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스모란?
2. 스모의 유래와 역사
3.스모의 개최시기 및 명칭
4. 스모의 용어설명
5. 스모의 순위
6.스모의 진행순서
7. 스모의 조직체 스모베야[相撲部屋]제도
8.스모와 씨름의 민족성 비교
9.스모의 국제화
Ⅲ. 결론
Ⅱ. 본론
1. 스모란?
2. 스모의 유래와 역사
3.스모의 개최시기 및 명칭
4. 스모의 용어설명
5. 스모의 순위
6.스모의 진행순서
7. 스모의 조직체 스모베야[相撲部屋]제도
8.스모와 씨름의 민족성 비교
9.스모의 국제화
Ⅲ. 결론
본문내용
온 길들여진 민족과 자기주장이 강한 민족의 차이이다. 그래서인지 스모선수들은 이기든 지든 표정의 변화가 거의 없다. 씨름에서의 승자는 포효한다. 본심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는 사람과 다혈질의 기질의 차이이다.
의식의 유무도 크게 다르다. 스모는 두 선수가 맞붙는 시간보다 시합 전의 요란한 의식에 훨씬 공을 들인다. 양은 적어도 요모조모 아기자기하게 모양을 내어 '눈으로 먹는다.' 는 일본음식과 상다리가 휘어지도록 차려야 직성이 풀리는 한국음식의 차이가 스포츠에도 적용된 듯하다.
본래 씨름판에는 스모의 도효와 같은 경계가 없었다. 자연스럽게 빙 둘러쳐진 구경꾼들의 울타리 넘어서면 제자리로 돌아와 다시 붙었다. 이처럼 승패를 가르는 선의 있고 없음을 두고 섬나라 일본과 대륙으로 이어진 한국의 지정학적 차이를 거론하는 이들도 있다.
9. 스모의 국제화
스모의 대중적 인기는 열렬한 팬이었던 히로히토 천황에 의해 더욱 강화되었다. 1955년 5월의 토너먼트 대회를 시작으로 히로히토 천황은 동경에서 열리는 각 경기에 하루씩 꼭 참석하여 귀빈석에 앉아 관람하곤 했다. 이러한 관습은 다른 왕족들에게도 계승되었고, 외교사절이나 해외의 방문인사들은 종종 스모경기에 초대 받았다. 스모는 해외의 일본 단체들이 처음으로 외국에 선을 보였지만 수십 년 전부터 외국인들의 관심을 끌어왔다. 1960년대 이래로 미국과 캐나다, 중국, 한국, 몽고, 태평양의 통고섬 등의 젊은 레슬링 선수들이 스모를 배우러 일본으로 왔는데 그 중의 일부는 언어와 문화적 장벽을 극복하고 성공하였다. 1993년에 하와이에서 온 미국인 아케보노는 요코즈나에서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다. 호주와 유럽, 미국 등 여러 나라에서 열린 시범경기로 큰 선전효과를 거두어 스모는 해외에서도 인기 있는 스포츠가 되었다. 아마추어 스모 후원 인들의 노력으로 스모는 올림픽에 시범종목으로 소개되었으나 그 채택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Ⅲ. 결론
침체되어 있던 일본의 씨름계에 충격을 던졌던 최신 뉴스는 인기스타 다카노하나(貴乃花)의 은퇴와 몽골출신 스모선수 아사쇼류(朝靑龍)의 요코즈나 등극 소식이었다. 다카노하나의 은퇴로 현재 요코즈나의 자리엔 하와이출신 무사시마루(武藏丸)와 몽골출신 아사쇼류 두 명의 외국인 선수가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외국선수들의 빠른 성장에 불만을 표하는 일본인들도 적지 않다. 그러나 국기(國技)란 단지 어떤 국가의 특별한 국민들만을 위해 닫혀진 문화는 아니다. 스모는 일본의 국기이지만, 전 세계인들과 함께 즐길 수 있다면 그건 분명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일본의 스모가 범정부적인 차원의 각종 지원을 받으며 현대적인 인기스포츠로 자리 잡은 반면 민속씨름은 단 3개 팀만이 존재하고 있는 대조적인 현실이다. 스모가 일본 왕실의 연중행사로서 정부의 보호를 받은 반면, 씨름은 단오절 등의 마을 행사로 민중의 애환을 대변했다. 외국인들에게 일본의 스모 전용경기장이 도쿄의 명물인 것처럼 씨름 전용 경기장을 한국의 명소로 키우고, 씨름의 국제화를 꾀해야할 것이다. 자기 문화를 널리 알리는 것이야말로 국력을 높이는 길이자 세계화의 첫걸음이니 말이다.
<참고문헌>
- 돌로레스 마르티네즈(2000), 왜 일본인들은 스모에 열광하는가, 바다출판사
- 김미란(2000), 일본문화, 형설출판사
<참고사이트>
- http://www.sumo.or.jp/eng/index.html(일본스모협회)
- http://jipango.co.kr/sports/sw/somo1.asp
- http://cafe.daum.net/sumo(다음카페)
- http://naver.com/(네이버)
- http://www.joins.com/(중앙일보)
의식의 유무도 크게 다르다. 스모는 두 선수가 맞붙는 시간보다 시합 전의 요란한 의식에 훨씬 공을 들인다. 양은 적어도 요모조모 아기자기하게 모양을 내어 '눈으로 먹는다.' 는 일본음식과 상다리가 휘어지도록 차려야 직성이 풀리는 한국음식의 차이가 스포츠에도 적용된 듯하다.
