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1. 일본 공황의 배경 - 세계 공황
2. 일본 공황
(1) 쇼와공황 (1927)
(2) 일본 공황
① 무역면의 타격
② 농촌의 참상
③ 흔들리는 식민지 지배
④ 潢蒙(만몽) 문제
3. 만주사변의 배경 및 전개과정
(1) 일본의 대륙정책
(2) 동방회의
(3) 만보산사건(萬寶山事件)
(4) 나카무라 사건(中村事件)
(5) 만주국 성립
2. 만주사변에 대한 대응양상
(1) 일본의 입장
(2) 중국 공산당의 입장
(3)중국 국민당의 대응
(4)국제 연맹 조사단의 활동
3.만주사변의 결과
(1) 태평양전쟁의 최초의 구상
(2) 일본 대륙침략의 본격화․천황제 파시즘 체제로의 전환
(3) 제2차 국공합작
♤ 결론
1. 일본 공황의 배경 - 세계 공황
2. 일본 공황
(1) 쇼와공황 (1927)
(2) 일본 공황
① 무역면의 타격
② 농촌의 참상
③ 흔들리는 식민지 지배
④ 潢蒙(만몽) 문제
3. 만주사변의 배경 및 전개과정
(1) 일본의 대륙정책
(2) 동방회의
(3) 만보산사건(萬寶山事件)
(4) 나카무라 사건(中村事件)
(5) 만주국 성립
2. 만주사변에 대한 대응양상
(1) 일본의 입장
(2) 중국 공산당의 입장
(3)중국 국민당의 대응
(4)국제 연맹 조사단의 활동
3.만주사변의 결과
(1) 태평양전쟁의 최초의 구상
(2) 일본 대륙침략의 본격화․천황제 파시즘 체제로의 전환
(3) 제2차 국공합작
♤ 결론
본문내용
영미에 대비(對備), 일본만주중국 3국의 긴밀한 제휴를 구현하여 남방 해양 특히 외남양 방면에 대해 일본의 민족적경제적 발전을 도모 한다’라고 했다. 즉 뒤의 태평양전쟁에 이르는 구상이 국책으로 정해졌던 것이다. 이 구상을 실현시키기 위해, ‘광의국방(廣義國防)’과 ‘서정일신(庶政一新)’의 슬로건이 내걸어지고, 경제와 재정, 또한 국민생활도 모두 군국주의 일색으로 칠하여졌다. 메이데이는 금지되고 ‘사상범보호관찰법(思想犯保護觀察法)’이 만들어져, 죄익운동의 전과가 있는 사람은 항상 결찰에 의해 ‘보호’, ‘관찰’되도록 정해졌다.
(2) 일본 대륙침략의 본격화천황제 파시즘 체제로의 전환
남양에 진출하려고 하면, 그 방면에 식민지를 두고 있는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미국과 대립하지 않을 수 없다. 즉 오상회의가 ‘영미에 대비하여’라고 결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독점자본과 국가를 융합시켜 절대주의 천황제 기구에서의 핵심인 군부가 그 국가의 독재권을 장악하여 일본제국주의의 위기를 타개하려고 하는 천황제 파시즘으로 체제가 전환되었다. 이 체제는 515 사건 후의 정당내각 부인을 제1단계로 하고 226사건 후 히로따 내각의 ‘광의국방’, ‘서정일신’ 체제와 일독(日獨) 방공협정(防共協定)을 제2단계, 1937년 7월에 개시된 일본중국 전면전쟁과 그 후의 국가총동원법 제정실시를 제3단계로 한 다음, 1940년 일미 전쟁을 앞둔 제2차 코노에 내각의 ‘대정익찬(大政翼贊: 전시하의 국민통제 조직, 신체제)’과 일독이(日獨伊) 3국 군사동맹에 이르러 완성되었다.
(3) 제2차 국공합작
제2차 국공합작은 장제스 군대의 장시(江西) 소비에트에 대한 포위를 벗어나 장정(長征)의 길에 오른 중국공산당은 1935년 81선언을 통하여, 만주사변 후 극심해진 일본의 중국침략에 대한 항일민족통일전선을 제창하였다. 1936년 시안(西安)사건, 즉 북방의 군벌 장쉐량(張學良)이, 공산당의 배후를 공격하도록 독려하기 위하여 찾아온 장제스를 감금하였다가 극적으로 석방한 사건을 계기로 내전반대일치항일(一致抗日)이라는 국민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국민당 역시 협력관계를 모색하게 되었으며, 1937년 7월 일본의 선제공격으로 중일전쟁이 발발함과 동시에 제2차 국공합작이 이루어져 항일통일전선이 형성되었다.
