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목차
1. 집단의 개념과 유형
2. 집단사회사업실천
3. 집단사회사업의 역사
4. 집단사회사업실천의 원칙
5. 집단사회사업실천의 모델
6. 집단지도력 이론
7. 집단 발달단계
2. 집단사회사업실천
3. 집단사회사업의 역사
4. 집단사회사업실천의 원칙
5. 집단사회사업실천의 모델
6. 집단지도력 이론
7. 집단 발달단계
본문내용
제 1 절
집단의 개념과 유형
1. 집단의 개념
집단은 성원들이 사회복지사의 관여와 개입에 찬성하고 이를 선택한 사람들의 모임으로, 조직의 다른 부분에 속한 구성원과 만나고 일할 수 있는 좋은 장이다.
집단은 다른 사람들에게 의사결정자로 비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정치적 기술, 분석력, 정서안정을 증명할 수 있는 잘 조직된 환경이다.
*출 처: 남세진ㆍ조흥식, 1999,『집단지도방법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 집단의 특성
첫째, 서로 함께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의 모임으로, 성원 스스로가 자
신을 집단 성원으로 인식함은 물론, 다른 사람들도 그를 집단에
속한 사람이라고 인식하고 인정한다.
둘째, 성원들은 지속적으로 만나도록 기대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을 수
도 있다.
셋째, 성원들이 공통의 목적이나 관심사를 가져야 한다.
넷째, 성원들끼리 정서적 결속과 함께 상호의존적이며,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집단의 크기를 제한하게 된다.
다섯째. 성원의 기능과 역할을 규제하는 규범을 가져야 한다.
3. 집단의 이점
①정보: 집단 구성원들로 하여금 새로운 정보 및 각종 귀중한 정보를 얻게 된다.
②사회적지지: 집단 성원은 조언과 격려, 그리고 동정을 통해 서로를 돕는다.
③사회기술의 개발: 집단 성원들로부터 받는 피드백을 통해 대인 관계적 행동에 있어서의 단점을 수정할 수 있다.
④대인관계 학습: 집단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에 대한 통찰을 얻고 자신이 갖길 원하는 관계형성에 대한 아이디어를 찾을 수 있다.
⑤집단 응집력: 집단 내에서 발달하는 소속감이나 친밀감은 구성원들에게 위로와 용기를 제공한다.
*출 처: 김동배ㆍ이윤로 공저, 2004, ,『집단사회사업의 실천과 평가』, 21세기사.
집단의 개념과 유형
1. 집단의 개념
집단은 성원들이 사회복지사의 관여와 개입에 찬성하고 이를 선택한 사람들의 모임으로, 조직의 다른 부분에 속한 구성원과 만나고 일할 수 있는 좋은 장이다.
집단은 다른 사람들에게 의사결정자로 비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정치적 기술, 분석력, 정서안정을 증명할 수 있는 잘 조직된 환경이다.
*출 처: 남세진ㆍ조흥식, 1999,『집단지도방법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 집단의 특성
첫째, 서로 함께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의 모임으로, 성원 스스로가 자
신을 집단 성원으로 인식함은 물론, 다른 사람들도 그를 집단에
속한 사람이라고 인식하고 인정한다.
둘째, 성원들은 지속적으로 만나도록 기대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을 수
도 있다.
셋째, 성원들이 공통의 목적이나 관심사를 가져야 한다.
넷째, 성원들끼리 정서적 결속과 함께 상호의존적이며,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집단의 크기를 제한하게 된다.
다섯째. 성원의 기능과 역할을 규제하는 규범을 가져야 한다.
3. 집단의 이점
①정보: 집단 구성원들로 하여금 새로운 정보 및 각종 귀중한 정보를 얻게 된다.
②사회적지지: 집단 성원은 조언과 격려, 그리고 동정을 통해 서로를 돕는다.
③사회기술의 개발: 집단 성원들로부터 받는 피드백을 통해 대인 관계적 행동에 있어서의 단점을 수정할 수 있다.
④대인관계 학습: 집단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에 대한 통찰을 얻고 자신이 갖길 원하는 관계형성에 대한 아이디어를 찾을 수 있다.
⑤집단 응집력: 집단 내에서 발달하는 소속감이나 친밀감은 구성원들에게 위로와 용기를 제공한다.
*출 처: 김동배ㆍ이윤로 공저, 2004, ,『집단사회사업의 실천과 평가』, 21세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