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에 대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용에 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중용》은...

(2) 《중용》의 작자

(3) 《중용》의 구성과 내용 요약

(4) 《중용》에서, 中과 庸

(5) 중용에서, 性과 誠과 聖

본문내용

군자에게서의 미칠 수 없는 것은 바로 남들이 보지 못하는 그곳이다.
詩云 相在爾室 尙不愧于屋漏 故 君子 不動而敬 不言而信
「시경」에서 이르기를 "네가 방안에 있을 제를 본대도 옥루에 부끄럽지 않으리니"라고 했다. 그러므로 군자는 움직이지 않아서도 존경받고 말하지 않아서도 믿어진다.
詩曰 奏假無言 時靡有爭 是故 君子 不賞而民勸 不怒而民威於 鉞
「시경」에서 말하기를 "나아가 신명에 감통하고 말 없음에 그때 아무도 다투는 이 없었나니" 라고 했다. 그러므로 군자는 상주지 않아서도 백성들이 스스로 권면하고 성내지 않아서도 백성들이 부월보다 더 두려워한다.
詩曰 不顯惟德 百 其刑之 是故 君子 篤恭而天下平
「시경」에서 말하기를 "유현한 덕을 제후들 법하나니" 라고 했다. 그러므로 군자가 공경을 돈독히 함에 천하가 화평해진다.
詩云 予懷明德 不大聲以色 子曰 聲色之於以化民 末也 詩曰 德 如毛 毛猶有倫 上天之載 無聲無臭 至矣
「시경」에서 이르기를 내 명덕이 성과 색을 크게 하지 아니함을 생각하노라 라고 했다. 이에 공자는 성색이란 백성을 교화시킴에 있어 말단이다 하고 했다. 「시경」에서 말하기를 덕은 가볍기 터럭 같은 것이라 했는데 터럭은 오히려 비교될 여지가 있다. 상천의 일은 소리도 없고 냄새도 없다.
「중용」의 마지막장에서는 시경의 구절을 인용해 가며 성인군자란 어떤 것인가 에 대해 다루면서 첫 장의 뜻을 거듭 밝히고 있다. 군자가 해야 할 행동은 결국 덕을 쌓고 중용을 지키는 일인 것이다.
참고문헌.
「대학 중용」 이동환 역해. 나남출판
「中庸」 김학주 역. 서울대학교 출판부
「도올先生中庸講義」김용옥. 통나무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1.17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34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