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 요 약
나. 개 요
다. 흐름 제어 방식의 종류
마. Stop & Wait protocol
바. sliding window
사. selective go-back n
나. 개 요
다. 흐름 제어 방식의 종류
마. Stop & Wait protocol
바. sliding window
사. selective go-back n
본문내용
가. 요 약
본 보고서는 데이터 통신에서 흐름 제어(Flow control)에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각각의 내용들은 인터넷 웹 사이트와 웹 문서에서 발췌한 내용들이다.
흐름 제어는 송신 측의 전송 속도가 수식 측의 수신 가능 속도보다 높아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정보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일련의 노력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여러 가지 방식이 있지만 본 보고서에서는 Stop & Wait protocol , sliding window , go-back n, selective go-back n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였다.
나. 개 요
흐름 제어는 송신 측의 전송 속도가 수식 측의 수신 가능 속도보다 높아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정보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일련의 노력을 의미한다.
이 경우 수신 측은 버퍼를 두게 되며 버퍼가 가득 차기 전에 송신 측에게 정보 전송을 일시 중단할 것을 요구한다. 버퍼가 여유가 생기면 다시 전송 개시를 요구하게 된다. 흐름 제어 방법은 사용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그 방식이 달라지게 된다.
흐름 제어는 전송 능력 이상의 대량의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표시 능력을 초과하는 데이터가 단말 장치에 송신됨으로써 통신망이나 단말 장치 등에 일어나는 이상 상태 및 서비스 능력 저하를 방지해 주는 기능을 한다.
- 송신자가 일방적으로 메시지를 송신하면 수신 측에서 메시지의 상실 발생
- 각각의 메시지 전송 후 수신 측의 확인이 필요
- 전송 성능의 저하 초래
- 일정 단위의 메시지 전송 후 한꺼번에 확인 받는 방식
- 송신 측과 수신 측 사이에 속도 조절 기능이 필요 흐름 제어(flow control)
- 송신 측은 수신 측으로부터 사용 가능한 버퍼의 크기(credit)을 통보 받음
- 송신 측 : 상대방이 처리 중인 버퍼의 credit 수, 자신이 사용 가능한 credit 수 관리
- 수신 측 : 처리 중인 credit의 수, 사용 가능한 credit 수(통보용) 관리
다. 흐름 제어 방식의 종류
1. 정지-대기(stop-and-wait)
- 반 이중 방식
- 간단하나 성능이 나쁘다
2.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
- 전 이중 방식
- 성능 우수, TCP에서도 사용
라. Stop & Wait protocol
1. Stop & Wait protocol
한 Frame 단위로 보내고, 그에 대한 응답을 대기하는 방식
1) 송신 측에서 하나의 프레임을 보내고 그 프레임에 대한 ACK를 받은 후에 다음 프레임을 보냄
2) 송신 측은 프레임을 전송할 때 마다 프레임 타이머 (소프트웨어 타이머)를 생성
3) 프레임이 전송 중에 분실 또는 손상되면 수신 측은 ACK을 보낼 수 없고 송신 측은 ACK를 영원히 기다리면서 다음 프레임 전송 불가
-프레임 타이머가 만료되면 (즉, 송신 측이 일정 시간 내에 ACK을 받지 못하면) 그 프레임을 재전송
- 프레임 타이머는 ACK 수신 시 reset
4) 수신 측의 ACK가 분실되거나 손상될 경우 중복 프레임 수신
- 프레임 순서 번호로써 구분: 0 또는 1
5) 수신 측은 프레임을 제대로 받으면 즉각 ACK를 보냄
6) 만일 수신된 프레임이 손상되었다면 폐기하고 NAK를 보내어 재전송을 요구함
- NAK를 받은 송신 측은 해당 프레임을 재전송함
본 보고서는 데이터 통신에서 흐름 제어(Flow control)에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각각의 내용들은 인터넷 웹 사이트와 웹 문서에서 발췌한 내용들이다.
흐름 제어는 송신 측의 전송 속도가 수식 측의 수신 가능 속도보다 높아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정보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일련의 노력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여러 가지 방식이 있지만 본 보고서에서는 Stop & Wait protocol , sliding window , go-back n, selective go-back n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였다.
나. 개 요
흐름 제어는 송신 측의 전송 속도가 수식 측의 수신 가능 속도보다 높아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정보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일련의 노력을 의미한다.
