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언어 장애의 정의
♦ 언어장애를 일으키는 요인
♦ 언어장애의 분류
♦ 언어장애아의 진단
♦ 언어장애의 치료
♦ 언어장애를 일으키는 요인
♦ 언어장애의 분류
♦ 언어장애아의 진단
♦ 언어장애의 치료
본문내용
, /i/를 계속 훈련시키고 비강음과 구강음으 조합시키기 훈련을 실시한다.
-조음 훈련
턱운동, 입술운동, 볼운동, 혀운동을 실시한다. 턱운동은 하악을 거상, 하강을 되풀이 시키고 , 하악장 반사운동을 시키며 껌씹기나 오징어 씹기를 시킨다. 입술운동은 입술의 돌출, 입에 물건 물고 있기, 불기를 시킨다. 볼운동은 입술운동과 관련이 있고 볼 부풀리기, 빨대로 물빠는 연습하기, 볼 최대한 움푹꺼지게 하기, 음식물 삼키기등을 실시한다. 혀운동은 거2.발성장애(음성장애)
잘못된 발성법을 고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어린이에서는 너무 소리를 지르며 놀지 않도록 생활지도를 잘 해주어야 한다.
초기 병변은 성대 휴식을 위한 침묵요법(환자가 말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소실되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며 수술 현미경하에서 성대에 최소한의 외상을 주도록 하는 정교한 후두미세수술을 시행하여 병변을 제거하여야 한다.
수술 후 약 1-2개월 후 까지 성대사용을 최소화하고 건조한 공기를 피하는 것이 수술부위의 치유에 필수적인 사항이다.
3.실어증
1)멜로디억양치료법
이 치료법은 비교적 구어이해력은 좋으며 자발적인 발화산출능력이 크게 부족한 환자들에게 실시한다. 쉬운 멜로디를 단어에 붙여서 먼저 멜로디를 자연스럽게 따라 하도록 유도하고, 이 멜로디의 흐름에 따라 단어를 말하도록 도와준다. 이런 활동을 익숙하게 반복한 경우에는 멜로디를 제거하고 실제 발화음으로 단어를 말하도록 한다. 크게 3단계로 나누어 치료를 진행하는데 처음의 2단계에서는 다중 음절의 단어에 음악적으로 억양을 붙여서 발하도록 하고 3단계에서는 좀더 길고 음운적으로 복잡한 문장을 제시한다.
2)시각적동작치료기법
적절한 청각기억과 저장이 가능함에도 심하게 구어 표현력이 손상된 대개 전반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치료법이다. 실제 사물과 사물을 본떠 그린 선과 사물의 기능을 묘사하는 간단한 동작 그림을 포함한 3가지를 이용한다. 각각의 프로그램은 체계적으로 조작된 수행 단계들로 구성되어져 있어 그림과 사물을 짝짓는 기초적인 활동에서부터 환자 혼자서 연속적인 수행을 이행하도록 돕는다.
4.유창성장애(말더듬장애)
1)말더듬 수정법
말더듬 수정법의 이론적 근거는 말소리의 반복이나 연장 그 자체보다도 말을 더듬지 않으려는 투쟁이나 회피 노력 때문에 말더듬이 더욱 악화된 것이다. 말더듬에 대한 공포감과 그공포과 관련된 회피행동을 줄여서 말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며, 말이나 상황을 피하지 않고 단어공포나 상황공포에 대처하는 방법을 가르치고, 말더듬이의 사회적, 정서를 적응능력을 길러줌으로써 유창성을 유지시킨다.
치료사와의 상담을 주요방법으로 사용하며 치료프로그램도 엄격하게 짜여져 있지 않아서 말더듬이와 치료사의 상호작용에 따라서 융통성 있게 진행된다. 말더듬 행동만을 치료대상으로 삼아서는 성공할 수 없으므로 말더듬는 사람전체를 대상으로 간주해야 하며, 말더듬이로 하여금 자신의 역할을 받아들이게 하는 것, 즉 자신이 말더듬이라는 것을 인정하여 자신의 문제를 감추지 않고 드러냄으로써 말을 더듬는 순간에 수반되는 투쟁과 긴장을 감소시켜야만 한다.
