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가가 쓴 이책 '건축의 외부공간'을 읽으면서 내가 알고있는 우리나라의 유명한 몇몇 건물들과 대비하여 생각해 보았다. 내가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종로타워, 붉은색의 교보빌딩, 강남의 아이파크타워등등. 다른것들은 제쳐두고, 종로타워에 관해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많은 것도 알고 있다. 건축물은 혼자서 솟아있는 것이 아니며, 그러한 관점에서 주변과의 조화를 꾀하지 못한 구조물이란 관점에서 비판받는... 종로타워의 앞에도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외부공간이 존재한다. 나름대로의 계획과 의도대로 설계된 그곳은 공간 연속적인 측면과 유동인구가 많은 도심지 한가운데 쉼터를 제공하였다는 관점에서 긍정적이지만, 협소한 공간과 건물에서 끌어들이는 흡입력은 부족했다고 생각한다.
일본건축가가 쓴 이 책은, 일본건축물과 유럽건축과의 비교란 관점이 종종 등장하는데, 같은 동양의 문화속에 건축문화도 비슷한 면이 없지 않지만 상대적으로 그리 알려지지 않은 일본의 건축이라는 관점에서는 조금 아쉽다. 직접 경험해보지 못한 채 사진만으로 내용을 이해하기에는 솔직히 조금 어려웠다고 말하고 싶다. 그러나 분명한건, 책의 제목처럼 건축의 외부공간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큰 기준을 제시하였고, 그러한 공간까지 함께 건축의 하나로 볼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해 준데 대해 큰 의의를 느낀다.
건축에 관련된 많은 책을 읽어봤지만, 나역시 구조물에만 관심이 있었지 외부공간에 비중을 두고 본적은 거의 없었던 걸로 기억된다. 졸업을 반년정도 남겨둔 이때, 앞으로의 건축의 발전방향을 본 것 같아서 나에게 크게 기억되며, 더 큰 건축의 범위를 일깨워 준 것에 감사한다.
일본건축가가 쓴 이 책은, 일본건축물과 유럽건축과의 비교란 관점이 종종 등장하는데, 같은 동양의 문화속에 건축문화도 비슷한 면이 없지 않지만 상대적으로 그리 알려지지 않은 일본의 건축이라는 관점에서는 조금 아쉽다. 직접 경험해보지 못한 채 사진만으로 내용을 이해하기에는 솔직히 조금 어려웠다고 말하고 싶다. 그러나 분명한건, 책의 제목처럼 건축의 외부공간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큰 기준을 제시하였고, 그러한 공간까지 함께 건축의 하나로 볼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해 준데 대해 큰 의의를 느낀다.
건축에 관련된 많은 책을 읽어봤지만, 나역시 구조물에만 관심이 있었지 외부공간에 비중을 두고 본적은 거의 없었던 걸로 기억된다. 졸업을 반년정도 남겨둔 이때, 앞으로의 건축의 발전방향을 본 것 같아서 나에게 크게 기억되며, 더 큰 건축의 범위를 일깨워 준 것에 감사한다.
추천자료
주거 공간에 따른 의생활 양상 (의류직물학 내의 주거공간)
주거공간과 웰빙
공간사옥에 대한 보고서
공간의식을 중심으로 한 백석 시 연구
옥외공간
생태환경적 주거, 주거공간의 필요와 목적, 주거공간이란, 주고공간의 사례,
공간예술의 이해, 브르고스 대성당, 아헨 대성당, 샤르트르 대성당
공간구조론의 이론에 대하여
실내공간 구성요소
[여가공간의 범위와 특성] 여가공간 정의 및 유형과 특성 및 분류
[한옥][한옥 특징][한옥 상징성][한옥 구성공간][한옥 재료][환경][풍수지리][한옥 관련 제언...
공간에서의 잔디조경에 대한 검토
공간기획안 1 - 베이커리(크라운 베이커리)
[공간디자인]주택설계에 있어서의 매개공간의 의미와 해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