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 본론
1. 유아들의 초기 언어획득과 그에 따른 유아어의 특징
2. 유아어의 특성
가. 어휘상의 특징
㈎ 유아어 어휘 발달의 특성
㈏ 유아어 어휘상의 특성
나. 문법상의 특징
㈎ 문법 발달의 특성
㈏ 유아어 문법상의 특징
다. 의미상의 특징
㈎ 유아어 의미상 특성
㈏ 유아어의 의미구조
㈐ 유아어의 의미상 특성 - 구체적인 사례 중심으로
◎ 결론
◎ 참고문헌
◎ 본론
1. 유아들의 초기 언어획득과 그에 따른 유아어의 특징
2. 유아어의 특성
가. 어휘상의 특징
㈎ 유아어 어휘 발달의 특성
㈏ 유아어 어휘상의 특성
나. 문법상의 특징
㈎ 문법 발달의 특성
㈏ 유아어 문법상의 특징
다. 의미상의 특징
㈎ 유아어 의미상 특성
㈏ 유아어의 의미구조
㈐ 유아어의 의미상 특성 - 구체적인 사례 중심으로
◎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라는 단어를 생각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즉 병풍과 방패의 기능의 유사가 병풍에 대한 방패를 유추하게 한 것이다. 또한, ‘고맙습니다.’를 ‘고마워’라고 말하는 것에 유추하여, ‘감사합니다’를 ‘감사워’라고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유추라는 유아어의 의미상 특성이다.
ㄴ. 시제와 반대관계의 오용
“나 어제, 유치원에 갈 거야.”
“옛날에 다섯 살이다.”
남의 집 현관에 나서며 집주인에게, “안녕히 가셔요. 다음에 또 놀러 갈게요.”
위의 예는 한 문장에서 시제가 불일치하거나, 자신과 반대 관계에 있는 상황을 고려하지 못하는 유아어의 특성을 보여준다.
ㄷ. 의미의 오용
“내 신발 속에 땅이 들었어.”
“내 손이 반짝반짝해.”
위의 예들처럼 ‘흙’과 ‘땅’을 정확히 구분하지 못하여 표현과 의미가 달라지기도 하고, 혹은 ‘목욕탕에 오래 있어서 손이 쪼글쪼글 해졌을 때’의 의미가 ‘반짝반짝’으로 오용된 경우도 존재한다.
ㄹ. 동음이의(同音異義)
맘마 : 어머니 또는 밥
빠빠 : 아버지 또는 밥
‘어머니와 밥’, 경우에 따라 ‘아버지와 밥’은 서로 같은 소리로 사용된다. 유아에게 이들의 구별은 없다. 이 소리는 모음과 양순음으로 인간이 가장 쉽게 낼 수 있는 음인데, 성인들에 의하여 음의 구별이 이뤄지고, 의미가 식별된 것이다.
ㅁ. 대표적인 어휘의 다의성
까까 : 과자, 빵, 과일 등
에비 : 매우 넓다, 벌레, 무섭다, 안 된다, 무서운 것, 더러운 것 등
빵빵 : 차를 타자, 차가 간다, 차를 사 줘 등
엄마 : 엄마 업어 줘, 안아 줘, 밥 줘 등
위의 예들과 같이 유아어에서는 한 가지의 단어가 여러 의미를 내포하는 경우가 많다.
◎ 결 론
유아의 어휘증여에 관해서 여러 학자들에 의해서 연구되었으나 각 연구들 사이에는 유아의 평균 어휘 수에 상당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어휘 조사 방법과 대상 선정에서 나타나는 차이, 그리고 조사 환경 등에 기인한다고 하겠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우리나라 유아들이 아닌 외국의 유아들에 대한 연구라는 점이 취약점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ellman, Case, Mengert의 공동연구로 행해진 유아의 발음에 관한 연구 이석주, 「유아어고」, 『국어교육 33』,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978, 12, p.543 참조.