2)유창성 접근법
유창성 접근법은 행동수정 이론의 조작적 조건화와 프로그램 원리를 기초로 하며 그 원리는 통제된 상황하에서 강호와 점진적인 유사로 유창한 말을 형성시킨 다음. 완성된 유창한 말을 일반 상황하에서 사용하도록 일반화시킨다는 것이다. 말에 대한 공포와 회피를 치료의 직접적인 목표로 삼지 않으며, 유창성이 증가하면 공포감도 더불어 감소되어서 자연적으로 말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바뀐다고 보기 때문이다. 말더듬이의 태도와 공포, 적응은 다루지 않고 말을 느리게 하거나 말을 부드럽게 시작하게 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전국 장애인 등록수>
시도별
계
계
남
여
계
1,699,329
1,093,650
605,679
서울
281,749
182,360
99,389
부산
119,596
78,793
40,803
대구
81,555
52,974
28,581
인천
89,146
59,617
29,529
광주
45,979
28,133
17,846
대전
47,986
30,770
17,216
울산
32,637
21,430
11,207
경기
322,799
211,732
111,067
강원
69,963
45,428
24,535
충북
63,561
40,695
22,866
충남
88,136
56,645
31,491
전북
96,625
58,804
37,821
전남
103,258
62,878
40,380
경북
113,735
72,580
41,155
경남
120,941
77,986
42,955
제주
21,663
12,825
8,838
<전국 언어장애인 등록수>
시도별
계
2급
3급
4급
계
남
여
계
계
계
계
13,874
10,135
3,739
2,017
5,853
6,004
서울
2,136
1,603
533
216
873
1,047
부산
781
603
178
71
365
345
대구
623
484
139
53
295
275
인천
646
487
159
89
282
275
광주
401
299
102
61
147
193
대전
308
228
80
32
131
145
울산
225
142
83
34
93
98
경기
2,536
1,872
664
325
1,046
1,165
강원
618
429
189
114
273
231
충북
510
370
140
66
208
236
충남
838
573
265
163
335
340
전북
892
657
235
134
398
360
전남
1,169
807
362
252
494
423
경북
973
726
247
138
439
396
경남
1,040
716
324
241
411
388
제주
178
139
39
28
63
87
<보건복지부 2005.6월통계>
-조음 훈련
턱운동, 입술운동, 볼운동, 혀운동을 실시한다. 턱운동은 하악을 거상, 하강을 되풀이 시키고 , 하악장 반사운동을 시키며 껌씹기나 오징어 씹기를 시킨다. 입술운동은 입술의 돌출, 입에 물건 물고 있기, 불기를 시킨다. 볼운동은 입술운동과 관련이 있고 볼 부풀리기, 빨대로 물빠는 연습하기, 볼 최대한 움푹꺼지게 하기, 음식물 삼키기등을 실시한다. 혀운동은 거2.발성장애(음성장애)
잘못된 발성법을 고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어린이에서는 너무 소리를 지르며 놀지 않도록 생활지도를 잘 해주어야 한다.
초기 병변은 성대 휴식을 위한 침묵요법(환자가 말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소실되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며 수술 현미경하에서 성대에 최소한의 외상을 주도록 하는 정교한 후두미세수술을 시행하여 병변을 제거하여야 한다.
수술 후 약 1-2개월 후 까지 성대사용을 최소화하고 건조한 공기를 피하는 것이 수술부위의 치유에 필수적인 사항이다.
3.실어증
1)멜로디억양치료법
이 치료법은 비교적 구어이해력은 좋으며 자발적인 발화산출능력이 크게 부족한 환자들에게 실시한다. 쉬운 멜로디를 단어에 붙여서 먼저 멜로디를 자연스럽게 따라 하도록 유도하고, 이 멜로디의 흐름에 따라 단어를 말하도록 도와준다. 이런 활동을 익숙하게 반복한 경우에는 멜로디를 제거하고 실제 발화음으로 단어를 말하도록 한다. 크게 3단계로 나누어 치료를 진행하는데 처음의 2단계에서는 다중 음절의 단어에 음악적으로 억양을 붙여서 발하도록 하고 3단계에서는 좀더 길고 음운적으로 복잡한 문장을 제시한다.
2)시각적동작치료기법
적절한 청각기억과 저장이 가능함에도 심하게 구어 표현력이 손상된 대개 전반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치료법이다. 실제 사물과 사물을 본떠 그린 선과 사물의 기능을 묘사하는 간단한 동작 그림을 포함한 3가지를 이용한다. 각각의 프로그램은 체계적으로 조작된 수행 단계들로 구성되어져 있어 그림과 사물을 짝짓는 기초적인 활동에서부터 환자 혼자서 연속적인 수행을 이행하도록 돕는다.
4.유창성장애(말더듬장애)
1)말더듬 수정법
말더듬 수정법의 이론적 근거는 말소리의 반복이나 연장 그 자체보다도 말을 더듬지 않으려는 투쟁이나 회피 노력 때문에 말더듬이 더욱 악화된 것이다. 말더듬에 대한 공포감과 그공포과 관련된 회피행동을 줄여서 말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며, 말이나 상황을 피하지 않고 단어공포나 상황공포에 대처하는 방법을 가르치고, 말더듬이의 사회적, 정서를 적응능력을 길러줌으로써 유창성을 유지시킨다.
