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아니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모두가 유학적일 필요는 없지만 우리의 정신은 유학적 사고를 함으로써 이성적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예(禮)’와, 오륜 중에서 ‘장유유서’라는 덕목이 참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단순히 어른을 공경할 줄 알고, 상대방에 대한 태도를 가리킨다는 사실만으로도 충분히 사람들의 중요한 덕목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렇게 개인적으로 중요시하는 덕목을 정해놓고 자신의 태도를 반성하며 생활하는 것도 유학적 사고를 기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유학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다, 지금도 우리 생활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을 정도로 가깝게 있다. 옛 선현들이 왜 그렇게 중요시 여겼는지를 한번만 생각해 본다면 그 당시에만 필요한 그러한 한시적 학문은 아님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전통문화요소의 왜곡에서 오는 현대 한국사회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서양 근·현대 철학사의 흐름
MoMA로 본 현대미술의 변화와 과정
[스포츠] 현대사회와 프로스포츠
자기가 생각하는 한국근현대사 `전쟁 종결과 새로운 동아시아 질서` 수업지도안 및 학습지
중국의 서양화 유입 및 근현대 미술
[전략경영]현대카드의 차별화된 디자인마케팅 분석
우리나라의 전통문화, 현대문화
[경영과의사결정)현대자동차 기업분석(경영현황 및 핵심경쟁력) 및 향후전망 (A+리포트)
한국기업의 리더십 (현대 정주영 회장)
[정신건강론] 현대사회의 정신건강관련 문제에 대해 논하고 이에 대한 개입 및 예방방안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