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한제국시기의 국제정세
2. 러일전쟁과 그 영향
3. 일제의 한국 침탈과정
4. 한국 국민들의 저항
5. 의병활동
6. 나오며
2. 러일전쟁과 그 영향
3. 일제의 한국 침탈과정
4. 한국 국민들의 저항
5. 의병활동
6. 나오며
본문내용
攻作戰)이 전개되기에 이르렀다.(1907.12) 이에 따라 전국적인 창의군(倡義軍)이 조직되고 13도 총대장에 이인영, 군사장에 허위 등이 임명되었다. 이들은 선발대를 인솔하여 서울 30리 밖까지 진출했으나 일본군의 완강한 저항으로 일잔 후퇴했다. 이 때 이인영은 부친의 사망소식을 듣고 불효는 불충이라 하여 지휘권을 허위에게 맡기고 낙향하였다. 총대장이 없는 상태에서 서울 진공작전을 감행했으나 실패하고 잔여의병은 전국으로 흩어졌다. 이후 일본군은 ‘남한 대토벌작전’을 감행하여 의병은 약 5만명의 사상자를 내었고 나머지는 간도나 연해주지방으로 탈출하여 독립군이 되었다.
6. 나오며
이러한 한민족의 끊임없는 저항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일본에 합방되었다. 그것은 구제정세의 변화에 우리가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한데 원인이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들 외국세력에 기생하면서 자신의 안일과 행복에 빠져 조국의 앞날을 외면한 인사들도 있었기 때문이었다.
♠ 참 고 문 헌 ♠
《일제의 대한 침략정책사연구》 , 조항래, 현음사, 1996
《한국을 장악하라》 , 강동진, 아세아 문화사, 1995
《한국 역사상의 라이벌(이완용, 민영환)》, 김갑동, 신서원, 1997
6. 나오며
이러한 한민족의 끊임없는 저항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일본에 합방되었다. 그것은 구제정세의 변화에 우리가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한데 원인이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들 외국세력에 기생하면서 자신의 안일과 행복에 빠져 조국의 앞날을 외면한 인사들도 있었기 때문이었다.
♠ 참 고 문 헌 ♠
《일제의 대한 침략정책사연구》 , 조항래, 현음사, 1996
《한국을 장악하라》 , 강동진, 아세아 문화사, 1995
《한국 역사상의 라이벌(이완용, 민영환)》, 김갑동, 신서원, 199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