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공자
■ 맹자
■ 순자
■ 주자
■ 도가
■ 왕양명
■ 석가모니
■ 예수
■ 맹자
■ 순자
■ 주자
■ 도가
■ 왕양명
■ 석가모니
■ 예수
본문내용
고 한다면, '죽고 싶지 않다'는 것은 인간 최대의 비원(悲願)이라고 하겠다.
(4) 인간의 이성이 이 비원(悲願)을 전환시켜 남의 처지에 적용시킬 때 그것이 곧 남을 해치지 않는 불해(不害)며 불살생(不殺生)이다.
(5) 이것은 곧 '너와 나는 둘이 아니다(自他不二)'라는 자각이 확립되어진 때에만 가능한 것이다.
■ 예수
1. "안식일이 인간을 위하여 존재하는 것이지, 인간이 안식일을 위하여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2. 어는 안식일에 예수(Jesus ; B. C. 4?∼A. D. 30)가 밀밭 사이를 지나게 되었을 때, 함께 가던 제자들이 밀이삭을 자르기 시작하자 바리새파 사람들이 안식일을 지키지 않음을 비난했다.
3. 이것에 대하여, "안식일이 사람을 위하여 있는 것이지, 사람이 안식일을 위하여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람의 아들은 또한 안식일의 주인이다"(마가복음 2장 27절)라고 예수는 대답하고 있다.
4. 너무 율법에 얽매이지 말고 상황에 따라 알맞게 살아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5. 산상설교 : 산상수훈·산상보훈·마태복음 5장 3절∼7장 27절에 명시되어 있는 예수의 설교, "가난한 자에게 복이 있나니∼"로 시작된 긴 설교의 내용은 '주의 기도'를 비롯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사랑받고 있는 말들이다. 분노·살인·간음·선지자·화목·기도·단식 등에 대한 가르침이 포함되어 있어서 크리스트교 윤리의 중핵을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6. 크리스트교의 인간관
(1) 본질적 인간 : 태초에 하느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인간이다.
(2) 실존적 인간 : 원죄를 짓고 이 세상에 태어난 우리들 인간이다.
(4) 인간의 이성이 이 비원(悲願)을 전환시켜 남의 처지에 적용시킬 때 그것이 곧 남을 해치지 않는 불해(不害)며 불살생(不殺生)이다.
(5) 이것은 곧 '너와 나는 둘이 아니다(自他不二)'라는 자각이 확립되어진 때에만 가능한 것이다.
■ 예수
1. "안식일이 인간을 위하여 존재하는 것이지, 인간이 안식일을 위하여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2. 어는 안식일에 예수(Jesus ; B. C. 4?∼A. D. 30)가 밀밭 사이를 지나게 되었을 때, 함께 가던 제자들이 밀이삭을 자르기 시작하자 바리새파 사람들이 안식일을 지키지 않음을 비난했다.
3. 이것에 대하여, "안식일이 사람을 위하여 있는 것이지, 사람이 안식일을 위하여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람의 아들은 또한 안식일의 주인이다"(마가복음 2장 27절)라고 예수는 대답하고 있다.
4. 너무 율법에 얽매이지 말고 상황에 따라 알맞게 살아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5. 산상설교 : 산상수훈·산상보훈·마태복음 5장 3절∼7장 27절에 명시되어 있는 예수의 설교, "가난한 자에게 복이 있나니∼"로 시작된 긴 설교의 내용은 '주의 기도'를 비롯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사랑받고 있는 말들이다. 분노·살인·간음·선지자·화목·기도·단식 등에 대한 가르침이 포함되어 있어서 크리스트교 윤리의 중핵을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6. 크리스트교의 인간관
(1) 본질적 인간 : 태초에 하느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인간이다.
(2) 실존적 인간 : 원죄를 짓고 이 세상에 태어난 우리들 인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