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선발 기업과 후발기업의 경쟁전략
(삼성전자 지펠과 엘지전자 디오스)]
1.서론
2.본론
(1)삼성전자의 “지펠”과 엘지전자의 “디오스”비교분석
*대표상품
*제조사
*브랜드 어원
*냉각방식
*선반
*가격
< 디오스가 좋다는 의견>
< 지펠이 좋다는 의견 >
< 중립적 입장 >
(2)삼성전자 “지펠”의 경영전략
1. STP 전략
2. 제품 전략
3. 가격 전략
4. 유통 전략
5. Promotion 전략
6. 브랜딩 전략
(3)엘지전자의 “디오스”경쟁전략
3.결론
(삼성전자 지펠과 엘지전자 디오스)]
1.서론
2.본론
(1)삼성전자의 “지펠”과 엘지전자의 “디오스”비교분석
*대표상품
*제조사
*브랜드 어원
*냉각방식
*선반
*가격
< 디오스가 좋다는 의견>
< 지펠이 좋다는 의견 >
< 중립적 입장 >
(2)삼성전자 “지펠”의 경영전략
1. STP 전략
2. 제품 전략
3. 가격 전략
4. 유통 전략
5. Promotion 전략
6. 브랜딩 전략
(3)엘지전자의 “디오스”경쟁전략
3.결론
본문내용
young/ modern/ fresh 등이었다. 이는 지펠이 추구하는 다소 중후하고 클래식한 느낌의 고급감과는 대립되는 디오스만의 고급이미지 형성 전략이었다.
즉, 디오스를 지펠과 같은 고급 영역에 포지셔닝시키되 한편으로는 대립적 이미지를 창출해 주는 ‘경쟁 리포지셔닝(repositioning)’전략을 구사하는 것이었다. 이는 BMW가 미국 시장에 진출하면서 기존 미국 시장의 대표적 고급 차종으로 포지셔닝되어 있던 벤츠와는 또 다른 고급감을 전달하기 위해 ‘차를 아는 사람들’이라는 컨셉트를 통해 합리적이며 젊은 사람들에게 소구함으로써, 결국 벤츠와는 다른 영역에서 벤츠와 같은 고급 승용차로 포지셔닝하는 데 성공한 사례와 맥락을 같이하는 캠페인 전개라 할 수 있겠다.<표 2>
그리고 타깃의 생활을 한 단계 높여 주는, 정말 가치 있는 냉장고로 포지셔닝시켜 주기 위해 향후 전체 광고 캠페인의 큰 흐름이 될 디오스의 컨셉트는 ‘생활의 아름다운 변화 - 디오스’로 설정하였다.
우리는 이러한 전략을 바탕으로 디오스를 최고의 Side by Side 냉장고로 주부들에게 분명히 인식시켜 디오스를 ‘정말 갖고 싶은 냉장고’로 만듦과 동시에 ‘시장 내 No.1 Brand’로 성장시킨다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광고 캠페인 효과를 기대하였다.
*크리에이티브 전략
앞에서 언급한 광고 전략을 바탕으로 우리는 디오스의 크리에이티브 전략에 몇 가지 조건을 가지고 접근하였다.
첫째, 갖고 싶은 냉장고라는 기본 소유가치에 충실하기 위하여 주부의 심리에 최대한 가까워야 한다. 둘째, 경쟁사 대비 차별화되는 디오스만의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독특한 크리에이티브 컬러와 이미지가 전달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광고 전략을 최대한 살리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디오스를 대표할 수 있는 대표 모델이 있어야 한다. 넷째, Side by Side 냉장고의 기본 속성에 부합하기 위한 최고급, 최상의 품격 이미지가 있어야 한다. 다섯째, 주부들의 공감을 얻고 relevance가 강한 광고가 되기 위해 주부의 생활 리얼리티를 최대한 반영하여야 한다.
우리는 이러한 다섯 가지의 크리에이티브 전략을 가지고 가장 먼저 모델 선정 작업부터 시작하였다.
몇 명의 모델이 거론된 끝에 고급감과 신비감, 그리고 디오스의 이미지를 가장 잘 표현해 주는 모델로 심은하가 최적이라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이어서 우리는 주부들의 심리에 가장 가깝게 접근하기 위하여 디오스 광고의 키워드이자 크리에이티브 컨셉트를‘여자라서 너무 행복해요’로 설정하였다. 디오스를 통해 여자로 태어난 기쁨과 여자만이 누릴 수 있는 행복을 실현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는 것이다.