♤ 결론
일본은 공황으로 인한 경제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대륙의 침략 과정에서 국가내부의 문제점과 모순들을 국가외적인 희생양에게 향하게 하는 군국주의국가의 모습을 보였다. 내적 긴장의 외적·공격적 표출은 경제적 위기와 정치적 위기감이 팽배했던 시기에 국외로의 군사적 침략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했었던 것 같다. 하지만 이러한 사건들을 단지 한 국가의 경제적 위기 극복을 위한 방법으로만 보기에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침략의 수단으로 인해 피해국들을 낳았고, 후에 발발한 중일 전쟁과 제2차 세계대전을 보면 일본의 더 큰 야심을 위한 발판이 아니었을까 싶다.
※참고문헌: 만주사변기의 중일외교사, 일본인이 쓴 일본의 역사(하), 일본 현대사
(2) 일본 대륙침략의 본격화천황제 파시즘 체제로의 전환
남양에 진출하려고 하면, 그 방면에 식민지를 두고 있는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미국과 대립하지 않을 수 없다. 즉 오상회의가 ‘영미에 대비하여’라고 결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독점자본과 국가를 융합시켜 절대주의 천황제 기구에서의 핵심인 군부가 그 국가의 독재권을 장악하여 일본제국주의의 위기를 타개하려고 하는 천황제 파시즘으로 체제가 전환되었다. 이 체제는 515 사건 후의 정당내각 부인을 제1단계로 하고 226사건 후 히로따 내각의 ‘광의국방’, ‘서정일신’ 체제와 일독(日獨) 방공협정(防共協定)을 제2단계, 1937년 7월에 개시된 일본중국 전면전쟁과 그 후의 국가총동원법 제정실시를 제3단계로 한 다음, 1940년 일미 전쟁을 앞둔 제2차 코노에 내각의 ‘대정익찬(大政翼贊: 전시하의 국민통제 조직, 신체제)’과 일독이(日獨伊) 3국 군사동맹에 이르러 완성되었다.
(3) 제2차 국공합작
제2차 국공합작은 장제스 군대의 장시(江西) 소비에트에 대한 포위를 벗어나 장정(長征)의 길에 오른 중국공산당은 1935년 81선언을 통하여, 만주사변 후 극심해진 일본의 중국침략에 대한 항일민족통일전선을 제창하였다. 1936년 시안(西安)사건, 즉 북방의 군벌 장쉐량(張學良)이, 공산당의 배후를 공격하도록 독려하기 위하여 찾아온 장제스를 감금하였다가 극적으로 석방한 사건을 계기로 내전반대일치항일(一致抗日)이라는 국민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국민당 역시 협력관계를 모색하게 되었으며, 1937년 7월 일본의 선제공격으로 중일전쟁이 발발함과 동시에 제2차 국공합작이 이루어져 항일통일전선이 형성되었다.
♤ 결론
일본은 공황으로 인한 경제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대륙의 침략 과정에서 국가내부의 문제점과 모순들을 국가외적인 희생양에게 향하게 하는 군국주의국가의 모습을 보였다. 내적 긴장의 외적·공격적 표출은 경제적 위기와 정치적 위기감이 팽배했던 시기에 국외로의 군사적 침략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했었던 것 같다. 하지만 이러한 사건들을 단지 한 국가의 경제적 위기 극복을 위한 방법으로만 보기에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침략의 수단으로 인해 피해국들을 낳았고, 후에 발발한 중일 전쟁과 제2차 세계대전을 보면 일본의 더 큰 야심을 위한 발판이 아니었을까 싶다.
※참고문헌: 만주사변기의 중일외교사, 일본인이 쓴 일본의 역사(하), 일본 현대사
추천자료
1930년대 근대소설의 발전
[하천공학]경인운하에 대한 분석
일본군 위안부(정신대)
[운하][대운하][경인운하][한강운하][낙동강운하][수에즈운하][수나라의 대운하][환경파괴][...
친일문학, 일제말기 지식인의 고뇌
강경애의 소설 지하촌(地下村) 감상
이태준의 단편1편읽고 작품의줄거리와 문학사적의미를 적으시오oe.
(방송대)이태준 소설의 특징과 등장인물의 기능과 특징
[문화통합론과북한문학 공통] '고전'의 가치와 잡지 문장파 근대예술가들의 지향점을 나름대...
일제식민기에 대한 이해 및 견해
[일제강점기]일제(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와 민족주의자, 민족의학, 일제(일제강점기, 식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