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所當然으로서의 性을 直覺하고 그것으로써 所以然으로서의 대상세계를 體證해가는 과정이 바로 統攝과정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필자의 견해로는 적어도 퇴계철학에 한정한다면 牟宗三이 말하는 이른바 縱的 영역이 인정된다고 본다. 그리
|
- 페이지 39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퇴계 탄신 500주년 특별 기획-다큐멘터리 퇴계』,
http://www.kbs.co.kr/2003_special/leehwang/ , 서울, 2001년
*신귀현, 『퇴계 이황, 예 잇고 뒤를 열어 고금을 꿰뚫으셨소』, 서울, 예문 서원, 2001년 1.심학 이란 무엇인가?
심학의 배경
심학이란 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1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퇴계의 결론이었다.
) 退溪文集 권14, 答李叔獻.
-104-
Ⅵ.
다음에 「人心道心章」 ≪附註≫에 수록되어 있는 <人心道心圖>와 그 ≪說≫에 대해 말하면, 인심도심 문제는 심학의 근간을 이루는 것인 동시에 鄭秋巒 원작의 ≪天命圖≫를 개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퇴계 이황의 이해는 인식과 감정의 행동을 포함하는 인간 활동의 모든 면을 강조한다. 이것이 퇴계가 심학 혹은 정신과 마음을 배움으로써 성인이 되기 위하여 배우는 방침에 대하여 접근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퇴계의 교육적인 계획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9.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심학파의 심학은 본체론으로, 마음을 만사 만물의 근원으로 보았다는 말이다.
청나라 사람 장백행(張伯行)이 명대의 저명한 주자학자 진진성(陳眞晟)의 심학과 심학파의 심학이 다름을 논한 말은 여기서 진서산과 이퇴계의 심학을 평가하는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