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대퇴 경부 골절(Femur neck fraction)
1. 손상기전
2. 분류
3. 증상 및 이학적 소견
4. 방사선 검사
5. 치료
6. 합병증
◎ 노인의 낙상
1. 손상기전
2. 분류
3. 증상 및 이학적 소견
4. 방사선 검사
5. 치료
6. 합병증
◎ 노인의 낙상
본문내용
투여 PCA의 안전성과 효과는 입증되었으며, 전신 진통 방법과 비교하여 만족도가 높다. 성공 여부는 근육주사의 진통 효과가 제한되는 경우와 같다. 즉 과용량이 투여되는 두려움으로 낮은 일회 투여량 또는 긴 투여 중단시간 등 부적절한 방법으로 적은 양이 투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성공을 결정하는 4가지 인자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
1. 효과적인 부하용량
2. 적절한 일회 투여량
3. 투여중단 간격
4. 최대 4시간 투여량
일회 마약성 진통제가 PCA보다 우수하다는 소견은 없다. 이상적인 진통제는 아직은 없지만 적절하게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한다면 효과적이다. 일반적으로 fentanyl, sufentanil, alfentanil과 같은 짧은 작용시간의 약제는 PCA에 적합하지 않다.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방법에서 초기의 효과적인 진통은 증가된 1회 투여량 또는 지속적 투여량에 따라서 결정된다. 적절한 투여중단 시간, 증가된 일회 투여량, 단위 시간당 퇴대 투여량의 결정과 투여계획을 PCA기구에 입력한다. 환자가 PCA를 작동할 경우 적절히 증가된 일회 투여량은 PCA방법의 성공과 결부된다. 마약성 진통제의 약역동학적 차이가 중요하다는 것은 잘 알려진 것이므로 모든 환자에서 표준지시에 따라서 통일된 투여량을 적용한다. 치료초기에는 결정된 용량의 효과를 분석 평가하고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슷하게 계획된 투여중단 시간은 환자가 다음 주여되는 시간을 예민하게 기다리면서 시계만 쳐다보게 되므로 장기간 사용은 권장하지 않는다. 한 번 투여한 후에 치료 효과를 경험하게 하여서 다른 용량으로 투여하는 방법도 시도한다.
최근의 PCA 기구들은 지속적 투여와 간헐적으로 필요에 따라서 환자가 작동시켜 투여하는 방법으로 기본 진통효과를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것이 선호된지만 종래의 PCA와 기본 투여량과 함께 투여하는 PCA의 비교에 대한 논란이 많으며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분야이다.
◎ 노인의 낙상
노인 인구 집단의 병적 상태와 치명적인 상태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낙상위험요인으로는 안절부절하고, 여러 약물을 복용하며, 걸음걸이와 균형에 장애가 있으며, 관절염이나 과거 뇌졸중 경험이 있고, 현저한 직립성 저혈압이 있는 경우와 직립성 저혈압, 안경을 쓰지 않음(시력 장애)과 밤전등이 꺼져 있는 경우 (환경적인 위험), 3시간 전에 수면제를 먹은 경우(약물 효과) 등이다.
1. 낙상의 내적요인
(1) 노화의 정상적 생리적 변화
걸음 걸이, 균형, 바로 세우는 기전의 장애, 걸음 걸이 높이의 감소, 몸통과 사지의 유연성 감소, 특히 하지에 근육 크기, 강도, 긴장도 감소, 감각 변화 - 시력, 청력, 자기 감수, 촉각 등의 장애, 직립성 저혈압, 경부 관절면의 기계자극 수용기 장애 등이 원인이다.
(2) 병리적인 상태
만성적 불완전 무릎관절, 류마티스 관절염, 파킨슨씨 질병, 정신 박약, 말초 신경질환 우울증, 척추 기저 기능 부전과 급성적, 우발적인 상태인 심장 부정맥, 실신, 하수 발작, 일시적인 빈혈시에 사고가 날 수 있다.
(3) 약물영향
약물 부작용으로 인한 직립성 저혈압과 전해질 불균형, 이차적인 이뇨제, 디지털리스 독성사용이나 항콜린 약물과 항우울제나 알콜을 복용하는 경우이다.
2. 낙상의 환경 요소
(1) 가정 밖
원인은 지역사회의 장애자나, 휠체어를 위한 경사로가 없는 것, 높은 도로의 가장자리, 신호등의 주기, 에스컬레이터의 사용, 계단이 높은 대중 교통 수단, 휠체어리프트의 부족, 어두운 거리 조명 등이다.
