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신재 전후 소설에서의 여성인물 분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사 검토
2.연구 목적 및 방법

Ⅱ. 강신재가 그리는 5,60년대의 여성과 현실인식
1. 여성의 눈으로 바라 본 남성
2. 여성의 현실 인식
1) 현실에 순응하기(운명론적 체념)
2) 현실 거부의 갈등
3) 현실에 만족하기
4) 굴레에서 벗어나기 위한 발걸음

Ⅲ. 현실의 체험화
1. 현실의 여성, 그 성의 양면성
1) 도덕성을 상실한 성
2) 생존으로서의 성
2. 죽음과 실존의식
1) 실존의식으로서의 죽음
2) 문제해결 방법으로서의 죽음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운 것이며, 결국 선희는 이 모든 것을 떠안지 못하고 병으로 앓다가 죽게 되는 것이다. 물론 선희의 이러한 죽음은 「옛날의 금잔디」에서의 권여사와같이 자살이라는 적극성을 띤 죽음이라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시대와 현실로부터 부여 받은 절망과 아픔이 선희에게 더 이상 삶을 지탱할 수 없게 만들었고, 선희는 죽음을 통해 현실의 모든 짐들로부터 벗어난 것이다.
이처럼 「봄의 노래」와 「옛날의 금잔디」에서 나타난 '죽음'은 자신이 감당할 수 없는 현실의 절망감과 증오에서 벗어나는 문제 해결의 한 방법으로서, 근본적으로 사는 것보다 죽는 것이 덜 불행하다는 삶의 비극성에 대해서 같은 방향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Ⅳ. 결론
본고는 지금까지 강신재의 작품을 볼 때, 소설이란 작가가 처한 현실 세계의 사회학적 반영이자 작가 정신의 형상화라는 전제와 여성 작가의 여성적 체험이 지니는 특수성을 염두에 두면서 작가의 여성적 체험이 그의 소설적 형상화 작업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인식 아래에서 분석해 보았다.
따라서 본고의 연구 대상은 강신재 활동 시기 중, 가장 왕성한 작품을 선 보였던 50-60년대 단편 소설로 하되, 작가의 여성 의식이나 주제가 잘 드러난 작품들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여성 의식에 따라 등장 인물형을 구분하고, 현실 인식의 측면에서 주제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작가의 여성의식에 따른 여성 인물의 분류는 강신재의 소설 내에 기존의 사회적 통념과는 다른 형태의 여성인물이 창출됨을 확인시켜 주는 작업이었고, 강신재만의 분별된 여성 인물 형태는 전통적 여성의식과의 차이를 통해 작가의 문제의식과 특징을 정리하는데 그 근거로서 제시되었다.
이에 기초하여 강신재의 전후 단편 작품을 중심으로 여성 의식을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Ⅱ장에서는 작가가 바라보는 50-60년의 여성과 현실인식을 통해 작품에서 남성이 어떻게 그려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는데, 기존의 남성작가 소설에서 그려지고 있는 남성의 모습과는 판이하게 다른 무능력하고 소극적인 남성들을 주변화시킴으로서 여성을 그 주체로 부각시키고 있으며, Ⅱ-2의 인물 형상화 연구를 통해 여성의 현실의 주체로서 어떻게 정체성을 찾아가고 있는지 분류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분류는 작품 속에 드러나는 여성 인물이 어떤 양상으로 현실을 인식하고 받아들이는가에 대한 여러 가지 방법적 도출로서, 다음과 같은 네 부류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소설내의 모든 인물들이 그러하다 할 수는 없으나 크게 1)현실에 굴복하는 인물, 2)갈등하는 인물, 3)긍정하는 인물, 4)능동적으로 운명을 극복해 나가는 인물로 나누어짐을 알 수 있었다. 물론 이렇게 제시되어 있는 어느 한 부류에 포함시킬 수 없을만치 다면형을 가진 인물도 있었으나 이와 같은 인물들은 다음 작업을 위해 미루어 놓고 비교적 뚜렷한 형태의 인물형상 만을 다루고자 하였다.
둘째로 Ⅲ에서는 주제 의식의 고찰을 통해 이념의 허구성과 전쟁의 폭력을 고발하는 작가의 의도를 읽을 수 있었으며, 작품의 인물들이 어떻게 현실에 참여하고 있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루어 보았다. 그 결과, 작가 강신재가 그리고 있는 여성의 현실 참여 형태는 많은 부분에 있어 '성'이라는 부분과 연결지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그러한 작가의 성의식을 화두로하여 1)도덕적으로 문란한 성의식과 2) 생계유지를 위한 성의식이라는 두 부류의 유형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이러한 여성의 현실 참여 부분은 단순히 여성의 유형 분류라는 부분에서 그치고자 한 것이 아니라, 전쟁이라는 시대적 비극이 빚어내는 고통을 남성의 시각에서 벗어나 살펴보고자 한 노력이다. 이 노력을 통해 전후의 어려운 시대를 이겨 나가는 그 시대 여성들의 의식과 삶의 방법에서 작게나마 모성과 같은 따스한 인간애를 느낄 수 있으며, 전후 현실의 고독과 죽음을 통하여 드러나는 실존 의식도 살펴볼 수 있었던 것이다.
이상의 정리가 강신재 작품 중 50-60년대의 단편소설 속 여성인물을 중심으로 살펴 본 내용들이며, 이러한 내용은 '모든 작가의 글 쓰기는 그들 나름의 특수한 체험을 담보로 한다'라는 보편적인 진리를 바닥에 깔고 작가와 더불어 작품, 더 크게는 현실을 이해하고자 한 노력이라 말하고 싶다. 그 결과, 늘 '소외시되던 여성'이라는 작가의 성적 특성이 오히려 작품을 더 흥미롭게 이끌어 나갔으며, 새로운 시각으로 현실에 접근할 수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물론 감각적인 문체를 통하여 대상과의 일정한 미적 거리를 유지한다는 그녀의 작품성향에 대해 시대의 당대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들이 가해지기도 하지만, 이러한 그녀의 여성관이나 서술 방식이 오히려 강신재 특유의 소설 미학이라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최명숙, 「강신재 전후 단편소설 연구」, 경원대 석사학위 논문(1999), 86면.
참고문헌
단행본
1) 강신재. 『희화』. 계몽사. 1958.
2) ______. 『젊은 느티나무』. 민음사. 1996.
3) ______. 『여정』. 중앙문화사. 1959.
4) ______. 『정통한국문학대계』. 어문각. 1986.
3) ______. 『한국소설문학대계』. 동아출판사. 1995.
4) ______. 『한국전후문제작품집』. 신구문화사. 1961.
5)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민음사. 1993.
6) 김윤식 외. 『한국소설사』. 성문각. 1995.
7) 염무웅. 『한국대표문제작전집』5권. 예조사. 1981.
8)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1960.
논문
1) 감호경.「강신재 소설의 주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2) 고재연. 「강신재 소설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
3) 박미선. 「강신재 소설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6.
4) 이다영. 「1950년 강신재 소설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4.
5) 이미정. 「1950년대 여성 작가 소설의 여성 담론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2.
6) 이지영. 「강신재 소설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7) 최명숙. 「강신재 전후 단편 소설 연구」. 경원대 대학원. 1999.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6.01.05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15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