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ADHD 란 무엇인가?
2. ADHD 개념의 발전
3. ADHD의 원인
4. ADHD의 출현율
5. ADHD의 증상과 행동
5. ADHD의 동반장애
7. ADHD의 진단과 평가
8. ADHD를 위한 교수전략
9. ADHD 아동에 대해 교사가 알고 있어야 하는 사전지식
10. ADHD 아동을 위한 교실 프로그램
11. ‘대학교수가 된 ADHD 소년 리틀 몬스터’ 를 읽고
2. ADHD 개념의 발전
3. ADHD의 원인
4. ADHD의 출현율
5. ADHD의 증상과 행동
5. ADHD의 동반장애
7. ADHD의 진단과 평가
8. ADHD를 위한 교수전략
9. ADHD 아동에 대해 교사가 알고 있어야 하는 사전지식
10. ADHD 아동을 위한 교실 프로그램
11. ‘대학교수가 된 ADHD 소년 리틀 몬스터’ 를 읽고
본문내용
기울여야 한다. ADHD 자체를 완전히 제거하려고 하기보다는 버려야 할 측면과 장려하여야 할 측면을 잘 고려하여 선별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정상적이 도려고 애쓰기 보다는 행복해 지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아이들 스스로도 ADHD가 어떤 것인지 정확히 알게 하여야 한다. 특히 ADHD가 갖고 있는 긍정적인 측면에 대해서 알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ADHD는 그 증상을 가진 사람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그의 친구들이 공부하는 데 영향을 미치고, 그의 부모들이 자신들을 바라보는 데에, 또 사회에서 어떻게 대접받게 되는 지에도 영향을 미치며, 그들의 연인이나 동료들의 자존심에까지 아주 넓게 또 구석구석 영향을 미친다. 그렇기에 주위 사람들이 ADHD를 가진 이들을 거리감을 두고 대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인정하고 받아줄 수 있는 이해력이 필요할 것이다.
ADHD를 가진 사람들은 결코 실패자도 멍청이도 아닐 뿐더러, 꾀를 부리는 나태한 사람도 아니고, 정신분열도, 서서히 미쳐가는 것도 아니었다. 단지 ADHD를 가진 것뿐이다.
그렇기에 그들은 각자 나름의 개성과 성격을 갖고 세상을 살아간다. ADHD도 한사람의 개성이자 성격일 뿐이다. 물론 다른 이들이 쉽게 이해하기에는 아직 사회적 환경이 잘 조성되어 있지는 않지만 말이다. 앞으로 미래에 교사가 될 우리들은 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학생들을 만나게 된다. 교사로서 그들의 개성과 성격 특성을 잘 파악하고 학생들이 갖고 있는 그들 나름대로의 에너지를 그들이 발전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고 보듬어 주는 역할이 필요하리라 생각해 본다.
ADHD는 그 증상을 가진 사람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그의 친구들이 공부하는 데 영향을 미치고, 그의 부모들이 자신들을 바라보는 데에, 또 사회에서 어떻게 대접받게 되는 지에도 영향을 미치며, 그들의 연인이나 동료들의 자존심에까지 아주 넓게 또 구석구석 영향을 미친다. 그렇기에 주위 사람들이 ADHD를 가진 이들을 거리감을 두고 대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인정하고 받아줄 수 있는 이해력이 필요할 것이다.
ADHD를 가진 사람들은 결코 실패자도 멍청이도 아닐 뿐더러, 꾀를 부리는 나태한 사람도 아니고, 정신분열도, 서서히 미쳐가는 것도 아니었다. 단지 ADHD를 가진 것뿐이다.
그렇기에 그들은 각자 나름의 개성과 성격을 갖고 세상을 살아간다. ADHD도 한사람의 개성이자 성격일 뿐이다. 물론 다른 이들이 쉽게 이해하기에는 아직 사회적 환경이 잘 조성되어 있지는 않지만 말이다. 앞으로 미래에 교사가 될 우리들은 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학생들을 만나게 된다. 교사로서 그들의 개성과 성격 특성을 잘 파악하고 학생들이 갖고 있는 그들 나름대로의 에너지를 그들이 발전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고 보듬어 주는 역할이 필요하리라 생각해 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