를 발음 체계가 매우 상이한 우리나라 유아들에게 적용시킬 수 있을지 의문이다.
또한 그 이전에 유아어에 대해 연구할 때와는 달리 현재 인터넷이 생활의 필수품처럼 인식되는 가운데 유아의 주변인들이 사용하는 통신언어나 혹은 유행어들이 유아어에 미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라고 본다.
그리고 각 유아들이 어떤 환경에 자라느냐에 따라서 계층적, 사회적 언어를 습득하는 것이 매우 상이할 것이다. 이러한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한다면 유아어의 보편적인 범주와 특성을 정하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유아어를 살펴보아야 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유아어는 초기 언어 발달 단계에 해당함으로 그것을 통해 유아어의 보편적인 특성을 바탕으로 유아 언어 교육의 지표로 삼을 수 있기에 더 없이 중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유아어를 거쳐 인간이 완전한 모국어를 습득하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가 유아어의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언어발달과정과 고도의 언어 정신세계까지 파악할 수 있는 단서가 제공된다는 것 또한 유아어를 연구해야할 이유 중의 하나이다. 그러한 단서 제공으로써 세워진 이론이 바로 행동주의 이론 및 이성주의 이론 행동주의 이론은, 언어란 경험에 의해서 학습되는 것이라고 본다. 유아는 태어날 적에 백지상태(tabla-rase)이며, 이 백지상태에서부터 차차 경험을 통하여 지식을 쌓게 되고, 언어를 습득해 나간다고 본다. skinner에 의하면 유아의 소리에 대해 강화시켜 줌으로써 언어를 습득하게 된다고 한다.
이성주의 이론은 유아가 언어습득을 위한 선천적인 능력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주장한다. Chomsky는 인간에게 언어습득 장치(LAD)가 있어서 이루어 진다고 한다.
(이신미, 「유아어의 특성과 발달에 대한 고찰」,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1989, p.58)
이다. 그러나 우리가 지금까지 유아들의 초기 언어습득을 거쳐 어휘상, 문법상, 의미상의 유아어의 특징을 살펴보면서 알 수 있었던 것은 언어발달이란 극단적인 선천능력이나 경험보다는 환경과 선천적 능력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사실이다. 이것이 바로 유아어를 주의깊게 보아야 하는 이유이다.
언어, 라고 한다면 성인들의 언어만을, 단순한 통신언어나 유행어만을 생각했던 조원들 또한 짧은 기간이나마 유아어에 대해 공부하면서 이것이 그냥 단순히 어휘상으로, 문법상으로 틀린, 애들의 말이라고 넘어갈 것이 아님을 깨달았다. 그리고 조사를 하는 과정에서 유아어에 대한 논의가 아동발달과 더불어 연구된 것은 많아도 국어학적으로, 단독적으로 유아어가 연구된 것은 방대한 국어학 자료에 비하여 굉장히 미미함을 알 수 있었다. 후에 우리의 조사와 논의의 한계점을 보완할 후속연구에 관심을 가져보면서 미흡한 연구 및 발표를 마치고자 한다.
◎ 참고문헌
· 이석주, 「유아어고」『국어교육』33,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978,
· 김사현, 「유아의 언어발달에 관한 연구서설」,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1980
· 이신미, 「유아어의 특성과 발달에 관한 고찰」,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1989
· 백숙현, 「유아어 오류에 대한 분석적 고찰」,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2004
· 이인섭, 「아동의 언어발달」, 개문사, 1986
· 김재은, 「유아의 발달 심리」, 창지사, 1986
· Robert E. Owens.Jr, 이승복 옮김, 「언어발달」, 시그마프레스, 2001
· 이경화, 「아동발달과 상담」, 학문사, 2001
· Benedicte de Boysson-Bardies, 강옥경·김명순 공역, 「영아 언어의 이해」, 학지사, 2005
· 네이버 국어사전 참고. http://krdic.naver.com/krdic.php?where=krdic&docid=99072
· 건국대 국어학연습 유아어 조모임 http://cafe.daum.net/993078
ㄴ. 시제와 반대관계의 오용
“나 어제, 유치원에 갈 거야.”
