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입과 구강(Mouth and oral cavity)
2. 인두(Pharynx)
3. 식도(Esophagus)
4. 위(Stomach)
5. 소장(Small intestine)
6. 대장(Large intestine)
7. 췌장(Pancreas)
8. 간(Liver)
9. 담낭(Gall bladder)
10. 복막(Peritoneum)
2. 인두(Pharynx)
3. 식도(Esophagus)
4. 위(Stomach)
5. 소장(Small intestine)
6. 대장(Large intestine)
7. 췌장(Pancreas)
8. 간(Liver)
9. 담낭(Gall bladder)
10. 복막(Peritoneum)
본문내용
2부분으로 나뉨
- 담낭의 내면은 점막주름이 많고 담낭목과 담낭관 사이에서 점막주름은 나선판막(spiral valve)을 형성
- 나선판막은 담즙의 분비와 유입을 조절하는 작용을 하고, 총간관 및 총담관과 연결되어 있음
- 담낭에는 담즙이 응고한 담석(gall stone)이 자주 발생함
10. 복막(Peritoneum)
- 복막(peritoneum)은 복강(abdominal cavity)에 있는 장막(serous membrane)으로 복강의 속부분을 덮는 벽쪽복막(parietal peritoneum)과 복강속부분에 있는 기관을 덮는 내장쪽복막(visceral peritoneum)으로 이루어짐
- 이 두 막의 이행부위는 복막이 이중으로 합해지고, 그 속부분에 기관, 혈관, 림프관 및 신경 등이 지나가고 있으며 이것을 장간막(mesentery)이라 함
- 벽쪽 복막과 내장쪽 복막에 의해 만들어지는 복잡한 빈 공간을 복막강(peritoneal cavity)이라 하는데, 안에 소량의 복막액(peritoneal fluid)을 담고 있음
- 소화기관은 발생초 복강의 중앙을 세로로 주행하기 때문에 앞벽과 뒤벽의 정중선상에 장간막을 가지고 있음
-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 소화기관의 연장에 의한 굴곡, 위치의 이동과 부속샘의 발달 등에 따라 그 일부분은 뒤복벽에 위치하게고 복막강은 복잡한 상태를 나타냄
- 처음에는 장간막을 가지고 있던 기관도 발생후에는 복막후장기(retroperitoneal organ)가 되는 것도 있음
- 장간막은 어느 기관을 덮느냐에 따라 구분하는데 이들에 의해 복강 속의 기관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됨
- 담낭의 내면은 점막주름이 많고 담낭목과 담낭관 사이에서 점막주름은 나선판막(spiral valve)을 형성
- 나선판막은 담즙의 분비와 유입을 조절하는 작용을 하고, 총간관 및 총담관과 연결되어 있음
- 담낭에는 담즙이 응고한 담석(gall stone)이 자주 발생함
10. 복막(Peritoneum)
- 복막(peritoneum)은 복강(abdominal cavity)에 있는 장막(serous membrane)으로 복강의 속부분을 덮는 벽쪽복막(parietal peritoneum)과 복강속부분에 있는 기관을 덮는 내장쪽복막(visceral peritoneum)으로 이루어짐
- 이 두 막의 이행부위는 복막이 이중으로 합해지고, 그 속부분에 기관, 혈관, 림프관 및 신경 등이 지나가고 있으며 이것을 장간막(mesentery)이라 함
- 벽쪽 복막과 내장쪽 복막에 의해 만들어지는 복잡한 빈 공간을 복막강(peritoneal cavity)이라 하는데, 안에 소량의 복막액(peritoneal fluid)을 담고 있음
- 소화기관은 발생초 복강의 중앙을 세로로 주행하기 때문에 앞벽과 뒤벽의 정중선상에 장간막을 가지고 있음
-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 소화기관의 연장에 의한 굴곡, 위치의 이동과 부속샘의 발달 등에 따라 그 일부분은 뒤복벽에 위치하게고 복막강은 복잡한 상태를 나타냄
- 처음에는 장간막을 가지고 있던 기관도 발생후에는 복막후장기(retroperitoneal organ)가 되는 것도 있음
- 장간막은 어느 기관을 덮느냐에 따라 구분하는데 이들에 의해 복강 속의 기관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