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에대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1>도가란?

본론
2>도가사상의 주류인 노자와 장자.
3>도가의 이론


결론
4>도가에 영향을 받은 중국인들의 민족성

본문내용

단히 외유내강적인 면모를 지니게 된다. 따라서 조급하지 않은 새옹지마적 합리화는 도망하는 것이 최고의 전술이라는 기이한 면을 발전시켰다.
4. 柔弱性 : 태극권에서 느낄 수 있는 느림과 부드러움에 대한 신봉 속엔, 유약함이 강함을 이긴다는 대단한 고집을 엿보게 한다. 한편 이러한 성향으로 '大巧若拙'이라는 식의 못나고 소박함 속에서 진정한 가치를 찾으려는 겸손의식을 낳았다.
5. 현실성 : 위와는 상반되게 중국인은 지나친 실용주의를 추구한다. 특히 종교에 대한 중국인의 태도는 이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돈을 벌게해준다면 아침엔 교회에 가고, 낮엔 회교사원에 가며, 저녁엔 절에 갈수도 있는 것이다.
6. 인내성 : '愚公移山'의 이야기처럼 몇대를 거쳐서라도 산을 옮기려는 정신이다. 이러한 정신이 만리장성을 가능케 한 것이지만, 반면에 강제결혼, 전족 등과 같은 봉건사회의 각종 부도덕한 윤리와 풍습은 이러한 중국민족의 틈새에서 성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7. 향락성 : 좋은 입는 것은 남의 이목을 즐겁게 하지만, 먹고 마시는 것은 나를 이롭게 한다. 중국인은 자신을 즐겁게 하는 각종 오락에 쉽게 빠진다. 음식, 술, 차 심지어 마약까지. 그리고 마작, 투계(닭싸움), 낮잠 등. 그래서 김성탄이란 사람은 인생의 즐거움 중에서 수도에 전념하던 중이 어느날 조정으로부터 중도 고기를 먹을 수 있다는 소식을 접하는 즐거움을 거론하기도 했다.
8. 개인주의 : 가족중심주의와 통하는 것으로 모든 즐거움은 나에게 있고, 나로부터 말미암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나 사회의 공익을 위한 조치는 무관하다. 단 이것이 나의 이익에 관련되어 있다면 밤을 새워 달려간다.
9. 체면성 : 중국인은 체면을 대단히 중시여긴다. '面子'에 죽고 산다. 따라서 서로서로가 상대의 체면을 살려주는 것이 중요한다. 따라서 '厚?'하다는 것은 대단히 치욕적인 욕이된다.
10. 우둔성 : 총명하고 명쾌한 것은 중국인이 지향하는 바가 아니다. 오히려 못난 척 바보스러움이 존경을 받는다. 그래서 호적선생은 이러한 면모를 꼬집어 '差不多先生'이라 했다.
11. 우월성 : 중국인들은 자신들의 문화적 성취에 대해 대단한 자부심을 갖고 있다. 이러한 면모가 어떤 경우에는 혐오감을 주기도 하는데, 그들의 이 '中華主義'에는 약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아무래도 주왕조부터 내려오던 '尊王攘夷'(왕이 떠받들고 외적을 내치는)적 사고에서 기인한 듯싶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2.03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59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