*디오스의 새로운 광고 스토리
다양한 계층의 수많은 팬들로부터 최고의 사랑을 받고 있는 스타 심은하, 그리고 앞에서의 광고 전략을 바탕으로 새로운 천년에 LG전자가 최고의 심혈을 기울이며 최고의 제품으로 만들려고 하는 디오스. 그 둘이 만난 새로운 광고는 그 만남 자체가 화제가 되어, 각 방송국의 취재 열기가 뜨거웠다. 또한 1차, 2차 TV-CF 제작 당시 촬영장에는 심은하의 연기가 시종 분위기를 압도하는 가운데, 국내 최고의 멤버들로 구성된 스태프들 역시 설렘과 흥분으로 동분서주했다.
그러면 이러한 노력으로 탄생한 디오스의 1차, 2차 TV-CF의 전체 스토리 구성은 어떠했는가?
먼저, 1차 TV-CF의 배경은 모두 잠들어 있는 조용한 밤. 조수미의 앨범 중
‘I dreamt I dwelt in Marble Halls’가 그 아름다운 목소리를 통해 전해지는데, 잠자리에 들려다 디오스때문에 잠을 이루지 못하고 나이트 가운을 걸친 채 주방으로 나온 심은하. 디오스를 향한 그녀의 잔잔한 미소와 부드러운 시선이 전체 CF를 이끌며, 디오스를 가질 수 있기에 너무나 행복해 하는 그녀의 따뜻한 목소리, “여자라서 너무 행복해요”라는 멘트로 CF는 끝을 맺게 된다.<광고 1>
다음 2차 TV-CF는 1차와 전체적인 느낌이 비슷하지만, 시추에이션이 욕조로 바뀌었다. 하루 일과를 모두 마친 시간, 편안하게 목욕을 즐기고 있는 행복한 순간의 심은하가 디오스에서 막 꺼낸 듯한 와인 한 잔에 손을 뻗칠 듯한 자세로 욕조에 누워 있다. 이 세상 가장 편안한 자세로 목욕을 즐기고 있는 심은하. 디오스가 있어서 더욱 행복해 하는 모습이 1차 때와 같이 잔잔한 미소와 부드러운 시선에 담겨져 CF를 이끌어 간다.<광고 2>
이 새로운 디오스 캠페인은 제품의 고급감과 여자의 심리를 잘 표현해낸 것과 동시에 심은하라는 모델을 적절히 활용했다는 평가를 듣게 되었다.
*향후의 디오스 광고 캠페인 전개
지금까지 디오스의 새로운 광고 캠페인에 대한 소비자 반응은 매우 성공적인 것으로 각종 시장 지표에 반영되고 있다. 우리는 이 여세를 몰아 지펠을 누르고, 디오스를 국내 최고의 냉장고 브랜드로, 더 나아가 소비자에게 가장 사랑 받는 No.1 가전 브랜드로 만들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 위에서 언급한 광고, 크리에이티브 전략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더욱 성공적인 광고 캠페인을 전개해 나가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3.결론
우리나라 대기업인 삼성과 엘지에서 개발한 지펠과 디오스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예전엔 기업이미지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면 요즘은 제품의 이미지를 강화시켜 특수고객층에게 쉽게 다가 갈 수 있는 마케팅에 대해 생각해보았다.삼성은 기업의 이미지도 엘지보단 훨신 낫고 그러한 점을 유리하게 이용하였고 고급냉장고의 국내 최초 출시를 함으로 선점기업으로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할 엘지의 디오스가 출시되면서 후발기업으로 경쟁을 하게 되었다.두 제품에 성능상으론 삼성의 “지펠”이 소음이 좀 많은게 흠이지만 실용적으로 고객에게 매력을 준다는 걸 알았고 엘지의 “디오스”는 젊은 층의 고객을 한번에 사로잡을수 있는 컬러풀한 디자인으로 고객에게 매력을 준다는 것을 알수 있다. 이렇듯 그 기업에서 제품을 어떠한 부분을 중점을 두고 부각시키야에 따라 고객들이 느끼고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하다.앞으로도 신제품이 계속 개발 될것인데 두 기업의 냉장고를 지켜보면 참 재미있을꺼 같다. 이상~~~
즉, 디오스를 지펠과 같은 고급 영역에 포지셔닝시키되 한편으로는 대립적 이미지를 창출해 주는 ‘경쟁 리포지셔닝(repositioning)’전략을 구사하는 것이었다. 이는 BMW가 미국 시장에 진출하면서 기존 미국 시장의 대표적 고급 차종으로 포지셔닝되어 있던 벤츠와는 또 다른 고급감을 전달하기 위해 ‘차를 아는 사람들’이라는 컨셉트를 통해 합리적이며 젊은 사람들에게 소구함으로써, 결국 벤츠와는 다른 영역에서 벤츠와 같은 고급 승용차로 포지셔닝하는 데 성공한 사례와 맥락을 같이하는 캠페인 전개라 할 수 있겠다.<표 2>
그리고 타깃의 생활을 한 단계 높여 주는, 정말 가치 있는 냉장고로 포지셔닝시켜 주기 위해 향후 전체 광고 캠페인의 큰 흐름이 될 디오스의 컨셉트는 ‘생활의 아름다운 변화 - 디오스’로 설정하였다.
