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기와 일제강점기의 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개화기와 일제강점기의 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화기의 교육
1) 개화기 근대사상의 형성
2) 근대학교의 성립과 전개
3) 교육사상가

2. 일제강점기의 교육
1) 일제의 교육정책
2) 일제강점기 민족교육운동의 전개

본문내용

과 일본인에 대한 차별정책으로 나타난다. 식민지 교육에서도 이러한 성격이 그대로 드러난다. 제 1차 조선교육령에서는 ‘「교육에 관한 칙어」의 취지에 따라 충량한 국민을 육성’하는 것과 ‘시세와 민도에 맞도록 교수’하는 것을 교육의 지침으로 삼았다. 이에 따라 보통학교 교육기간은 4년간으로 하였으며,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은 설치하지 않았다. 이 시기 교육정책은 일제의 식민통치에 복종하면서 살아가는 최소한의 사회적 능력을 갖춘 조선인을 짧은 시간에 가능한 많이 배출하기 위한 정책이었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일제는 식민지 통치정책을 변경하였다. 한민족을 강압적으로 억누르는 것만으로 효율적으로 식민통치를 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문화정치’하는 이름 아래 조선인에 대한 유화정책을 취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조선교육령도 개정하여 1920년 제 1차 조선교육령을 수정하여 보통학교 이수 연한을 4년에서 6년으로 연장하였다.
(2) 제 2차 조선교육령 시기(1922. 2. 4)
제 2차 조선교육령시기 일본은 한국인과 일본인을 같은 국민으로서 동등하게 대한다고 표방하였다. 이에 따라 교육이념으로 ‘一視同仁’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이는 식민통치의 기반이 이미 확립되었다고 보고 동일한 제도아래 교육을 실시한다는 명분으로 추진한 동화정책의 일환이었다. 여기서는 초·중등학교 수업연한을 연장하여 보통학교는 6년, 고등보통학교는 5년, 여자고등보통학교는 4~5년을 각각 기본으로 하였다. 또한 대학에 관한 규정을 새로 만들어 한국 안에서 고등교육기관의 설립을 가능하게 하였다.
(3) 제 3차 조선교육령 시기(1938. 3. 3)
1937년 중일전쟁이 시작된 이후 일제는 한반도를 전쟁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한 기지로 만들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였다. 교육정책 또한 이러한 식민통치의 방향에 맞춰 바뀌었다 제 3차 조선교육령에서는 한국인의 전시동원을 위한 동화정책을 강화하였다. 보통학교와 소학교, 고등보통학교와 중학교, 여자고등보통학교와 고등여학교로 이원화되어 있던 학교명을 소학교, 중학교, 고등여학교로 통일하였다. 또한 조선어를 수의(隨意)과목으로 바꾸고, 황국신민화 교육을 더욱 본격화하였다. 1941년에는 제 3차 조선교육령을 개정하여 황국신민화 교육을 더욱 강화하였다. ‘국민의 기초적 연성’이라는 명목 아래 소학교를 국민학교로 바꾸는 국민학교령을 공포하고, 교과목을 국민과, 이수과, 체련과, 예능과, 직업과로 통합하였다.
(4) 제 4차 조선교육령 시기(1943. 3. 8)
제 4차 조선교육령은 학교교육을 전시체제에 적합하도록 개편하고 황국신민화 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여기서는 중학교와 고등여학교의 수업연한을 4년으로 축소하였고 제 3차 조선교육령에서 수의과목으로나마 남아있었던 조선어가 교육과정에서 아예 빠져 버렸으며, 일본어 교육이 강화되었다. 중학교와 고등여학교의 경우도 국민학교와 마찬가지로 교과목을 국민과, 이수과, 체련과, 예능과, 외국어과로 통합하였다. 초·중등학교에서는 체련과가 중시되었으며, 국민학교의 직업과도 강화되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11.25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53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