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박지원의 생애와 학문 경향
1. 박지원의 생애
2. 학문적 경향
Ⅱ. 연암 박지원 문학에 나타난 실학사상 연구
1. 독창성과 자주성
2. 법고창신
3. 새로운 인간형의 창조
4. 인간성의 긍정
5. 당대현실에 대한 비판과 풍자
※ 참 고 문 헌
1. 박지원의 생애
2. 학문적 경향
Ⅱ. 연암 박지원 문학에 나타난 실학사상 연구
1. 독창성과 자주성
2. 법고창신
3. 새로운 인간형의 창조
4. 인간성의 긍정
5. 당대현실에 대한 비판과 풍자
※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을 벗어나고 있는 실정이었다.
<민옹전>에서는 민옹이 종로 길을 가득 메우고 다니는 유식자들을 칠칙황충이라하여 비판하고 있고 <양반전>에서는 경제적으로 몰락한 양반이 양반신분을 팔아치우는 것을 풍자하면서, 그 양반이라는 것이 도독이라는 것을 폭로하고 있다. 정선 고을의 양반은 아무런 생활 타개능력이 없는 인물이다. 허생과 같이 경륜과 능력을 갖지도 못한 이 정선 양반은 오히려 그 당시 일반적인 몰락양반의 전형이라 해도 좋을 것이다. 이 궁박한 양반은 결국 천민의 길을 가지 않으면 안되게 되고 반면에 부자는 양반의 길을 가야 하는 것인데, 작품은 그렇지 않다. 부자가 평생 양반이라는 말을 입에 올리지 않았다는 것은 양반으로의 신분상승이란 올바른 신분상승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 점에서 <양반전>은 평민들의 진로가 어떠해야 하는가를 보여주는 값진 예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연암이 비판적인 사(士)를 주장한것이 같다고 할 것이다.
한편 <호질>에 오면 풍자의 도는 더욱 강렬해진다. <호질>에서 연암은 범을 등장시켜 북곽선생의 위선과 비굴, 정절을 지켜 표창을 받은 동리자의 패륜을 폭로하고 있다. 즉 성을 각각 달리하는 다섯 아들을 둔 동리자와 그 여자와 사통하는 북곽선생을 통해 당대 지배층의 이념이 얼마나 허위의식인가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 참고문헌
1. 김명호(1990), 『열하일기 연구』창작과비평사
2. 민병수(1978), “박지원 문학의 연구사적 검토”『한국학보』13.
3. 박기석(1984), 『박지원 문학연구』삼지원
4. 이가원(1965), “연암의 문학관,” 『연암소설연구』을유문화사
<민옹전>에서는 민옹이 종로 길을 가득 메우고 다니는 유식자들을 칠칙황충이라하여 비판하고 있고 <양반전>에서는 경제적으로 몰락한 양반이 양반신분을 팔아치우는 것을 풍자하면서, 그 양반이라는 것이 도독이라는 것을 폭로하고 있다. 정선 고을의 양반은 아무런 생활 타개능력이 없는 인물이다. 허생과 같이 경륜과 능력을 갖지도 못한 이 정선 양반은 오히려 그 당시 일반적인 몰락양반의 전형이라 해도 좋을 것이다. 이 궁박한 양반은 결국 천민의 길을 가지 않으면 안되게 되고 반면에 부자는 양반의 길을 가야 하는 것인데, 작품은 그렇지 않다. 부자가 평생 양반이라는 말을 입에 올리지 않았다는 것은 양반으로의 신분상승이란 올바른 신분상승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 점에서 <양반전>은 평민들의 진로가 어떠해야 하는가를 보여주는 값진 예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연암이 비판적인 사(士)를 주장한것이 같다고 할 것이다.
한편 <호질>에 오면 풍자의 도는 더욱 강렬해진다. <호질>에서 연암은 범을 등장시켜 북곽선생의 위선과 비굴, 정절을 지켜 표창을 받은 동리자의 패륜을 폭로하고 있다. 즉 성을 각각 달리하는 다섯 아들을 둔 동리자와 그 여자와 사통하는 북곽선생을 통해 당대 지배층의 이념이 얼마나 허위의식인가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 참고문헌
1. 김명호(1990), 『열하일기 연구』창작과비평사
2. 민병수(1978), “박지원 문학의 연구사적 검토”『한국학보』13.
3. 박기석(1984), 『박지원 문학연구』삼지원
4. 이가원(1965), “연암의 문학관,” 『연암소설연구』을유문화사
추천자료
박지원 연구
[고전문학사상론] 구운몽에 나타난 유. 불. 도 사상
박지원 문학
박지원연구
성리학자와 실학자의 도덕론
박지원과 안등창익의 비교연구
실학 사상에 나타난 여전제
『열하일기』에 나타난 박지원의 역사인식과 상대주의적 사고
(현대철학)최인훈 문학에 나타난 칸트의 사상
[한국문학연구] <노처녀가Ⅰ>에 나타난 조선시대 여성의식
「虎叱(호질)」 再考察(재고찰)
한용운(韓龍雲)이 말하는 사상 연구 - 침묵에 관한 연구, 시에 나타난 님의 견해, 승려 한용...
『등신불(等身佛)』에 나타난 불교사상 - 등신불의 구조와 갈등 양상, 만적의 소신공양과 성...
조선후기 산문문학 -소설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국문소설, 조선시대 군담소설, 조선시대 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