우리는 이러한 전략을 바탕으로 디오스를 최고의 Side by Side 냉장고로 주부들에게 분명히 인식시켜 디오스를 ‘정말 갖고 싶은 냉장고’로 만듦과 동시에 ‘시장 내 No.1 Brand’로 성장시킨다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광고 캠페인 효과를 기대하였다.
*크리에이티브 전략
앞에서 언급한 광고 전략을 바탕으로 우리는 디오스의 크리에이티브 전략에 몇 가지 조건을 가지고 접근하였다.
첫째, 갖고 싶은 냉장고라는 기본 소유가치에 충실하기 위하여 주부의 심리에 최대한 가까워야 한다. 둘째, 경쟁사 대비 차별화되는 디오스만의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독특한 크리에이티브 컬러와 이미지가 전달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광고 전략을 최대한 살리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디오스를 대표할 수 있는 대표 모델이 있어야 한다. 넷째, Side by Side 냉장고의 기본 속성에 부합하기 위한 최고급, 최상의 품격 이미지가 있어야 한다. 다섯째, 주부들의 공감을 얻고 relevance가 강한 광고가 되기 위해 주부의 생활 리얼리티를 최대한 반영하여야 한다.
우리는 이러한 다섯 가지의 크리에이티브 전략을 가지고 가장 먼저 모델 선정 작업부터 시작하였다.
몇 명의 모델이 거론된 끝에 고급감과 신비감, 그리고 디오스의 이미지를 가장 잘 표현해 주는 모델로 심은하가 최적이라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이어서 우리는 주부들의 심리에 가장 가깝게 접근하기 위하여 디오스 광고의 키워드이자 크리에이티브 컨셉트를‘여자라서 너무 행복해요’로 설정하였다. 디오스를 통해 여자로 태어난 기쁨과 여자만이 누릴 수 있는 행복을 실현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는 것이다.
*디오스의 새로운 광고 스토리
다양한 계층의 수많은 팬들로부터 최고의 사랑을 받고 있는 스타 심은하, 그리고 앞에서의 광고 전략을 바탕으로 새로운 천년에 LG전자가 최고의 심혈을 기울이며 최고의 제품으로 만들려고 하는 디오스. 그 둘이 만난 새로운 광고는 그 만남 자체가 화제가 되어, 각 방송국의 취재 열기가 뜨거웠다. 또한 1차, 2차 TV-CF 제작 당시 촬영장에는 심은하의 연기가 시종 분위기를 압도하는 가운데, 국내 최고의 멤버들로 구성된 스태프들 역시 설렘과 흥분으로 동분서주했다.
그러면 이러한 노력으로 탄생한 디오스의 1차, 2차 TV-CF의 전체 스토리 구성은 어떠했는가?