이 경우 수신 측은 버퍼를 두게 되며 버퍼가 가득 차기 전에 송신 측에게 정보 전송을 일시 중단할 것을 요구한다. 버퍼가 여유가 생기면 다시 전송 개시를 요구하게 된다. 흐름 제어 방법은 사용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그 방식이 달라지게 된다.
흐름 제어는 전송 능력 이상의 대량의 데이터가 입력되거나, 표시 능력을 초과하는 데이터가 단말 장치에 송신됨으로써 통신망이나 단말 장치 등에 일어나는 이상 상태 및 서비스 능력 저하를 방지해 주는 기능을 한다.
- 송신자가 일방적으로 메시지를 송신하면 수신 측에서 메시지의 상실 발생
- 각각의 메시지 전송 후 수신 측의 확인이 필요
- 전송 성능의 저하 초래
- 일정 단위의 메시지 전송 후 한꺼번에 확인 받는 방식
- 송신 측과 수신 측 사이에 속도 조절 기능이 필요 흐름 제어(flow control)
- 송신 측은 수신 측으로부터 사용 가능한 버퍼의 크기(credit)을 통보 받음
- 송신 측 : 상대방이 처리 중인 버퍼의 credit 수, 자신이 사용 가능한 credit 수 관리
- 수신 측 : 처리 중인 credit의 수, 사용 가능한 credit 수(통보용) 관리
다. 흐름 제어 방식의 종류
1. 정지-대기(stop-and-wait)
- 반 이중 방식
- 간단하나 성능이 나쁘다
2.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
- 전 이중 방식
- 성능 우수, TCP에서도 사용
라. Stop & Wait protocol
1. Stop & Wait protocol
한 Frame 단위로 보내고, 그에 대한 응답을 대기하는 방식
1) 송신 측에서 하나의 프레임을 보내고 그 프레임에 대한 ACK를 받은 후에 다음 프레임을 보냄
2) 송신 측은 프레임을 전송할 때 마다 프레임 타이머 (소프트웨어 타이머)를 생성
3) 프레임이 전송 중에 분실 또는 손상되면 수신 측은 ACK을 보낼 수 없고 송신 측은 ACK를 영원히 기다리면서 다음 프레임 전송 불가
-프레임 타이머가 만료되면 (즉, 송신 측이 일정 시간 내에 ACK을 받지 못하면) 그 프레임을 재전송
- 프레임 타이머는 ACK 수신 시 reset
4) 수신 측의 ACK가 분실되거나 손상될 경우 중복 프레임 수신
- 프레임 순서 번호로써 구분: 0 또는 1
5) 수신 측은 프레임을 제대로 받으면 즉각 ACK를 보냄
6) 만일 수신된 프레임이 손상되었다면 폐기하고 NAK를 보내어 재전송을 요구함
- NAK를 받은 송신 측은 해당 프레임을 재전송함
키워드
추천자료
이동통신 시장 변화와 이동통신3사의 대응
[ISDN][B-ISDN]ISDN(종합정보통신망)의 의의, 구성요소, 특징과 ISDN(종합정보통신망)의 종류...
[4세대 이동통신(4G)]4G 기술의 이해, 3세대 이동통신의 한계와 4G의 등장, 4세대 이동통신(4...
[정보통신, 경제학, 무선통신시장분석, 과점기업분석] 우리나라 (무선)통신시장의 형태 및 문...
컴퓨터 통신(직렬 및 병렬 통신)
[통신네트워크]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 인터넷 상의 접속
[광대역, 광대역통합망, 고속통신망, 핫스팟서비스]광대역과 광대역통합망, 광대역과 고속통...
[기업][기업 전자상거래][기업 네트워크][기업 이동통신][기업 미디어]기업 전자상거래, 기업...
[BIT][BT][IT]BT 생명공학기술 IT 정보통신기술 융합(BIT)의 현황, 추진전략, BT 생명공학기...
이동통신 기술 표준 (이동통신 기술의 소개, 역사, 발전, 세대별 우리나라의 이동통신 표준.)
이동통신移動通信산업과 국내시장의 현황,이동통신산업 블랙리스트제도, 블랙리스트제도와 화...
라이파이 기술원리와 활용방안 [Light Fidelity,라이파이,Li-Fi,Wi-Fi,와이파이,가시광선 통...
정보통신망 D형 Internet of Things (IoT)에 관하여 조사하고 IoT에 활용될 수 있는 정보통신...
정보통신망 A형 커넥티드카 - Connected car에 관하여 조사하고 Connected car에 활용될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