(2) 가정 안
입구의 계단은 잘 손질이 되었고 너무 높지는 않은가? 손잡이는 튼튼한가? 조명이 충분한가? 도로나 차고로 가는 길은 막힌데가 없는지 파악한다.
마루나 복도는 미끄러운가? 양탄자가 조각나 있지는 않았나? 전깃줄은 없는가, 조명은 충분한가를 조사한다.
부엌의 마루는 모노륨을 깔았거나 왁스를 바르지 않았는지 선반은 높지 않은지 조사한다.
3. 위험요인에 대한 관리
(1) 간단한 처방 : 적절한 신발, 보행기, 지팡이
(2) 적당한 보조기구 사용 : 감각장애시
(3) 약불복용조정 : 항고혈압제, 이뇨제, 항우울제의 조정이나 제거
(4) 직립성 저혈압주의 : 노인인구 33%의 낙상 요인으로 현기증, 균형 변형, 근허약, 시각장애가 있다. 따라서 누웠다가 앉을 때 천천히 일어나거나 일어서기 전에 잠시 앉아 있는다(특히 아침에). 옷 입는 동안에는 앉아있고 가능하면 기댈 수 있는 의자를 사용한다. 혈관 확장과 정맥 울혈을 야기하는 행동은 피한다(예, 뜨거운 물에 목욕을 하거나 뜨겁고 습한 곳에 오래 있는 행위, 많은 양의 식사), 탄력성이 있는 옷이나 약물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5) 질병 상태 관리 ; 급성, 우발적인 상태(예 : 바이러스성 미로염, 위장염으로 인한 탈수증),만성적인 질병(예 : 파킨슨씨 병)이 기동성에 영향을 준다.
(6) 신경계와 심폐기 상태 : 심장 부정맥, 일시적 뇌졸중(TIA), 갑작스런 실신 경험 등
(7) 현저한 망막 병리, 자율적인 기능 장애, 말초신경 장애가 있는 Type Ⅱ당뇨와 고혈압
(8) 이뇨제, 항우울제, 최면제, 모든 중추 신경계 약물 복용시 주의한다.
(9) 가정에서의 위험을 사정하고 적절히 중재한다.
〔 참고 문헌 〕
·성인간호학 하 (Ⅰ,Ⅱ) / 2000년 2월 25일 / 서문자 외 8명 / 수문사
·정형외과 간호학 / 1991년 8월 30일 / 한윤복, 노유자 / 현무사
·간호방법 / 1994년 7월 20일 / 서울대학교 출판부
·간호과정 / 1998년 2월 25일 / 한윤복, 전시자, 김남초 / 현무사
·임상검사와 간호 / 홍경애 외 8명 / 수문사
·cnuh.com/%7Etryoon/hipfracture/hipf-ne.htm
·cnuh.com/~tryoon/frameset-artijt.htm
·www.khmcos.or.kr/info/info1.asp
·www.laboratories.co.kr
·dric.sookmyung.ac.kr/master/2003_master.htm
·cpl.yonsei.ac.kr/micro/infect/hi2_4_ur.htm
·kjx-ray.uu.st
1. 효과적인 부하용량
2. 적절한 일회 투여량
3. 투여중단 간격
4. 최대 4시간 투여량
일회 마약성 진통제가 PCA보다 우수하다는 소견은 없다. 이상적인 진통제는 아직은 없지만 적절하게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한다면 효과적이다. 일반적으로 fentanyl, sufentanil, alfentanil과 같은 짧은 작용시간의 약제는 PCA에 적합하지 않다.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방법에서 초기의 효과적인 진통은 증가된 1회 투여량 또는 지속적 투여량에 따라서 결정된다. 적절한 투여중단 시간, 증가된 일회 투여량, 단위 시간당 퇴대 투여량의 결정과 투여계획을 PCA기구에 입력한다. 환자가 PCA를 작동할 경우 적절히 증가된 일회 투여량은 PCA방법의 성공과 결부된다. 마약성 진통제의 약역동학적 차이가 중요하다는 것은 잘 알려진 것이므로 모든 환자에서 표준지시에 따라서 통일된 투여량을 적용한다. 치료초기에는 결정된 용량의 효과를 분석 평가하고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슷하게 계획된 투여중단 시간은 환자가 다음 주여되는 시간을 예민하게 기다리면서 시계만 쳐다보게 되므로 장기간 사용은 권장하지 않는다. 한 번 투여한 후에 치료 효과를 경험하게 하여서 다른 용량으로 투여하는 방법도 시도한다.
