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인류 등장의 전야
3. 인류의 등장
4. 오스트랄로피테쿠스
1) 발굴의 역사
2)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종류와 특징
5. 호모 에렉투스
6. 호모 사피엔스
7. 네안데르탈인
8. 현생 인류의 등장
2. 인류 등장의 전야
3. 인류의 등장
4. 오스트랄로피테쿠스
1) 발굴의 역사
2)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종류와 특징
5. 호모 에렉투스
6. 호모 사피엔스
7. 네안데르탈인
8. 현생 인류의 등장
본문내용
적 특성을 지닌 좁은 범위의 화석인류집단에 대한 명칭으로 사용하자는 주장 등이 있어 왔다. 최근에는 네안데르탈인을 포함하여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가 등장하기 이전까지 플라이스토세 후기의 모든 화석 인류를 단순히 “옛 호모 사피엔스”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다. 이 시기의 화석 집단은 그 발견된 위치에 따라 크게 아시아 대륙,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북 아프리카, 중동 및 유럽의 다섯 지역군으로 나눌수 있다.이렇게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화석이 발견된다는 사실 그 자체는 이 시기의 인류 진화의 가장 뚜렷한 특징으로써, 인류는 플라이토세 후기 단계에서 구대륙의 거의 모든 지역에 살게 되었다.
네안데르탈인이 인류 진화과정상 지니는 의미에 대해서는 현재 많은 논란이 있는데, 이들이 과연 새로이 외부에서 등장하여 유럽으로 이주한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에 의해서 대체되었는가, 즉 이들과 현대인은 아무런 진화적 관계가 없는가, 아니면 이들이 유럽의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로 진화하였는가 하는 문제이다. 현재 학계의대세는 네안데르탈인은 다른 지역의 여러 집단과 많은 특징을 공유하고 있고 이들만의 독특한 특징들은 지역적 적응의 결과로써 이들도 이시기의 다른 집단과 마찬가지로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의 등장에 일정 정도 유전적 기여를 하였다.즉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는 네안데르탈인을 위시한 다양한 옛 사피엔스 집단에서 진화하였다고 보는 입장이다.
8. 현생 인류의 등장
옛 사피엔스에서 현생 인류로의 진화는 형질 인류학에서 흔히 대 전이라고 불리는 과정적 사건이다. 대전이는 그 지역 토착집단의 진화의 과정인 동시에 이미 현생인류로의 진화를 마친 집단의 외부로부터의 이입이라는 두 과정의 복합적 결과이다.
옛 사피엔스의 기술은 매우 발달하여 도구의 전문화를 가져와 신체 각 부위의 도구적 기능을 감소시켰다. 바로 이러한 변화가 호모 사피엔스의 형질적 특징을 현대인화의 방향으로 유도한 가장 중요한 진화적 선택 영력인 것이다. 기술의 발달이라는 선택 요인은 특정 형질과 관계된 유전자의 유전자급원 내에서의 발생 빈도에 영향을 주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전자 급원 내에서 현대인적인 형질이 보다 빈번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계속적인 기술의 발달은 인류의 행동 양식의 변화를 가속화하였고, 그 결과 형질 진화의 속도 역시 더욱 빨라지게 되었는데, 그러한 과정이 진행되던 중 어느 시점 이후 인류 전체의 유전자 급원에서 현대인적 형질과 관계된 유전자가 그렇지 못한 유전자를 압도적으로 대체하게 되었을 때 대전이가 발생한 것이라고 할수 있는 것이다.
지구상에 등장한 최초의 현생 인류는 해부학적 관점에서 우리와 같은 신체적 특징의 집단이다. 그러나 만약 우리가 실제로 그들을 볼 수 있다면 우리는 그들이 우리와는 다른 모습이라고 생각하게 될 것이다. 이들을 우리가 현생인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이들에게서 현대인의 특징이 옛 사피엔스의 특징보다 훨씬 높은 빈도로 발견되기 때문이지만, 이들은 현대를 살고 있는 어떠한 집단들보다 옛 사피엔스의 형질적 특징을 많이 갖추고 있는 집단이다.
네안데르탈인이 인류 진화과정상 지니는 의미에 대해서는 현재 많은 논란이 있는데, 이들이 과연 새로이 외부에서 등장하여 유럽으로 이주한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에 의해서 대체되었는가, 즉 이들과 현대인은 아무런 진화적 관계가 없는가, 아니면 이들이 유럽의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로 진화하였는가 하는 문제이다. 현재 학계의대세는 네안데르탈인은 다른 지역의 여러 집단과 많은 특징을 공유하고 있고 이들만의 독특한 특징들은 지역적 적응의 결과로써 이들도 이시기의 다른 집단과 마찬가지로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의 등장에 일정 정도 유전적 기여를 하였다.즉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는 네안데르탈인을 위시한 다양한 옛 사피엔스 집단에서 진화하였다고 보는 입장이다.
8. 현생 인류의 등장
옛 사피엔스에서 현생 인류로의 진화는 형질 인류학에서 흔히 대 전이라고 불리는 과정적 사건이다. 대전이는 그 지역 토착집단의 진화의 과정인 동시에 이미 현생인류로의 진화를 마친 집단의 외부로부터의 이입이라는 두 과정의 복합적 결과이다.
옛 사피엔스의 기술은 매우 발달하여 도구의 전문화를 가져와 신체 각 부위의 도구적 기능을 감소시켰다. 바로 이러한 변화가 호모 사피엔스의 형질적 특징을 현대인화의 방향으로 유도한 가장 중요한 진화적 선택 영력인 것이다. 기술의 발달이라는 선택 요인은 특정 형질과 관계된 유전자의 유전자급원 내에서의 발생 빈도에 영향을 주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전자 급원 내에서 현대인적인 형질이 보다 빈번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계속적인 기술의 발달은 인류의 행동 양식의 변화를 가속화하였고, 그 결과 형질 진화의 속도 역시 더욱 빨라지게 되었는데, 그러한 과정이 진행되던 중 어느 시점 이후 인류 전체의 유전자 급원에서 현대인적 형질과 관계된 유전자가 그렇지 못한 유전자를 압도적으로 대체하게 되었을 때 대전이가 발생한 것이라고 할수 있는 것이다.
지구상에 등장한 최초의 현생 인류는 해부학적 관점에서 우리와 같은 신체적 특징의 집단이다. 그러나 만약 우리가 실제로 그들을 볼 수 있다면 우리는 그들이 우리와는 다른 모습이라고 생각하게 될 것이다. 이들을 우리가 현생인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이들에게서 현대인의 특징이 옛 사피엔스의 특징보다 훨씬 높은 빈도로 발견되기 때문이지만, 이들은 현대를 살고 있는 어떠한 집단들보다 옛 사피엔스의 형질적 특징을 많이 갖추고 있는 집단이다.
추천자료
문화인류학이란?
인류 경제 사회의 변천 과정 조사
인류학의 가치
인류학이란 무엇인가?
경제인류학이란 무엇인가?
인류의 기원과 각 시대의 문화(구석기,신석기시대)
인류의 에너지 이용
인류 오디세이(감상문)
인류의 동등성에 대한 고찰
[문화유적발굴][문화유적][유적][발굴][인류][문화재도굴][미노아문명][문화유적발굴 개선방...
현대인류의 과제 (환경 변화, 그린피스, 기아)
제3인류 독후감
생물학과 심리학,진화심리학,심리기제들의 진화,진화심리학의 평가,인류조상과 자녀양육,인류...
창조과학의 과학적 근거 - 실러캔스, 개구리, 얼굴, 나침판, 홍수, 원시대기, 고대인류 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