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시작
2.中
3.和
4.誠
5.정리
2.中
3.和
4.誠
5.정리
본문내용
또 막연한 중간주의나 절충주의도 아니다. 중간주의가 양쪽의 극단을 배제하고 절충하여 중간만을 취하는 고정불변의 논리인데 반해, 여기서 살펴본 중용은 도덕적 중심체를 세워서 대립하는 양극단을 모두 포괄해서 지나침도 모자람도 없는 가장 알맞은 상태로 변화하는 상황의 논리요 발전의 법칙이라고 할 수 있겠다.
오늘날 사회 각 분야에서 쉴틈없이 발생하고 있는 각종 의견 대립들을 생각할 때 이 중용이 갖는 의미는 크다 하겠다. 그것을 해결하는 방법은 그저 단순히 그것들의 합의점을 찾아 절충하는 것이 아니라, 각 의견들을 모두 포용할 수 있는 그런 방법이여야 할 것이며, 그로인하여 사회가 조화를 향하여 발전해 나갈 수 있는 그런 방법이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대학중용」.홍승직 역해, 고려원북스 (2005)
오늘날 사회 각 분야에서 쉴틈없이 발생하고 있는 각종 의견 대립들을 생각할 때 이 중용이 갖는 의미는 크다 하겠다. 그것을 해결하는 방법은 그저 단순히 그것들의 합의점을 찾아 절충하는 것이 아니라, 각 의견들을 모두 포용할 수 있는 그런 방법이여야 할 것이며, 그로인하여 사회가 조화를 향하여 발전해 나갈 수 있는 그런 방법이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대학중용」.홍승직 역해, 고려원북스 (200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