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과 한국인의 종교의 사고틀
- 개신교 세력 vs Anti- 개신교 세력 -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한국의 개신교
- Anti-개신교 : 비난받는 한국 개신교
Ⅲ. 결론
<참고문헌>
- 개신교 세력 vs Anti- 개신교 세력 -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한국의 개신교
- Anti-개신교 : 비난받는 한국 개신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ro/80009689884
보고서를 보다 효과적으로 쓰기 위하여 이미지를 찾던 중, 이 그림을 찾게 되었다. 이 그림을 보고 어떤 느낌이 드는지 묻고 싶다. 비 개신교, 개신교에 대하여 비판을 하는 사람들은 이 그림에 동조를 하며 개신교에 대한 비난을 할 것이다. 기독교인으로서 나는, 이 그림을 보면서 얼굴이 화끈거리기도 했다. 그만큼 한국 개신교는 정화가 필요하고 사회적인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걸어가야 할 길이 아직 먼것임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술한 것을 보면, 개신교는 교리상 어쩔수 없는 배타주의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는 비난을 받을 만하겠지만 초기에 한국 사회에 끼친 영향등을 생각하며, 개신교를 종교로써만 인정을 해주고, 종교적인 부문에 대하여서는 비판을 가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종교는 가치의 문제이기 때문에, 가치로써 존중해주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 글을 보고 “너는 어쩔수 없는 예수쟁이구나”라고 생각하고 싶은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렇게 생각하라. 그러나 내가 가지고 있는 종교에 대하여, 개신교를 신봉하는 사람들의 인격까지 종교로써 비판하는 태도는 삼가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참고 문헌>
박정신, 한국교회의 어제, 이제 그리고 올제 ― 역사적 논의 . 2005 . 새길교회 창립 18주년 세미나
류상태,. 한국 교회, 어디로 가야 하나?- 한국 교회의 대사회적 갈등 진단 및 대안 찾기 -.2005. 새길교회 창립 18주년 세미나
김흥수, 기독교는 한국 종교인가?
이원규, 한국 종교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한국 종교의 현실과 전망(2)
보고서를 보다 효과적으로 쓰기 위하여 이미지를 찾던 중, 이 그림을 찾게 되었다. 이 그림을 보고 어떤 느낌이 드는지 묻고 싶다. 비 개신교, 개신교에 대하여 비판을 하는 사람들은 이 그림에 동조를 하며 개신교에 대한 비난을 할 것이다. 기독교인으로서 나는, 이 그림을 보면서 얼굴이 화끈거리기도 했다. 그만큼 한국 개신교는 정화가 필요하고 사회적인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걸어가야 할 길이 아직 먼것임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술한 것을 보면, 개신교는 교리상 어쩔수 없는 배타주의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는 비난을 받을 만하겠지만 초기에 한국 사회에 끼친 영향등을 생각하며, 개신교를 종교로써만 인정을 해주고, 종교적인 부문에 대하여서는 비판을 가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종교는 가치의 문제이기 때문에, 가치로써 존중해주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 글을 보고 “너는 어쩔수 없는 예수쟁이구나”라고 생각하고 싶은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렇게 생각하라. 그러나 내가 가지고 있는 종교에 대하여, 개신교를 신봉하는 사람들의 인격까지 종교로써 비판하는 태도는 삼가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참고 문헌>
박정신, 한국교회의 어제, 이제 그리고 올제 ― 역사적 논의 . 2005 . 새길교회 창립 18주년 세미나
류상태,. 한국 교회, 어디로 가야 하나?- 한국 교회의 대사회적 갈등 진단 및 대안 찾기 -.2005. 새길교회 창립 18주년 세미나
김흥수, 기독교는 한국 종교인가?
이원규, 한국 종교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한국 종교의 현실과 전망(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