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序論
Ⅱ. 貴族制 社會說
1. 貴族制 社會의 개념과 특징
2. 貴族制 社會說의 論據
1) 蔭叙制
2) 功蔭田柴法
Ⅲ. 官僚制 社會說
1. 官僚制 社會說의 論據
2. 官僚制 社會說에 대한 批判
Ⅳ. 結論
Ⅰ. 序論
Ⅱ. 貴族制 社會說
1. 貴族制 社會의 개념과 특징
2. 貴族制 社會說의 論據
1) 蔭叙制
2) 功蔭田柴法
Ⅲ. 官僚制 社會說
1. 官僚制 社會說의 論據
2. 官僚制 社會說에 대한 批判
Ⅳ. 結論
본문내용
따라 선택된 官僚가 정치에 주도적 역할을 담당했으니 고려는 官僚制社會라는 것이다. 이에 비하여 貴族制社會說의 주장자는 고려사회는 과거제보다 오히려 父祖의 蔭德에 의하여 官途에 나가는 蔭制가 더 일반적이었으며, 그에 따라 형성된 문벌귀족이 정치적 주도권을 장악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엇갈린 주장이 교환되는 가운데 官僚制說은 그 論據의 비약과 타당성 결여로 재고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朴龍雲, 高麗時代 蔭制와 科擧制 硏究, 一志社, 1990, pp. 1~2.
그리고 오히려 그 중심논거인 과거제는 신분제적인 제약 밑에서 행해진 것이었으므로, 고려가 신분제에 토대를 둔 귀족제사회라는 주장을 더욱 뒷받침하게 된 것이다. 李基白, 高麗貴族社會의 形成, 一潮閣, 1990, pp. 83~84.
그러므로 蔭制 뿐만이 아니라, 심지어는 科擧制에 의해서까지 신분적 특권을 유지하려고 한 귀족사회의 그 점이 보다 강조되어, 이는 모두 身分制에 토대를 둔 貴族중심의 고려사회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진 것이었다고 생각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즉, 고려사회는 官僚制社會보다는 貴族制社會에 가까웠다는 의견이 좀더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12, 국사편찬위원회, 1993.
金毅圭, 高麗社會의 貴族制說과 官僚制論, 知識産業社, 1985.
朴龍雲, 高麗時代史, 一志社, 1991.
朴龍雲, 高麗時代 蔭制와 科擧制 硏究, 一志社, 1990.
李基白, 高麗貴族社會의 形成, 一潮閣, 1990.
한국사연구회, 韓國史硏究入門, 知識産業社, 1993.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역사입문 2, 풀빛, 1995.
이러한 엇갈린 주장이 교환되는 가운데 官僚制說은 그 論據의 비약과 타당성 결여로 재고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朴龍雲, 高麗時代 蔭制와 科擧制 硏究, 一志社, 1990, pp. 1~2.
그리고 오히려 그 중심논거인 과거제는 신분제적인 제약 밑에서 행해진 것이었으므로, 고려가 신분제에 토대를 둔 귀족제사회라는 주장을 더욱 뒷받침하게 된 것이다. 李基白, 高麗貴族社會의 形成, 一潮閣, 1990, pp. 83~84.
그러므로 蔭制 뿐만이 아니라, 심지어는 科擧制에 의해서까지 신분적 특권을 유지하려고 한 귀족사회의 그 점이 보다 강조되어, 이는 모두 身分制에 토대를 둔 貴族중심의 고려사회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진 것이었다고 생각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즉, 고려사회는 官僚制社會보다는 貴族制社會에 가까웠다는 의견이 좀더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12, 국사편찬위원회, 1993.
金毅圭, 高麗社會의 貴族制說과 官僚制論, 知識産業社, 1985.
朴龍雲, 高麗時代史, 一志社, 1991.
朴龍雲, 高麗時代 蔭制와 科擧制 硏究, 一志社, 1990.
李基白, 高麗貴族社會의 形成, 一潮閣, 1990.
한국사연구회, 韓國史硏究入門, 知識産業社, 1993.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역사입문 2, 풀빛, 1995.
추천자료
宋代의 地主佃戶制(송대 지주전호제)
명청 시대 신사의 역할
조선전기 신진사대부의 성장과 성리학의 발달에 관하여
천태종과 대각국사 의천
한국사 기말 정리(개혁)
선종불교와 사회제세력의 관계
송대 지주전호제
宋代의 地主佃戶制 송대의 지주전호제
제4판 한국문학통사(조동일) 1권 요약, 분석
제4판 한국문학통사 (조동일) 1~6권 요약, 정리 120
제4판 한국문학통사 (조동일) 1~6권 요약, 정리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과거제도 비교, 조선의 교육
[북방민족][북방민족과 정복왕조][북방민족과 요나라][북방민족과 진나라][북방민족과 여진족...
신흥 사대부들의 학문적 자존심과 향락적 모습.‘한림별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