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증 대한 마황탕 도씨마황탕 추혼탕 삼요탕 오요탕 원문 및 해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양증 대한 마황탕 도씨마황탕 추혼탕 삼요탕 오요탕 원문 및 해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마황탕

도씨마황탕

추혼탕

삼요탕

오요탕

본문내용

.
若入臟하여 唇靑身冷하면 卽死라.
약입장하여 순청신랭하면 즉사라.
만약 5장에 들어가서 입술이 파랗고 몸이 차면 곧 죽는다.
【三拗湯】
삼요탕
拗(꺾을, 비뚤어지다 요; 手-총8획; niu,ao,ao)
治感冒 風邪 寒冷 鼻塞 聲重 語音不出 咳嗽多痰 胸滿 短氣 喘急이니라.
치감모 풍사 한랭 비색 성중 어음불출 해수다담 흉만 단기 천급이니라.
삼요탕은 감모 풍사와 한랭으로 코가 막히고 목소리가 잠기고, 말소리가 나오지 않고 기침하고 담이 많고 흉부창만하고 숨이 짧고 숨차고 급함을 치료한다.
麻黃 杏仁 甘草各一錢 姜[薑]三片 水煎溫服하되 得汗爲度라.
마황 행인 감초각일전 강삼편 수전온복하되 득한위도라.
삼요탕은 마황 행인 감초 각각 4g과 생강 3조각을 물에 달여 따뜻하게 복용하되 땀이 남을 기준으로 삼는다.
如胸緊하면 加枳實하고 有痰하면 加半夏하라.
여흉긴하면 가지실하고 유담하면 가반하하라.
만약 흉부가 긴장되면 삼요탕에서 지실을 가미하고 담이 있으면 반하를 가미한다.
頭痛에는 加石膏 細茶니라.
두통에는 가석고 세다니라.
두통에는 삼요탕에 석고와 가는 차를 가미한다.
【五拗湯】
오요탕
卽前方에 加荊芥 桔梗等分하니라.
즉전방에 가형개 길경등분하니라.
오요탕은 곧 앞 처방인 삼요탕에 형개와 길경을 같은 분량으로 더함이다.
如咽痛甚者는 臨服에 入芒硝少許라.
여인통심자는 임복에 입망초소허라.
만약 인두통이 심한 환자는 복용에 임하여 망초를 조금 넣는다.
一方에는 去荊芥 桔梗하고 用 枳實 半夏하니라.
일방에는 거형개 길경하고 용지실 반하하니라.
한 처방에는 형개와 길경을 제거하고 지실과 반하를 사용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1.31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51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