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역사가와 그의 사실
2. 사회와 개인
3. 역사와 과학과 도덕
4. 역사에서의 인과관계
5. 진보로서의 역사
6. 지평선의 확대
끝맺는 말
참고도서
2. 사회와 개인
3. 역사와 과학과 도덕
4. 역사에서의 인과관계
5. 진보로서의 역사
6. 지평선의 확대
끝맺는 말
참고도서
본문내용
질 수 없고 그래서 生命力이 있는 것이다. 또 歷史는 부정할 수 없는 科學이며 歷史에서 偶然은 없다. 끈끈한 因果關係로 歷史는 存在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社會가 진보하였듯 역사 또한 진보하였고, 이 땅이 넓어진 만큼 歷史는 자꾸 변하고 발전했다.
歷史란 過去와 未來와의 對話이며, 未來를 위해 過去와 現在의 因果關係를 찾는 科學이며, 社會가 발전하는 만큼 歷史 또한 발전한다.
Edward Hallett Carr의 역사란 무엇인가의 結論은 너무 단순하고 진부하다고 생각할 지는 모르겠지만 간략하고 정확하게 집는다면 歷史는 “過去와 現在와의 對話”라고 말하고 싶다. Edward Hallett Carr의 6장의 강연은 대부분 크게 이견이 제기 되지 않는 글이었다고 생각한다.
사실 내 個人的인 생각에 Edward Hallett Carr는 歷史에 관한 아니, 더 크게는 人類의 進步와 이성의 힘을 믿는 合理主義者 또는 進步主義者였고, 기존의 편협하고 偏頗的인 歷史觀을 가진 역사가들과는 달리, 보다 여러 학문을 포용하면서 中立的인 論理를 전개하려는 역사가라고 판단이 된다. 全體的으로 Edward Hallett Carr가 집필한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책은 歷史學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강요한다는 느낌을 주지 않았다. 의견의 많은 부분이 社會學이나 科學과 같은 밀접한 관련 있는 學問的인 소양과 歷史的인 경험을 예를 통해서 논거를 펼쳤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Edward Hallett Carr는 歷史學의 정의와 역사가의 역할에 대한 가이드 역할을 하는 그런 책이지만 Edward Hallett Carr가 집필했던 이 책의 배경은 영국과 서유럽중심이어서 우리나라의 역사의 진보과정과는 根本的인 차이가 드러난다. 이 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세계사의 흐름정도는 파악하는 사람이어야 할 것 같다. 어느 한 나라의 역사를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歷史的인 환경의 이해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비록 우리나라의 歷史的인 배경과는 유사점이 많지 않다고 해도, Edward Hallett Carr의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책은 역사를 접하는 나와 같은 초심자들이 역사에 대한 개념을 좀 더 확실히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라고 생각하면서 Edward Hallett Carr라는 歷史學者로서 政治家로서 또, 한 人間으로서의 그를 상상해 본다.
참고도서
E. H. 카, 김태현 옮김, 『역사란 무엇인가』, 까치글방, 2000
歷史란 過去와 未來와의 對話이며, 未來를 위해 過去와 現在의 因果關係를 찾는 科學이며, 社會가 발전하는 만큼 歷史 또한 발전한다.
Edward Hallett Carr의 역사란 무엇인가의 結論은 너무 단순하고 진부하다고 생각할 지는 모르겠지만 간략하고 정확하게 집는다면 歷史는 “過去와 現在와의 對話”라고 말하고 싶다. Edward Hallett Carr의 6장의 강연은 대부분 크게 이견이 제기 되지 않는 글이었다고 생각한다.
사실 내 個人的인 생각에 Edward Hallett Carr는 歷史에 관한 아니, 더 크게는 人類의 進步와 이성의 힘을 믿는 合理主義者 또는 進步主義者였고, 기존의 편협하고 偏頗的인 歷史觀을 가진 역사가들과는 달리, 보다 여러 학문을 포용하면서 中立的인 論理를 전개하려는 역사가라고 판단이 된다. 全體的으로 Edward Hallett Carr가 집필한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책은 歷史學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강요한다는 느낌을 주지 않았다. 의견의 많은 부분이 社會學이나 科學과 같은 밀접한 관련 있는 學問的인 소양과 歷史的인 경험을 예를 통해서 논거를 펼쳤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Edward Hallett Carr는 歷史學의 정의와 역사가의 역할에 대한 가이드 역할을 하는 그런 책이지만 Edward Hallett Carr가 집필했던 이 책의 배경은 영국과 서유럽중심이어서 우리나라의 역사의 진보과정과는 根本的인 차이가 드러난다. 이 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세계사의 흐름정도는 파악하는 사람이어야 할 것 같다. 어느 한 나라의 역사를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歷史的인 환경의 이해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비록 우리나라의 歷史的인 배경과는 유사점이 많지 않다고 해도, Edward Hallett Carr의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책은 역사를 접하는 나와 같은 초심자들이 역사에 대한 개념을 좀 더 확실히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라고 생각하면서 Edward Hallett Carr라는 歷史學者로서 政治家로서 또, 한 人間으로서의 그를 상상해 본다.
참고도서
E. H. 카, 김태현 옮김, 『역사란 무엇인가』, 까치글방, 2000
추천자료
성차별 사회과학 이론
[사회과학] 정치와 언론
[과학사회학]현대 생물학의 이해
[사회과학론] 막스 베버의 삶과 그의 이론
사회과학과 경제학의 발달과정과 패러다임 모색
사회과학으로써의 정치학
사회학-과학적 진리와 종교적 진리의 구분에 있어서의 기준과 문제점
사회과학,성에 대한 인식 부재,인식의 전환점으로서 킨제이 보고서
사회과학정보론
사회과학조사방법론 보고서 - 청소년의 자살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계몽주의와 사회과학의 탄생
복지국가의 사회과학적 이해 - 대학생의 주거복지의 실태, 대학생의 주거복지 문제점, 대학생...
신학과 사회과학
사회과학방법론 연구보고서 [경찰대학 교육 환경과 연구 역량에 대한 평가정도가 대학원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