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형할인마트의 현황 및 전략분석(A+레포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내 대형할인마트의 현황 및 전략분석(A+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할인점의 개념과 등장배경
1-1.할인점의 개념
1-2.할인점의 등장배경과 역사
1-3.할인점의 유통경로
2.유통업체 현황분석
3.국내 할인점 현황분석
4.국내 할인점 유통경영 사례조사
4-1.이마트
4-2.홈플러스
4-3.월마트
4-4.까르푸
4-5.롯데마트
5.할인점의 적정 점포수 산정
6.할인점의 영향력과 향후 전략방안

Ⅲ.결론

참고자료 및 사이트

본문내용


284.80백만
127.34백만
47.86백만
할인점점포수
14,000개
1,700개
230개
점포당 인구수
2만명
7만명
21만명
*자료: 한국은행, 체인스토아에이지 (미/일)
할인점 상권을 10만명당 1개라는 기준으로 보면 적정 점포수는470여개가 포화라는 이론이 성립되며 2003년 270여개 보다 향후 200여개 정도의 점포 출점 여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
-단,향후에는 기존의 20~30만 이상의 광역상권을 대상으로 한 대형점보다는 10만명 이하의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1,500~2,000평 정도로 출점하는 패턴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국내 할인점 업계는 향후 6년간 성장잠재력 존재
-대형 할인점 Big5를 중심으로 이미 72개의 부지가 확보되어 있는 상황이며,적정 점포수인 470개를 넘어서는 2009년이 성숙기가 될 것으로 보임.
2004~2009년 할인점 점포수 예상
년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점포수
308
343
380
419
456
492
*자료: 신세계 유통산업연구소 (99~2003년까지의 점포수를 기준으로 분석)
기관별 할인점 포화시점 예측 비교
구 분
적정인구수
포화시점
포화점포수
예측시기
신세계
10만
2008~2009년
470개
03. 5월
대한상공회의소
8만
2008~2010년
598개
03.2월
삼성경제연구소
15만
2002 성장둔화
275개
01.11월
한편, 경쟁격화로 인한 불채산 점포의 scrap등 업태 성장기에 보여지는 구조조정 및 대형업체 1~2개사 위주의 M&A등도 함께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됨.
Big5 점포수 및 비중
E마트
롯데
마트
까르푸
홈플러스
월마트
Big5
합계
기타
총계
점포수
49개
32
25
21
15
142
88
230
21%점포수
비중
14
11
9
7
62
38
100
(2004년 기준)
*자료: 체인스토아협회, 백화점내 마트 제외
6.할인점의 영향력과 향후 전략방안
1) 대형할인점의 사회적 영향
가. 소비자 효용의 측면
(1) 저가지향성 소비성향이 강한 중간 내지 저소득층에서 큰 영향을 미침
- 제품의 저가공급이 결국에는 소비자에게 과소비를 조장한다는 측면에서는 사회적 문제가 될 수 있음
나. 상권의 측면
(1) 영세 중소상권이 담당하여 왔던 영역을 침해
- 도시 내 중소상권 및 재래시장의 쇠퇴는 사회문제로 비화될 가능성이 매우 큼
2) 대형할인점의 경제적 영향
가. 여러 가지 형태로 토착상권을 압박
나. 토착 대형소매업체들까지도 지역기반이 무너짐
- 물류비용측면에서의 가격경쟁력이 불리
다. 경제적으로 중소상인 도태와 과당경쟁, 가격질서 왜곡
- 피해를 고스란히 소비자가 되돌려 받는 악순환 계속
3) 할인점이 나아갈 방향과 전략
◎ 주 5일 근무제 확산으로 인한 복합쇼핑 문화공간 인기 예상
- 새로운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에 걸 맞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 프로슈머(Prosumer)의 등장, 소비의 양극화, 소비자신뢰 등 새로운 쇼핑방식 전개
- 단순한 소비행위를 벗어나 원스톱 쇼핑, 시간소모형 소비, 자기 만족과 개성추구
등이 소비의 주된 목표가 될 전망
지금의 유통업계는 할인점간의 전쟁터이다. 국내 업체간, 또는 외국 업체와의 치열한 경쟁이 가속화되면서 경쟁력이 없는 업체는 생존하기 조차 힘들다.
가. 차별적인 Value Proposition
- 밸류 프로포지션(Value Pro-position) : 어떤 종류의 가치를 고객에게 제공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
- 자사의 목표 고객을 명확히 선정한 후, 이들이 차별적으로 제공받기를 원하는 가치나 서비스가 무엇인지를 파악
- ‘선택과 집중의 원리’에 충실
나. 채널 간 시너지(Synergy) 극대화
- 채널 간 갈등을 줄이고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할인점은 매출 규모가 그 만큼 증가 하겠지만, 그렇지 못한 할인점은 오히려 판매 제품의 Cannibalization (자기 매출 잠식) 효과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음
- 채널별 제품 차별화 전략, 채널 통합 전략
다. 글로벌 경쟁력 강화
- 가격 책정, 시스템 도입, 매장 형태 등에 글로벌 스탠다드(Standard)를 적극 수용
- 글로벌 경쟁력을 바탕으로 해외 시장으로 적극 진출
라. PB(Private Brand) 상품 확대
- PB(자사상표부착) 상품 : 유통 업체의 자체 브랜드로 유통 업체가 자체적으로 개발하거나 판매 과정의 일부를 수행하는 브랜드
- PB 상품을 통해 제품 가격을 낮추고 경쟁 업태들과 차별화를 시도
마. 매장의 복합공간화
- 기존의 쇼핑 공간에 영화관, 위락 시설 등을 결합시키는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의 개발
-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도 고객 가치를 충족
바. 좋은 입지 선점
- 상권 내 1번 점이 가능한 지역에 출점 하는 것이 필수적
사. 브랜드 강화
- 소비자가 할인점을 연관 지어 생각할 수 있는 브랜드의 개성을 창조
Ⅲ.결론
향후 국내 유통 산업은 다양한 업태가 공존하며 상호간의 경쟁이 격화되는 양상을 보일 것이다. 막강한 자본력과 경영 노하우로 무장한 외국기업과의 경쟁은 물론 업태간, 업태내의 경쟁이 더욱 심화될 것이다. 따라서 기업들은 핵심 사업 부문에 집중해야 할 것이며, 재무 구조 개선 노력에도 힘을 쏟아 부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타업태와의 차별화를 위해 자신의 사업 포지셔닝을 명확히 설정할 필요가 있다. 즉, 기존 사업들을 재평가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구축하고 비채산 사업의 처분을 통해 확보된 자원을 핵심 사업 부문에 집중함으로써 경쟁력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정보 시스템의 구축, 고객 데이터베이스화 등을 통해 서비스 개선 및 고객 대응력을 강화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존 발전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및 사이트
http://emart.shinsegae.com/
http://www.mcsa.or.kr/
http://www.kmarketing.co.kr/lib/goods8.html
장세진(1999), “글로벌경영사례집”, 박영사
한국경제특별취재팀(2001), “상하이리포트”, 은행나무
조평규(2005), “중국을 뒤흔든 한국인의 상술”, 달과소
이학진(2005), “13억의 중국 20억의 기회”, 아인북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6.01.12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25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