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21세기와 신한국
2. 현대인과 스승
3. 현대인과 동양정신
4. 민족교육과 대학의 이념
5. 21세기와 한국전통문화를 읽고 나서
2. 현대인과 스승
3. 현대인과 동양정신
4. 민족교육과 대학의 이념
5. 21세기와 한국전통문화를 읽고 나서
본문내용
지금까지 알고 있었던 내용에 대한, 정확히 말해 참으로 알고 있었던 사실에 대한 반론이 제기 되었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 예를 들어보자면 최남선에 대한 탐구와, 잠깐 언급된 여성의 권리에 대한 저자의 견해라 할 수 있겠다.
이 책에서 최남선에 대한 탐구 부분은 내가 지금까지 알고 있었던 그에 대한 정보들과는 전혀 다른 입장에서 서술되고 있었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최남선이 민족의 선구자이건 민족의 반역자 이건 간에 지금까지의 고정관념으로 인하여 다른 정보에 관하여는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나 자신의 모습이 비단 나 하나의 문제는 아닐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었다. 물론 최남선의 행적에 관해 알려진 사실들만을 가지고 내린 서로 다른 평가이므로 서로 다른 주장들에 대해 어느 것이 진실이라고 판단하기는 어려우나 공부하는 학생의 위치에서 보다 중립적으로 정보를 받아들이는 자세가 부족하다는 것을 이번 기회를 통하여 깨닫게 되었다.
또한 여성의 권리에 대한 저자의 견해를 요약해 보자면 남성들의 보호 아래 있는 여성에게 사실상 권리는 필요치 않으며, 그 권리라는 것은 곳간 열쇠의 획득으로 해결된다는 논리로 전개되어 있었다. 그러나 우리는 저자가 보다 중요한 것을 쉽게 놓치고 있음을 알게 된다. 내가 공부하기에 여성들의 권리 주장의 목소리는 단순히 세상에 바뀌었다고 해서 법을 바꾸자는 것이 아니라 여성도 한 인간으로서 남성과 동질의 권리를 향유하여 보다 나은 유토피아의 건설을 위해 현재의 불합리한 제도를 개선하자는 것이지 절대로 우리의 문화가 야만적이어서 제도를 개선하자는 것은 절대로 아니라는 것이다. 때문에 저자는 좀 더 객관적인 자세로 종합적인 면을 관찰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학자로써의 객관성이 결여되어 있는 논리를 전개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았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중요한 것은 이 책의 저자도 언급했듯이 우리는 기존의 일본 및 기타 제국주의의 문화를 가지고서는 모든 것이 새롭게 전개 될 21세기에 살아 남을 수 가 없다.왜냐하면 우리 전통문화 존재가 다른 문화를 담을 수 있는 근간이 되기 때문이다. 때문에 21세기를 준비하는 세대인 우리는 지금까지 우리가 무너뜨린 우리의 전통문화를 회복하여 우리 나름의 방법을 지향하고, 우리만의 독특한 전통을 통하여 21세기를 준비해야만 무한 경쟁시대에서 살아 남을 수 있다는 저자의 주장에 동의하며, 이것만이 우리의 본 모습을 찾는 유일한 지름길일 것이다.
이 책에서 최남선에 대한 탐구 부분은 내가 지금까지 알고 있었던 그에 대한 정보들과는 전혀 다른 입장에서 서술되고 있었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최남선이 민족의 선구자이건 민족의 반역자 이건 간에 지금까지의 고정관념으로 인하여 다른 정보에 관하여는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나 자신의 모습이 비단 나 하나의 문제는 아닐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었다. 물론 최남선의 행적에 관해 알려진 사실들만을 가지고 내린 서로 다른 평가이므로 서로 다른 주장들에 대해 어느 것이 진실이라고 판단하기는 어려우나 공부하는 학생의 위치에서 보다 중립적으로 정보를 받아들이는 자세가 부족하다는 것을 이번 기회를 통하여 깨닫게 되었다.
또한 여성의 권리에 대한 저자의 견해를 요약해 보자면 남성들의 보호 아래 있는 여성에게 사실상 권리는 필요치 않으며, 그 권리라는 것은 곳간 열쇠의 획득으로 해결된다는 논리로 전개되어 있었다. 그러나 우리는 저자가 보다 중요한 것을 쉽게 놓치고 있음을 알게 된다. 내가 공부하기에 여성들의 권리 주장의 목소리는 단순히 세상에 바뀌었다고 해서 법을 바꾸자는 것이 아니라 여성도 한 인간으로서 남성과 동질의 권리를 향유하여 보다 나은 유토피아의 건설을 위해 현재의 불합리한 제도를 개선하자는 것이지 절대로 우리의 문화가 야만적이어서 제도를 개선하자는 것은 절대로 아니라는 것이다. 때문에 저자는 좀 더 객관적인 자세로 종합적인 면을 관찰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학자로써의 객관성이 결여되어 있는 논리를 전개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았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중요한 것은 이 책의 저자도 언급했듯이 우리는 기존의 일본 및 기타 제국주의의 문화를 가지고서는 모든 것이 새롭게 전개 될 21세기에 살아 남을 수 가 없다.왜냐하면 우리 전통문화 존재가 다른 문화를 담을 수 있는 근간이 되기 때문이다. 때문에 21세기를 준비하는 세대인 우리는 지금까지 우리가 무너뜨린 우리의 전통문화를 회복하여 우리 나름의 방법을 지향하고, 우리만의 독특한 전통을 통하여 21세기를 준비해야만 무한 경쟁시대에서 살아 남을 수 있다는 저자의 주장에 동의하며, 이것만이 우리의 본 모습을 찾는 유일한 지름길일 것이다.
추천자료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역사와 창작이론, 국악교육(한국전통음악교육)의 동향과 문제점, 국악...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정의와 종류,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원리, 국악(한국전통음악)과 국악...
국악(한국전통음악)의 분류와 연주형태,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정의와 분류, 국악기(한국전...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 의미와 용도,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 바른 자세, 국악기(한국...
국악교육(한국전통음악교육) 의의와 실태, 국악교육(한국전통음악교육) 내용과 실제, 국악교...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 역사와 쓰임,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 연주자세, 국악기(한국...
국악교육(한국전통음악지도)의 현실과 필요성, 국악교육(한국전통음악지도)의 민요지도, 장단...
한국화(한국전통회화)의 정의와 성격, 한국화(한국전통회화)의 역사적 전개, 한국화지도(한국...
한국화(한국전통회화)의 정의, 한국화(한국전통회화)의 특징, 한국화지도(한국전통회화교육)...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의 유래,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의 기본과 자세, 국악기(한국...
[국악교육]국악지도(한국전통음악교육)의 개념, 국악지도(한국전통음악교육)의 가창활동과 민...
[한국전통윤리사상]윤리사상의 개념,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의의, 한국전통윤리사상의 특징, 한...
한국화(한국전통회화)의 특성과 의의, 한국화교육(한국전통회화지도)의 기초, 한국화교육(한...
한국전통음악교육(국악지도)의 필요성과 교과내용, 한국전통음악교육(국악지도)의 기악, 가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