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체 사상의 배경
2. 주체사상의 사상적(思想的) 기초
3. 주체사상의 지도원리(指導原理) : 4대자주노선(自主路線)
4. 주체사상 내용의 변화과정
5. 주체사상 비판
2. 주체사상의 사상적(思想的) 기초
3. 주체사상의 지도원리(指導原理) : 4대자주노선(自主路線)
4. 주체사상 내용의 변화과정
5. 주체사상 비판
본문내용
프롤레타리아 독재가 당 독재로 전환되면서 당의 무오류성과 절대성이 강조된다. 따라서 주체사상과 수령의 유일적 영도체계론이 강조하는 국가기관의 역할, 즉 사회주의혁명의 정치적 무기임을 인정하면서도 수령과 당의 영도를 실현시키는 외곽으로 간주하는 논리는 스탈린의 이론을 받아들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마르크스와 레닌이 그토록 비판했던, 지도자에 대한 개인숭배의 가능성이 수령론과 주체사상의 전일적 체계 속에 상당 부문 내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주체사상과 수령론이 갖고 있는 민중배제의 엘리트주의적 지도자론이 안고 있는 민주주의적 요소의 간과는 주체사상의 근본테제인 '대중 중심의 사상체계'를 원천적으로 부정하고 있으며, 나아가 근로인민대중과 수령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긴장관계나 모순성도 거부한다. 이는 비단 수령과 대중간의 관계에서만이 아니라, 모든 사회주의제도하의 국가기구와 대중 사이에는 어떠한 견해의 대립 혹은 이해의 차별성도 불가하다는 소위 '무모순의 수령'과 '무모순의 전 인민적 사회주의국가'로 설정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주체사상과 수령론이 주창하는 수령과 당 그리고 대중 간의 변증법적·유기체적 통일체의 논리는 수령의 절대권 권위가 이론적·실천적으로 보증되면서, 당과 대중은 그에 절대적으로 충성·복무하는 기계적·관료주의적 유기체성으로 전락하게 된다. 이러한 이론상의 비민주성은 실천과정에서는 더욱 커다란 '권위주의성'으로 표출된다. 이러한 사회주의체제의 성격과 한계성에 기초해서 볼 때, 북한사회주의는 '수령의 유일적 영도체계'와 '후계자론' 그리고 주체사상 등에 있어서 역사적 독특성 혹은 차별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기본적인 속성에 있어서 '스탈린주의적 당·국가체제'와 상당히 유사한 측면이 많다. 예를 들어 정치적인 영역에 있어서 수령과 후계자 그리고 노동당의 절대적 권위와 무오류성의 전제, 그리고 계획경제와 국유화에 대한 해석에 있어서 형식적인 측면의 강조, 그리고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에 대한 협애적 이해, 전 인민적인 사회로서의 북한사회주의에 대한 성격규정 등이 그 한 예이다. 이러한 스탈린주의적 당·국가체제와 더불어 수령과 후계자에 대한 절대적이고도 무조건적 충성의 요구와 더불어 충신과 효자의 육성, 혁명전통의 순결성 고수 그리고 혈통계승론 등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봉건성을 결합시켜나갔다.
이 과정에서 개인숭배와 부자세습이라는 비판은 면하기 어렵게 되었다
따라서 주체사상과 수령론이 갖고 있는 민중배제의 엘리트주의적 지도자론이 안고 있는 민주주의적 요소의 간과는 주체사상의 근본테제인 '대중 중심의 사상체계'를 원천적으로 부정하고 있으며, 나아가 근로인민대중과 수령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긴장관계나 모순성도 거부한다. 이는 비단 수령과 대중간의 관계에서만이 아니라, 모든 사회주의제도하의 국가기구와 대중 사이에는 어떠한 견해의 대립 혹은 이해의 차별성도 불가하다는 소위 '무모순의 수령'과 '무모순의 전 인민적 사회주의국가'로 설정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주체사상과 수령론이 주창하는 수령과 당 그리고 대중 간의 변증법적·유기체적 통일체의 논리는 수령의 절대권 권위가 이론적·실천적으로 보증되면서, 당과 대중은 그에 절대적으로 충성·복무하는 기계적·관료주의적 유기체성으로 전락하게 된다. 이러한 이론상의 비민주성은 실천과정에서는 더욱 커다란 '권위주의성'으로 표출된다. 이러한 사회주의체제의 성격과 한계성에 기초해서 볼 때, 북한사회주의는 '수령의 유일적 영도체계'와 '후계자론' 그리고 주체사상 등에 있어서 역사적 독특성 혹은 차별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기본적인 속성에 있어서 '스탈린주의적 당·국가체제'와 상당히 유사한 측면이 많다. 예를 들어 정치적인 영역에 있어서 수령과 후계자 그리고 노동당의 절대적 권위와 무오류성의 전제, 그리고 계획경제와 국유화에 대한 해석에 있어서 형식적인 측면의 강조, 그리고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에 대한 협애적 이해, 전 인민적인 사회로서의 북한사회주의에 대한 성격규정 등이 그 한 예이다. 이러한 스탈린주의적 당·국가체제와 더불어 수령과 후계자에 대한 절대적이고도 무조건적 충성의 요구와 더불어 충신과 효자의 육성, 혁명전통의 순결성 고수 그리고 혈통계승론 등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봉건성을 결합시켜나갔다.
이 과정에서 개인숭배와 부자세습이라는 비판은 면하기 어렵게 되었다
추천자료
최근 북한사회의 이해
김일성과 북한사회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북한사회의 이해
통일문제와 교육 (북한사회의 이해와 통일교육)
[북한사회와경제]7.1 경제개선조치에 관해 논하시오
공적사회복지주체와 민간사회복지주체를 비교 사회복지주체의 활성화 방안 논하시오
단국대 박승춘 북한사회의 이해 중간고사 요약본
북한사회와 통일문제 요약
“이제 만나러 갑니다” 프로를 통한 북한사회의 특징, 유래, 현황, 관리, 역할, 기법, 시사점...
[북한사회의 이해] 남북관계 문제(보충).PPT자료
북한사회의 이해(찔레꽃 에세이)
북한사회의 이해 (1945~현재 / 제1공화국~박근혜정부)
북한사회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