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언
Ⅱ. 中國 東北地方의 石室封土壁畵墳
1. 遼陽地域
2. 朝陽地域
3. 遼陽과 朝陽의 比較
Ⅲ. 高句麗의 石室封土壁畵墳
Ⅳ. 中國 東北地方과 高句麗의 關係
Ⅴ. 결어
Ⅱ. 中國 東北地方의 石室封土壁畵墳
1. 遼陽地域
2. 朝陽地域
3. 遼陽과 朝陽의 比較
Ⅲ. 高句麗의 石室封土壁畵墳
Ⅳ. 中國 東北地方과 高句麗의 關係
Ⅴ. 결어
본문내용
분에서 나타나는 특색은 중국 동북지방과는 다르다. 고구려의 사신도로 인해 중국 동북지방과 완연한 차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고구려 석실봉토벽화분은 중국의 영향을 받았지만, 고구려는 이 기술을 받아들이는 단계부터 이미 외래의 것을 적극적으로 걸러내거나 표현 기법만 제한적으로 받아들여 자신들만의 고유의 석실봉토벽화분으로 발전시켜나갔다.
Ⅴ. 결어
동아시아라는 범주 안에서 동북아시아를 독자적인 문화권으로 묶어 내고 그 흐름을 주도하던 고구려에서 나름의 방식으로 발달을 본 고분벽화는 중국에서는 중국 동북지방에 석실봉토분으로 요양과 조양지역에 등장하게 되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두 지역은 같은 석실봉토분이라는 형식을 나타내지만, 구조나 벽화내용으로서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같은 맥락을 잇고 있다기보다는 서로 자신들만의 특색을 나타내고 있다고 보는게 옳다.
고구려 역시, 중국 동북지방으로 단선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았음을 위에서 언급하였다. 고구려는 백제와 신라 지역에서 고분벽화가 되도록 자극한다. 나아가 고구려계 주민의 이주를 통해 일본 고분벽화의 제작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일본에서 상징적인 표현 위주의 장식고분이 사라지고 새로운 개념의 벽화고분이 등장하는 과정이란 고구려 및 중국 수 당으로부터의 문화적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참고 문헌>
-中國 東北地方 石室封土壁畵墳의 地域的 特徵에 對하여/ 姜賢淑/ 한국고고학보 43/ 2000.
-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 / 전호태 / 서울대학교 출판부 / 2004
-벽화여, 고구려를 말하라 / 전호태 / 명지문화 / 2004
Ⅴ. 결어
동아시아라는 범주 안에서 동북아시아를 독자적인 문화권으로 묶어 내고 그 흐름을 주도하던 고구려에서 나름의 방식으로 발달을 본 고분벽화는 중국에서는 중국 동북지방에 석실봉토분으로 요양과 조양지역에 등장하게 되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두 지역은 같은 석실봉토분이라는 형식을 나타내지만, 구조나 벽화내용으로서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같은 맥락을 잇고 있다기보다는 서로 자신들만의 특색을 나타내고 있다고 보는게 옳다.
고구려 역시, 중국 동북지방으로 단선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았음을 위에서 언급하였다. 고구려는 백제와 신라 지역에서 고분벽화가 되도록 자극한다. 나아가 고구려계 주민의 이주를 통해 일본 고분벽화의 제작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일본에서 상징적인 표현 위주의 장식고분이 사라지고 새로운 개념의 벽화고분이 등장하는 과정이란 고구려 및 중국 수 당으로부터의 문화적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참고 문헌>
-中國 東北地方 石室封土壁畵墳의 地域的 特徵에 對하여/ 姜賢淑/ 한국고고학보 43/ 2000.
-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 / 전호태 / 서울대학교 출판부 / 2004
-벽화여, 고구려를 말하라 / 전호태 / 명지문화 / 2004
키워드
추천자료
[중국경제] 한국기업의 중국자동차시장 진출현황
<중국여행 계획서>
[중국인][중국][대만][세계관][중국인 사상]중국인의 특징(중국인의 사상, 지역에 따른 중국...
고구려 고분의 변천과정
[경제협력]경제협력의 개념, 북중경제협력(북한과 중국의 경제협력), 미중경제협력(미국과 중...
고구려와 동북공정원인
[고구려][고구려사][고구려문화][고구려의 문화]고구려의 건국신화, 고구려의 성립, 고구려의...
[중국 이야기] 중국의 역사와 경제발전 그리고 중국위협론(국제관계 속 중국)
중국의 티벳 대만 문제(독립운동, 소수민족)
중국역사의시작과중국북위북위나라의통치체제중국[1]
중국의 역사와 우리나라와의 관계 , 오늘날 중국의 존재 의미
[한중일3국, 한국중국일본 삼국]한중일3국(한국중국일본 삼국)의 협력현황, 한중일3국(한국중...
[동양의 역사와 문화 독후감] 『중국인도 다시 읽는 중국사람 이야기』
중국의 행정구역 : 중국의 행정구역과 문화지리[4개의 직할시와 23개의 성, 5개의 자치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