 사실은 이쿠지로 노나카(Ikujiro Nonaka)가 '지식창출 기업(The Knowledge-Creating Company)'을 저술한 과정 또한 그가 말한 암묵적 지식을 명시적 지식으로 바꾸는 명료화(articulation) 또는 외재화(externalization)과정과 같다는 것이다.
비 평
이쿠지로 노나카(Ikujiro Nonaka)는 '지식창출 기업(The Knowledge-Creating Company)'을 통해 일본기업들의 성공요인을 긍정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물론 이쿠지로 노나카(Ikujiro Nonaka)의 이론에 대해 공감하고 있지만 그녀는 일본인으로써 중립적 입장을 취하기 힘들었다고 생각한다. 또한 구체적 통계자료 등 사실을 증명할 만한 요소가 없다는 점에서 신뢰성을 의심받을 수밖에 없다고 본다.
결과적으로 그녀의 '지식창출 기업(The Knowledge-Creating Company)'에서는 일본기업의 성공요인에 대해 긍정적인 측면만 강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조직을 중첩(redundancy)되게 만드는 것을 조직설계의 기본원칙이라 하여 제품개발을 중복된 과정으로서 관리하고, 전략적인 순환보직(strategic rotation)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제품개발을 중복된 과정으로 관리하는 것은 중복된 구성원간의 토론과 대화를 통해 새로운 사실을 도출하고자 함이다. 하지만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이 발달한 현대사회에서는 조직구성원 모두가 손쉽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을 만큼 의사소통기술이 발달해 있다. 즉, 제품개발을 중복된 과정으로 관리하지 않고도 정보기술을 통해 조직을 중첩(redundancy)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순환보직은 다방면으로 고루 능력 있는 인재를 육성한다는 장점이 이 있지만 적성과 능력을 반영하지 않은 인재배치는 조직의 비효율을 초래할 수 있고, 조직구성원들의 능력을 하향표준화 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순환보직보다는 종업원 개개인을 전문 인력으로 만드는 서구식 인사관리가 더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이쿠지로 노나카(Ikujiro Nonaka)의 '지식창출 기업(The Knowledge-Creating Company)'은 몇 가지 비판요소를 담고 있다. 또한 미래사회로 감에 따라 정보기술은 발달하게 될 것이고 그녀의 이론은 단지 지나간 과거의 이론에 불과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쿠지로 노나카(Ikujiro Nonaka)의 '지식창출 기업(The Knowledge-Creating Company)'은 암묵적 지식과 기업의 지식창출 과정에 대한 체계적 개념을 제시했고, 현대기업의 핵심자원인 지식과 정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을 만하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12.06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47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