치료사와의 상담을 주요방법으로 사용하며 치료프로그램도 엄격하게 짜여져 있지 않아서 말더듬이와 치료사의 상호작용에 따라서 융통성 있게 진행된다. 말더듬 행동만을 치료대상으로 삼아서는 성공할 수 없으므로 말더듬는 사람전체를 대상으로 간주해야 하며, 말더듬이로 하여금 자신의 역할을 받아들이게 하는 것, 즉 자신이 말더듬이라는 것을 인정하여 자신의 문제를 감추지 않고 드러냄으로써 말을 더듬는 순간에 수반되는 투쟁과 긴장을 감소시켜야만 한다.
2)유창성 접근법
유창성 접근법은 행동수정 이론의 조작적 조건화와 프로그램 원리를 기초로 하며 그 원리는 통제된 상황하에서 강호와 점진적인 유사로 유창한 말을 형성시킨 다음. 완성된 유창한 말을 일반 상황하에서 사용하도록 일반화시킨다는 것이다. 말에 대한 공포와 회피를 치료의 직접적인 목표로 삼지 않으며, 유창성이 증가하면 공포감도 더불어 감소되어서 자연적으로 말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바뀐다고 보기 때문이다. 말더듬이의 태도와 공포, 적응은 다루지 않고 말을 느리게 하거나 말을 부드럽게 시작하게 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전국 장애인 등록수>
시도별
계
계
남
여
계
1,699,329
1,093,650
605,679
서울
281,749
182,360
99,389
부산
119,596
78,793
40,803
대구
81,555
52,974
28,581
인천
89,146
59,617
29,529
광주
45,979
28,133
17,846
대전
47,986
30,770
17,216
울산
32,637
21,430
11,207
경기
322,799
211,732
111,067
강원
69,963
45,428
24,535
충북
63,561
40,695
22,866
충남
88,136
56,645
31,491
전북
96,625
58,804
37,821
전남
103,258
62,878
40,380
경북
113,735
72,580
41,155
경남
120,941
77,986
42,955
제주
21,663
12,825
8,838
<전국 언어장애인 등록수>
시도별
계
2급
3급
4급
계
남
여
계
계
계
계
13,874
10,135
3,739
2,017
5,853
6,004
서울
2,136
1,603
533
216
873
1,047
부산
781
603
178
71
365
345
대구
623
484
139
53
295
275
인천
646
487
159
89
282
275
광주
401
299
102
61
147
193
대전
308
228
80
32
131
145
울산
225
142
83
34
93
98
경기
2,536
1,872
664
325
1,046
1,165
강원
618
429
189
114
273
231
충북
510
370
140
66
208
236
충남
838
573
265
163
335
340
전북
892
657
235
134
398
360
전남
1,169
807
362
252
494
423
경북
973
726
247
138
439
396
경남
1,040
716
324
241
411
388
제주
178
139
39
28
63
87
<보건복지부 2005.6월통계>
추천자료
수능 95년도 언어영역 문학 기출문제 분석이빈다.
[과외]중학 국어 1-1학기 기말 6단원 언어의 세계 기출문제(교사용)
[과외]중학 국어 1-1학기 기말 6단원 언어의 세계 예상문제(교사용)
장애아동(특수아동)의 교육, 언어장애아동의 교육, 학습장애아동의 교육, 발달장애아동의 교...
영어공용어화(영어공용화) 원리, 영어공용어화(영어공용화) 배경, 영어공용어화(영어공용화) ...
우리말(국어, 우리글, 한글)의 중요성, 우리말(국어, 우리글, 한글)의 장점, 우리말(국어, 우...
국어순화(우리말순화)의 개념과 배경, 국어순화(우리말순화)의 목적과 저해요인, 국어순화(우...
국어과교육(국어교육) 총체적언어학습과 자기주도적학습, 국어과교육(국어교육) 가치탐구학습...
언어지도-기말(예상문제)
광주여자대학 기말고사 예상문제집 답과 문제(언어지도)
[노인학대 사례] 신체적 언어적학대 및 정서심리학적 학대, 방임등 노인인권침해사례 (노년기...
청소년기 언어 발달과 신조어 사용 (통신어, 매스컴, 최근 신조어, 신조어 뜻, 신조어 원인, ...
[다문화사회복지] 결혼이민자 관련 주요 나라인 베트남에 대한 이해 - 자연환경, 정치, 경제,...
[외국어로서의한국어능력평가론]언어 평가가 갖추어야 할 5가지 조건에 대해 서술하고, 이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