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적 다원주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종교적 다원주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는 말
Ⅰ. 종교 다원주의의(Religious Pluralism) 기원
1. 현대의 종말과 포스트모던 시대의 출현
2. 종교다원주의의 발생 배경
3. 포스트모더니즘의 본질과 특징
4. 다원주의와 대화 문명시대의 도래
Ⅱ. 종교 간의 대화와 협력의 시대 21세기
1. 종교다원주의 시대의 종교 간의 이해문제
2. 종교 배타주의(exclusivism). 포괄주의. 다원주의에 대한 이해
3. 종교다원주의 시대의 타종교인에 대한 올바른 이해
-나가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이처럼 종교적 다원주의가 새로이 경험된 현실이 되게끔 해 주고 있는 것은 다른 종교들을 신봉하는 사람들에 관한 지식이기도 하다. 갈수록 좁아져 가는 이 세계 속에서 우리는 다른 종교의 진리가 인간의 삶의 모습으로 구체화되어 나타나는 것을 보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우리의 믿음이 진리라는 사실을 아무리 굳건히 지킨다 해도 세상에는 다른 종교가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그러므로 오늘날 책임적인 기독교인들이 걸어가야 할 길은 세계 종교들 사이의 새로운 이해와 협조에 관심을 가진 다른 신학자들은 우리가 기독론적인 제국주의라는 거짓 걸림돌을 제하여 버리고 ‘배타적이지 않으며’ ‘자신을 중심규범으로 여기지 않는’ 기독론을 전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Paul F. KNitter, No Other Name? A Critical Survey of Christian Attitudes toward Religions(Maryknoll, N. N. :Orbis Books, 1985)재인용.
따라서 성경적 말씀을 올바르게 선포되기 위해서는 다른 종교와의 대화는 계속되어져야 하며 포용적인 자세로 나아가야 함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은 지나치게 방어적 신앙이기보다는 기대하는 신앙이어야 하며 오직 뒤만 바라보는 신앙이기보다는 앞을 바라보는 신앙이어야 한다. 그러면 그 종교의 표현형식으로 나타난 다른 문화와 문명도 인정할 수 있다. 이것을 인정 안 할 경우 인류에게는 끊임없는 전쟁과 갈등이 있을 것이다. 종교 간에는 상호에게 적용되는 호혜적 불문율이 있어서 상식과 예의를 거슬려서는 안 된다. 오늘날의 우리의 이웃은 침례교도나 유대인일 뿐만 아니라 힌두교나 이슬람교도이기도 하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결론적으로 바울은 로마서 1:20에서 타종교에도 하나님을 알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바울은 타종교에 구원의 길이 있다고 말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그는 모든 인간이 하나님을 알면서도 우상을 섬기고 그 마음이 허망하며 미련한 마음이 어두워졌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이제 교회는 타종교를 지배하거나 타종교에게 자기의 것을 주기만 하려는 오만한 자세를 버리고 타종교로부터 배울 점은 배우겠다는 개방적이며 겸허한 태도를 취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기독교가 자기의 정체성을 포기해야 함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것은 기독교가 타종교와의 대화 속에서 자기의 정체가 과연 무엇인가를 확인하고 타종교에게 줄 것은 주고받을 것은 받음으로써 상대방과 자기 자신을 보완하는 것을 뜻함을 말한다. 즉 자기의 정체성을 포기하면서 이루어지는 대화와 선교는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예수는 하나님의 나라를 선포하였지 교회를 세우지 않았다는 사실을 분명히 깨닫고 교회는 타종교와의 만남과 대화에 있어서 자기 확대를 기준으로 삼아서는 안 될 것이다. 본훼퍼의 비종교적 해석처럼 기독교가 종교의 틀을 과감히 벗어나서 정치, 경제를 포함한 사회적 현실 속에 하나님의 나라와 그의 의를 세우는 날이 하루 속히 우리 가운데 임하기를 소원해본다.
<참고 문헌>
강성도, 대한기독교서회, <종교다원주의와 구원>.
폴 F. 니터. 변선환 역, (1987, 한국신학연구소), <오직 예수이름 으로만?>.
다니엘 L. 밀리오리, 장경철 역, (2002, 한국장로교 출판사), <기독교 조직신학 개론>.
박종균, (2005, 대한기독교서회), <기독교와 대중문화 이해>.
이훈구, (2000, 은혜출판사), <비교종교학>.
김균진, (2002, 연세대학교 출판부), <기독교 조직신학>.
쇼캣 모우캐리, 한국이슬람연구소 옮김,(2003, 예영 커뮤니케이션), <기독교와 이슬람의 대화>.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05.24
  • 저작시기201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97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