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시대별 특징을 요약해보면 삼국시대의 고분에서 금관, 대금구 등과 함께 상당히 많이 출토되고 있다. 이러한 출토물을 통하여 볼 때 우리 나라의 귀걸이는 그 제작 기술이 우수하며, 형태〕제작기법에서 시대적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삼국시대의 귀걸이에는 한 개의 고리만으로 이루어진 소환식 이식(素環式耳飾)과 가는 고리에 자그마한 고리가 달린 것, 수식부 이식(垂飾附耳飾)의 종류가 있었고, 이러한 귀걸이의 재료로 금을 비롯하여 은, 금동, 청동 등이 쓰였는데 금이 가장 많이 쓰였다. 고려시대의 귀걸이는 매우 희귀한 편인데, 현재 남아 있는 순금제 귀걸이는 길이가 3. 3㎝이고 구형 소주(球形小珠) 3개로 연결한 것과 길이 5. 4㎝이고 구형 소주가 수식인 것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유교적인 생활양식을 추구하게 되어 귀걸이를 다는 습속은 성행하지 못하였다. 귀걸이를 다는 풍습은 오랑캐의 풍습이라 하여 귀걸이 사용을 강하게 비난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사용을 금지하게 하였다. 그러나 약간이 남아서 고리가 아닌 걸이의 형태가 자연히 커져 불편해서인지 평상시에 이식하는 습속은 사라지고, 혼례 등 의식 때에만 사용하게 되었다. 현존 유물에서 이를 보면 큰 걸이 밑에 나름대로의 장식물이 달려 있기는 하나 그 형태가 고대 유물에서와 같이 다양한 것이 못되고 대부분이 단조롭다. 다만, 장식물의 단조로움을 보완하기 위하여 장식물 밑에 오색의 술을 달기도 하였다. 요즈음은 재료나 형태가 다양하여져서 귀금속 이외에 인조보석, 플라스틱, 뿔 등 다양한 재료가 쓰이고 있다. 형태도 귀에 붙이는 것, 달아서 흔들리게 하는 것, 기하학적인 도형을 본뜬 것 등 다양하다. 이러한 귀걸이는 예복뿐만 아니라 평상복 등에도 사용하여 자신의 개성을 살리고 있다.
추천자료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의 교육
삼국시대의 체육이 현대체육에 미친 영향
[조선시대][조선시대 왕권][조선시대 왕조][조선시대 왕조실록][왕의 일상][왕복][왕실 호칭]...
[조선시대][조선][공예][회화][성리학][양명학][농민통제][신분제도]조선시대(조선) 공예, 조...
[성리학][성리학 이념][고려말 성리학][조선시대 성리학][관학화][도학화]성리학의 기능, 성...
[복식문화][의복문화][복식][의복][백제][고려][조선][효명세자][대원군]백제시대 복식문화(...
[조선]조선시대 관학 교육기관 성균관, 조선시대 관학 교육기관 4부 학당, 조선시대 관학 교...
[조선시대 미술][조선시대 그림][조선시대 서예][조선시대 풍속화]조선시대 미술의 의의, 조...
[조선시대 문학][여성가사][시조][한문단편][청구야담]조선시대 문학의 특징, 조선시대 문학 ...
삼국시대의 교육과 고려시대의 교육
삼국시대의 체육
고구려시대 시조 여수장우중문시, 신라시대 시조 화왕계, 신라시대 시조 제가야산독서당, 고...
[토지세][조선시대토지세][한국토지세][미국 캘리포니아토지세][외국토지세][조선시대][한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