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심학 이란 무엇인가?
심학의 배경
심학이란 무엇인가.
퇴계가 말하는 안다는 것은 행을 수반하는 것
2. 퇴계의 심학이 왜 주목 받는가.
서양만으로는 부족하다.
서양의 인간관과 결과
퇴계를 통한 해결가능성 제시
3.세계가 퇴계를 주목하는 실례
미국
프랑스
영국
일본
중국
맺음말
심학의 배경
심학이란 무엇인가.
퇴계가 말하는 안다는 것은 행을 수반하는 것
2. 퇴계의 심학이 왜 주목 받는가.
서양만으로는 부족하다.
서양의 인간관과 결과
퇴계를 통한 해결가능성 제시
3.세계가 퇴계를 주목하는 실례
미국
프랑스
영국
일본
중국
맺음말
본문내용
있다. 중국에서는 이미 공자와 맹자가 사라진지 오래다. 그러한 근본 원인은 문화 혁명 때 행해진 철저한 유교 탄압 정책으로부터 찾을 수 있다. 게다가 갑작스런 자본주의의 유입으로 도덕적 가치 기준의 확립이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나 일부에서 서서히 유학의 복원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한 중국에서 인민대학의 장입문을 시작으로 한국의 퇴계 사상에 점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그들은 유교의 재개를 퇴계 사상에서 찾을 수 있다고 말한다. 성리학을 완성한 사람이 퇴계이며 그를 위시한 한국 성리학자들에 의해 성리학의 중심이 중국에서 한국에서 이동하였다고 한다. 특히 중국의 학자들이 퇴계의 인간관에 주목하고 그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맺음말
지금까지 퇴계의 사상이 세계에 어떻게 알려져 있는지 알아보았다. 서양에서는 인간을 세계와 분리된 존재로 생각해왔지만 『성학십도』에서는 세상만물과 인간이 모두 동일한 세계에 속한다고 한다. 현대, 특히 서양에서는 대단한 과학지식을 가졌으나 마음을 다스리는 방법을 알지는 못한다. 이 둘을 이분법적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학십도』가 제시하는 기본체계는 현대의 과학지식과 양립 가능하며 서양에서는 간과된 마음 수행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세계가 퇴계를 주목하는 이유, 그것은 퇴계가 인간을 주목했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KBS,『퇴계 탄신 500주년 특별 기획-다큐멘터리 퇴계』,
http://www.kbs.co.kr/2003_special/leehwang/ , 서울, 2001년
*신귀현, 『퇴계 이황, 예 잇고 뒤를 열어 고금을 꿰뚫으셨소』, 서울, 예문 서원, 2001년
맺음말
지금까지 퇴계의 사상이 세계에 어떻게 알려져 있는지 알아보았다. 서양에서는 인간을 세계와 분리된 존재로 생각해왔지만 『성학십도』에서는 세상만물과 인간이 모두 동일한 세계에 속한다고 한다. 현대, 특히 서양에서는 대단한 과학지식을 가졌으나 마음을 다스리는 방법을 알지는 못한다. 이 둘을 이분법적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학십도』가 제시하는 기본체계는 현대의 과학지식과 양립 가능하며 서양에서는 간과된 마음 수행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세계가 퇴계를 주목하는 이유, 그것은 퇴계가 인간을 주목했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KBS,『퇴계 탄신 500주년 특별 기획-다큐멘터리 퇴계』,
http://www.kbs.co.kr/2003_special/leehwang/ , 서울, 2001년
*신귀현, 『퇴계 이황, 예 잇고 뒤를 열어 고금을 꿰뚫으셨소』, 서울, 예문 서원, 2001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