먼저, 1차 TV-CF의 배경은 모두 잠들어 있는 조용한 밤. 조수미의 앨범 중
‘I dreamt I dwelt in Marble Halls’가 그 아름다운 목소리를 통해 전해지는데, 잠자리에 들려다 디오스때문에 잠을 이루지 못하고 나이트 가운을 걸친 채 주방으로 나온 심은하. 디오스를 향한 그녀의 잔잔한 미소와 부드러운 시선이 전체 CF를 이끌며, 디오스를 가질 수 있기에 너무나 행복해 하는 그녀의 따뜻한 목소리, “여자라서 너무 행복해요”라는 멘트로 CF는 끝을 맺게 된다.<광고 1>
다음 2차 TV-CF는 1차와 전체적인 느낌이 비슷하지만, 시추에이션이 욕조로 바뀌었다. 하루 일과를 모두 마친 시간, 편안하게 목욕을 즐기고 있는 행복한 순간의 심은하가 디오스에서 막 꺼낸 듯한 와인 한 잔에 손을 뻗칠 듯한 자세로 욕조에 누워 있다. 이 세상 가장 편안한 자세로 목욕을 즐기고 있는 심은하. 디오스가 있어서 더욱 행복해 하는 모습이 1차 때와 같이 잔잔한 미소와 부드러운 시선에 담겨져 CF를 이끌어 간다.<광고 2>
이 새로운 디오스 캠페인은 제품의 고급감과 여자의 심리를 잘 표현해낸 것과 동시에 심은하라는 모델을 적절히 활용했다는 평가를 듣게 되었다.
*향후의 디오스 광고 캠페인 전개
지금까지 디오스의 새로운 광고 캠페인에 대한 소비자 반응은 매우 성공적인 것으로 각종 시장 지표에 반영되고 있다. 우리는 이 여세를 몰아 지펠을 누르고, 디오스를 국내 최고의 냉장고 브랜드로, 더 나아가 소비자에게 가장 사랑 받는 No.1 가전 브랜드로 만들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 위에서 언급한 광고, 크리에이티브 전략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더욱 성공적인 광고 캠페인을 전개해 나가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3.결론
우리나라 대기업인 삼성과 엘지에서 개발한 지펠과 디오스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예전엔 기업이미지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면 요즘은 제품의 이미지를 강화시켜 특수고객층에게 쉽게 다가 갈 수 있는 마케팅에 대해 생각해보았다.삼성은 기업의 이미지도 엘지보단 훨신 낫고 그러한 점을 유리하게 이용하였고 고급냉장고의 국내 최초 출시를 함으로 선점기업으로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할 엘지의 디오스가 출시되면서 후발기업으로 경쟁을 하게 되었다.두 제품에 성능상으론 삼성의 “지펠”이 소음이 좀 많은게 흠이지만 실용적으로 고객에게 매력을 준다는 걸 알았고 엘지의 “디오스”는 젊은 층의 고객을 한번에 사로잡을수 있는 컬러풀한 디자인으로 고객에게 매력을 준다는 것을 알수 있다. 이렇듯 그 기업에서 제품을 어떠한 부분을 중점을 두고 부각시키야에 따라 고객들이 느끼고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하다.앞으로도 신제품이 계속 개발 될것인데 두 기업의 냉장고를 지켜보면 참 재미있을꺼 같다. 이상~~~
키워드
추천자료
[전략적 제휴][기업경영][기업][경영]전략적 제휴의 바람직한 모습(기업협력과 달리 전략적 ...
기업의 경쟁환경에 따른 경영전략의 유형과 차별화 전략에 필요한 호텔 내 핵심역량이 경영성...
세계자동차시장의 경쟁관계와 국내 자동차기업의 생존전략은?
[다국적기업의 글로벌전략] 글로벌전략의 의의와 경쟁우위, 모델, 수립절차
크린토피아 기업 경영분석및 경쟁우위위한 마케팅전략
[농심 기업분석] 농심의 경영전략분석 보고서 (라면 분야 1위기업, 후발주자의 위협 , 소비의...
[농심 기업분석] 농심의 경영전략분석 (라면 분야 1위기업, 후발주자의 위협 , 소비의 다양화...
국내물류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전략
골드만삭스 (Goldman Sachs) 기업소개, 서비스전략 (고객, 직원, 사회), 경쟁사분석, SWOT분...
월마트 Wal-Mart (기업소개, 경쟁자 분석, 사례요약, 성공 및 실패사례, 이론정리, 월마트 현...
메디슨 -기업소개,메디슨의 경영자원,메디슨의 경영전략,삼성이 메디슨을 인수,메디슨의 개요...
던킨도너츠 Dunkin` Donuts {기업 및 브랜드소개, 마케팅전략, 경쟁사 비교분석, 성공 및 차...
애플 기업분석 Apple Company Analysis (애플 마케팅 분석, 애플 미래전략, 애플 향후 전망, ...
[마케팅 전략 기업 분석 보고서] 페덱스 (FEDEX) FEDEX의 마케팅 전략,경쟁사 비교-DHL,UP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