“옛날에 다섯 살이다.”
남의 집 현관에 나서며 집주인에게, “안녕히 가셔요. 다음에 또 놀러 갈게요.”
위의 예는 한 문장에서 시제가 불일치하거나, 자신과 반대 관계에 있는 상황을 고려하지 못하는 유아어의 특성을 보여준다.
ㄷ. 의미의 오용
“내 신발 속에 땅이 들었어.”
“내 손이 반짝반짝해.”
위의 예들처럼 ‘흙’과 ‘땅’을 정확히 구분하지 못하여 표현과 의미가 달라지기도 하고, 혹은 ‘목욕탕에 오래 있어서 손이 쪼글쪼글 해졌을 때’의 의미가 ‘반짝반짝’으로 오용된 경우도 존재한다.
ㄹ. 동음이의(同音異義)
맘마 : 어머니 또는 밥
빠빠 : 아버지 또는 밥
‘어머니와 밥’, 경우에 따라 ‘아버지와 밥’은 서로 같은 소리로 사용된다. 유아에게 이들의 구별은 없다. 이 소리는 모음과 양순음으로 인간이 가장 쉽게 낼 수 있는 음인데, 성인들에 의하여 음의 구별이 이뤄지고, 의미가 식별된 것이다.
ㅁ. 대표적인 어휘의 다의성
까까 : 과자, 빵, 과일 등
에비 : 매우 넓다, 벌레, 무섭다, 안 된다, 무서운 것, 더러운 것 등
빵빵 : 차를 타자, 차가 간다, 차를 사 줘 등
엄마 : 엄마 업어 줘, 안아 줘, 밥 줘 등
위의 예들과 같이 유아어에서는 한 가지의 단어가 여러 의미를 내포하는 경우가 많다.
◎ 결 론
유아의 어휘증여에 관해서 여러 학자들에 의해서 연구되었으나 각 연구들 사이에는 유아의 평균 어휘 수에 상당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어휘 조사 방법과 대상 선정에서 나타나는 차이, 그리고 조사 환경 등에 기인한다고 하겠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우리나라 유아들이 아닌 외국의 유아들에 대한 연구라는 점이 취약점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ellman, Case, Mengert의 공동연구로 행해진 유아의 발음에 관한 연구 이석주, 「유아어고」, 『국어교육 33』,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978, 12, p.543 참조.
를 발음 체계가 매우 상이한 우리나라 유아들에게 적용시킬 수 있을지 의문이다.
또한 그 이전에 유아어에 대해 연구할 때와는 달리 현재 인터넷이 생활의 필수품처럼 인식되는 가운데 유아의 주변인들이 사용하는 통신언어나 혹은 유행어들이 유아어에 미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라고 본다.
그리고 각 유아들이 어떤 환경에 자라느냐에 따라서 계층적, 사회적 언어를 습득하는 것이 매우 상이할 것이다. 이러한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한다면 유아어의 보편적인 범주와 특성을 정하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유아어를 살펴보아야 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유아어는 초기 언어 발달 단계에 해당함으로 그것을 통해 유아어의 보편적인 특성을 바탕으로 유아 언어 교육의 지표로 삼을 수 있기에 더 없이 중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유아어를 거쳐 인간이 완전한 모국어를 습득하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가 유아어의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언어발달과정과 고도의 언어 정신세계까지 파악할 수 있는 단서가 제공된다는 것 또한 유아어를 연구해야할 이유 중의 하나이다. 그러한 단서 제공으로써 세워진 이론이 바로 행동주의 이론 및 이성주의 이론 행동주의 이론은, 언어란 경험에 의해서 학습되는 것이라고 본다. 유아는 태어날 적에 백지상태(tabla-rase)이며, 이 백지상태에서부터 차차 경험을 통하여 지식을 쌓게 되고, 언어를 습득해 나간다고 본다. skinner에 의하면 유아의 소리에 대해 강화시켜 줌으로써 언어를 습득하게 된다고 한다.
