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도둑 -비토리오 데 시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또 감독은 안토니오의 친구인 연극인의 리허설부분을 의도적으로 조금 보여준다. 자전거를 찾는 절박한 심정의 주인공과 달리 웃음을 자아내는 리허설은 대조적이다.
▲ 결말처리와 모순된 요인들의 파국적 구성
이형식 저자의 '영화의 이해'라는 책에 의하면, 네오리얼리즘은 제 2차 세계대전 마지막 몇 달 동안에 시작된 영화제작 방식이면서 특별한 영화운동 경향이기도 하다. 혼란스러운 당시의 시대상에 비추어 보았을 때, 네오 리얼리즘의 등장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을지도 모른다. 네오리얼리즘 특징은 당시 시대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현상과 거기에 대한 문제점을 고민해 나가는 점이다. 여기서 필연적으로 그 추구해야 할 이상적인 모습이 구체적으로든 추상적으로든 전제가 된다. 단순히 영화는 현실세계의 재현이 아니라 현실세계에 대한 의문의 표현이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 해답을 찾지 못하게 되고, 우리들이 기대하는 관습적인 권선징악적, 결자해지, 사필귀정식의 결말은 이끌어 내지 못한다. 오히려 평범한 사람들이 체험하고 있는 세세한 삶의 모습에서 의문을 던지는 과정 중요시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영화의 경우도 그러한 모순적인 파편을 잘 잡아준다. 경기장의 환호성, 벽보에 있는 화려한 배우, 주인공이 도둑이 되고마는 과정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마감된 결말을 굳이 강조하지 않는 <자전거 도둑>은 이러한 경향으로 끝을 명백히 하지 않고 안토니오와 브루노가 손을 잡고 걸어가는 열린 결말의 구조로 끝난다. 그러면서 사건들의 사회적인 의미를 파고든다. 현실세계가 정답이 없듯, <자전거 도둑>도 그러한 여운을 남기게 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1.19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40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