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들어가는말
2.범아일여
3.아트만
4.맺음말
2.범아일여
3.아트만
4.맺음말
본문내용
할 수 있다. 이렇게 인간 자체를 소우주로 보는 견해는 곧 대우주의 실재가 바로 소우주로서의 인간이라는 사상이라고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이렇게 주체적으로 파악된 인간의 본질은 무한하고 영원한 우주의 본질과 동일시되게 된다.
자기가 곧 절대적 실재인 브라흐만이라는 진리를 깨닫게 되는 사람은 모든 욕망과 두려움에서 해방될 수 있다고 봐야할 것이다. 왜냐하면 자기 자신 이외에 따로이 원하거나 두려워할 다른 아무 대상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것은 곧 만물의 실재 또한 자신과 다름없는 브라흐만의 변형이자 곧 브라흐만 자신이라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깨달은 자'는 모든 업(業)으로부터 자유로워지며 물질적인 것에 대한 어떠한 욕망이나 본능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우파니샤드 사상의 진정한 결실은 바로 여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나 자신에 대한 본질을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무슨 자유며 집착과 욕망, 그리고 일체의 업(業)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겠는가? 우파니샤드는 그 문제를 바로 인간 내부로의 탐구에서 시작하여 인간 자신에게서 찾으려 한 최초의 노력이었다는 점에서 가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주체적인 인간 본질에 대한 탐구는 결국 자신과 만물의 근본적인 가치를 인식하고 그를 소중하게 생각하는, 그래서 인간과 만물에 대한 깊은 통찰을 가져올 수도 있다고 볼 수 있다. 우파니샤드 철학이 인간의 사유에 있어서 가질 수 있는 가치란 바로 이런 점들이 아닌가 생각된다.
참고 자료
-인도철학사, 조수동지음, 이문출판사
-인도철학, 이지수 옮김, 민족사
자기가 곧 절대적 실재인 브라흐만이라는 진리를 깨닫게 되는 사람은 모든 욕망과 두려움에서 해방될 수 있다고 봐야할 것이다. 왜냐하면 자기 자신 이외에 따로이 원하거나 두려워할 다른 아무 대상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것은 곧 만물의 실재 또한 자신과 다름없는 브라흐만의 변형이자 곧 브라흐만 자신이라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깨달은 자'는 모든 업(業)으로부터 자유로워지며 물질적인 것에 대한 어떠한 욕망이나 본능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우파니샤드 사상의 진정한 결실은 바로 여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나 자신에 대한 본질을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무슨 자유며 집착과 욕망, 그리고 일체의 업(業)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겠는가? 우파니샤드는 그 문제를 바로 인간 내부로의 탐구에서 시작하여 인간 자신에게서 찾으려 한 최초의 노력이었다는 점에서 가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주체적인 인간 본질에 대한 탐구는 결국 자신과 만물의 근본적인 가치를 인식하고 그를 소중하게 생각하는, 그래서 인간과 만물에 대한 깊은 통찰을 가져올 수도 있다고 볼 수 있다. 우파니샤드 철학이 인간의 사유에 있어서 가질 수 있는 가치란 바로 이런 점들이 아닌가 생각된다.
참고 자료
-인도철학사, 조수동지음, 이문출판사
-인도철학, 이지수 옮김, 민족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