이성주의 이론은 유아가 언어습득을 위한 선천적인 능력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주장한다. Chomsky는 인간에게 언어습득 장치(LAD)가 있어서 이루어 진다고 한다.
(이신미, 「유아어의 특성과 발달에 대한 고찰」,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1989, p.58)
이다. 그러나 우리가 지금까지 유아들의 초기 언어습득을 거쳐 어휘상, 문법상, 의미상의 유아어의 특징을 살펴보면서 알 수 있었던 것은 언어발달이란 극단적인 선천능력이나 경험보다는 환경과 선천적 능력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사실이다. 이것이 바로 유아어를 주의깊게 보아야 하는 이유이다.
언어, 라고 한다면 성인들의 언어만을, 단순한 통신언어나 유행어만을 생각했던 조원들 또한 짧은 기간이나마 유아어에 대해 공부하면서 이것이 그냥 단순히 어휘상으로, 문법상으로 틀린, 애들의 말이라고 넘어갈 것이 아님을 깨달았다. 그리고 조사를 하는 과정에서 유아어에 대한 논의가 아동발달과 더불어 연구된 것은 많아도 국어학적으로, 단독적으로 유아어가 연구된 것은 방대한 국어학 자료에 비하여 굉장히 미미함을 알 수 있었다. 후에 우리의 조사와 논의의 한계점을 보완할 후속연구에 관심을 가져보면서 미흡한 연구 및 발표를 마치고자 한다.
◎ 참고문헌
· 이석주, 「유아어고」『국어교육』33,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978,
· 김사현, 「유아의 언어발달에 관한 연구서설」,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1980
· 이신미, 「유아어의 특성과 발달에 관한 고찰」,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1989
· 백숙현, 「유아어 오류에 대한 분석적 고찰」,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2004
· 이인섭, 「아동의 언어발달」, 개문사, 1986
· 김재은, 「유아의 발달 심리」, 창지사, 1986
· Robert E. Owens.Jr, 이승복 옮김, 「언어발달」, 시그마프레스, 2001
· 이경화, 「아동발달과 상담」, 학문사, 2001
· Benedicte de Boysson-Bardies, 강옥경·김명순 공역, 「영아 언어의 이해」, 학지사, 2005
· 네이버 국어사전 참고. http://krdic.naver.com/krdic.php?where=krdic&docid=99072
· 건국대 국어학연습 유아어 조모임 http://cafe.daum.net/993078
추천자료
유아교육과4) 다문화 유아를 둔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과 유아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부모교육...
유아교육과정3공통) 아동중심 교육과정과 통합교육과정 개념 및 배경, 구성, 교수학습방법, ...
유아교육평가4A) 레지오에밀리아 유아교육 프로그램 - 평가와 누리과정에서의 평가가 서로 어...
유아수학교육의 교수학습 원리 및 교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 영유아수학교육계획안을 작...
영유아교육기관 평가 :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E형) 영유아교육기관 평가에 대해 논하시오(평...
유아교육철학 및 교육사 아동중심주의가 무엇인지 교육철학자의 입장에서 설명하고 현대 유아...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2016년 이후 영유아교육정책 관련 가사를 3개 이상 찾아 요약하고 향후...
유아교육과=교육과정=경험주의 교육과정의 개념을 설명하고 이것을 유아교육에 실제로 적용한...
유아교육론>>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의 체제와 종류에 대하여 論하고 방문한 유아교육기관에 ...
유아교육론E형>>유아교육기관의 교재교구 선정기준에 대해 논하고 유아교육기관의 영역별 배...
유아교육론 E형 유아교육기관의 교재교구 선정기준에 대해 논하고 유아교육기관의 영역별 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