본래 씨름판에는 스모의 도효와 같은 경계가 없었다. 자연스럽게 빙 둘러쳐진 구경꾼들의 울타리 넘어서면 제자리로 돌아와 다시 붙었다. 이처럼 승패를 가르는 선의 있고 없음을 두고 섬나라 일본과 대륙으로 이어진 한국의 지정학적 차이를 거론하는 이들도 있다.
9. 스모의 국제화
스모의 대중적 인기는 열렬한 팬이었던 히로히토 천황에 의해 더욱 강화되었다. 1955년 5월의 토너먼트 대회를 시작으로 히로히토 천황은 동경에서 열리는 각 경기에 하루씩 꼭 참석하여 귀빈석에 앉아 관람하곤 했다. 이러한 관습은 다른 왕족들에게도 계승되었고, 외교사절이나 해외의 방문인사들은 종종 스모경기에 초대 받았다. 스모는 해외의 일본 단체들이 처음으로 외국에 선을 보였지만 수십 년 전부터 외국인들의 관심을 끌어왔다. 1960년대 이래로 미국과 캐나다, 중국, 한국, 몽고, 태평양의 통고섬 등의 젊은 레슬링 선수들이 스모를 배우러 일본으로 왔는데 그 중의 일부는 언어와 문화적 장벽을 극복하고 성공하였다. 1993년에 하와이에서 온 미국인 아케보노는 요코즈나에서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다. 호주와 유럽, 미국 등 여러 나라에서 열린 시범경기로 큰 선전효과를 거두어 스모는 해외에서도 인기 있는 스포츠가 되었다. 아마추어 스모 후원 인들의 노력으로 스모는 올림픽에 시범종목으로 소개되었으나 그 채택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Ⅲ. 결론
침체되어 있던 일본의 씨름계에 충격을 던졌던 최신 뉴스는 인기스타 다카노하나(貴乃花)의 은퇴와 몽골출신 스모선수 아사쇼류(朝靑龍)의 요코즈나 등극 소식이었다. 다카노하나의 은퇴로 현재 요코즈나의 자리엔 하와이출신 무사시마루(武藏丸)와 몽골출신 아사쇼류 두 명의 외국인 선수가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외국선수들의 빠른 성장에 불만을 표하는 일본인들도 적지 않다. 그러나 국기(國技)란 단지 어떤 국가의 특별한 국민들만을 위해 닫혀진 문화는 아니다. 스모는 일본의 국기이지만, 전 세계인들과 함께 즐길 수 있다면 그건 분명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일본의 스모가 범정부적인 차원의 각종 지원을 받으며 현대적인 인기스포츠로 자리 잡은 반면 민속씨름은 단 3개 팀만이 존재하고 있는 대조적인 현실이다. 스모가 일본 왕실의 연중행사로서 정부의 보호를 받은 반면, 씨름은 단오절 등의 마을 행사로 민중의 애환을 대변했다. 외국인들에게 일본의 스모 전용경기장이 도쿄의 명물인 것처럼 씨름 전용 경기장을 한국의 명소로 키우고, 씨름의 국제화를 꾀해야할 것이다. 자기 문화를 널리 알리는 것이야말로 국력을 높이는 길이자 세계화의 첫걸음이니 말이다.
<참고문헌>
- 돌로레스 마르티네즈(2000), 왜 일본인들은 스모에 열광하는가, 바다출판사
- 김미란(2000), 일본문화, 형설출판사
<참고사이트>
- http://www.sumo.or.jp/eng/index.html(일본스모협회)
- http://jipango.co.kr/sports/sw/somo1.asp
- http://cafe.daum.net/sumo(다음카페)
- http://naver.com/(네이버)
- http://www.joins.com/(중앙일보)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에서의 민주주의와 법치주의의 과제 역사적 고찰
실재론 vs 유명론 -역사 재인식
(한국문화의이해)대중 목욕의 역사와 변화에 대하여
밀의 2차 가공품 제과에 대해.
스와핑의 정의 및 역사, 해석-관점-이론, 방법-유형-실태, 찬성 및 반대 의견, 법적논쟁 정리
지역사회 프레젠테이션(인천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자)
묵시문학이 생성된 역사적 배경과 묵시문학의 양식과 기능
출애굽기 요점정리 - 출애굽기의 기원과 역사, 내용요약 및 분석, 출애굽기의 특징, 주요사상
성균관(成均館)에 대해
[중급일본어활용]지리, 역사, 사회문화면에 있어서 관서지방과 관동지방을 서로 비교, 기술
현대사회에서 인간관계론이 갖는 위치와 필요성에 대해 논하시오
[일상생활사] 담배의 역사 - 담배의 원산지와 전래과정, 담배의 어원과 문화, 담배의 상업적 ...
유아수학교육의 목적에 대해 설명하고 이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밝히시오 - 유아수학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