최근의 PCA 기구들은 지속적 투여와 간헐적으로 필요에 따라서 환자가 작동시켜 투여하는 방법으로 기본 진통효과를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것이 선호된지만 종래의 PCA와 기본 투여량과 함께 투여하는 PCA의 비교에 대한 논란이 많으며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분야이다.
◎ 노인의 낙상
노인 인구 집단의 병적 상태와 치명적인 상태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낙상위험요인으로는 안절부절하고, 여러 약물을 복용하며, 걸음걸이와 균형에 장애가 있으며, 관절염이나 과거 뇌졸중 경험이 있고, 현저한 직립성 저혈압이 있는 경우와 직립성 저혈압, 안경을 쓰지 않음(시력 장애)과 밤전등이 꺼져 있는 경우 (환경적인 위험), 3시간 전에 수면제를 먹은 경우(약물 효과) 등이다.
1. 낙상의 내적요인
(1) 노화의 정상적 생리적 변화
걸음 걸이, 균형, 바로 세우는 기전의 장애, 걸음 걸이 높이의 감소, 몸통과 사지의 유연성 감소, 특히 하지에 근육 크기, 강도, 긴장도 감소, 감각 변화 - 시력, 청력, 자기 감수, 촉각 등의 장애, 직립성 저혈압, 경부 관절면의 기계자극 수용기 장애 등이 원인이다.
(2) 병리적인 상태
만성적 불완전 무릎관절, 류마티스 관절염, 파킨슨씨 질병, 정신 박약, 말초 신경질환 우울증, 척추 기저 기능 부전과 급성적, 우발적인 상태인 심장 부정맥, 실신, 하수 발작, 일시적인 빈혈시에 사고가 날 수 있다.
(3) 약물영향
약물 부작용으로 인한 직립성 저혈압과 전해질 불균형, 이차적인 이뇨제, 디지털리스 독성사용이나 항콜린 약물과 항우울제나 알콜을 복용하는 경우이다.
2. 낙상의 환경 요소
(1) 가정 밖
원인은 지역사회의 장애자나, 휠체어를 위한 경사로가 없는 것, 높은 도로의 가장자리, 신호등의 주기, 에스컬레이터의 사용, 계단이 높은 대중 교통 수단, 휠체어리프트의 부족, 어두운 거리 조명 등이다.
(2) 가정 안
입구의 계단은 잘 손질이 되었고 너무 높지는 않은가? 손잡이는 튼튼한가? 조명이 충분한가? 도로나 차고로 가는 길은 막힌데가 없는지 파악한다.
마루나 복도는 미끄러운가? 양탄자가 조각나 있지는 않았나? 전깃줄은 없는가, 조명은 충분한가를 조사한다.
부엌의 마루는 모노륨을 깔았거나 왁스를 바르지 않았는지 선반은 높지 않은지 조사한다.
3. 위험요인에 대한 관리
(1) 간단한 처방 : 적절한 신발, 보행기, 지팡이
(2) 적당한 보조기구 사용 : 감각장애시
(3) 약불복용조정 : 항고혈압제, 이뇨제, 항우울제의 조정이나 제거
(4) 직립성 저혈압주의 : 노인인구 33%의 낙상 요인으로 현기증, 균형 변형, 근허약, 시각장애가 있다. 따라서 누웠다가 앉을 때 천천히 일어나거나 일어서기 전에 잠시 앉아 있는다(특히 아침에). 옷 입는 동안에는 앉아있고 가능하면 기댈 수 있는 의자를 사용한다. 혈관 확장과 정맥 울혈을 야기하는 행동은 피한다(예, 뜨거운 물에 목욕을 하거나 뜨겁고 습한 곳에 오래 있는 행위, 많은 양의 식사), 탄력성이 있는 옷이나 약물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5) 질병 상태 관리 ; 급성, 우발적인 상태(예 : 바이러스성 미로염, 위장염으로 인한 탈수증),만성적인 질병(예 : 파킨슨씨 병)이 기동성에 영향을 준다.
(6) 신경계와 심폐기 상태 : 심장 부정맥, 일시적 뇌졸중(TIA), 갑작스런 실신 경험 등
(7) 현저한 망막 병리, 자율적인 기능 장애, 말초신경 장애가 있는 Type Ⅱ당뇨와 고혈압
(8) 이뇨제, 항우울제, 최면제, 모든 중추 신경계 약물 복용시 주의한다.
(9) 가정에서의 위험을 사정하고 적절히 중재한다.
〔 참고 문헌 〕
·성인간호학 하 (Ⅰ,Ⅱ) / 2000년 2월 25일 / 서문자 외 8명 / 수문사
·정형외과 간호학 / 1991년 8월 30일 / 한윤복, 노유자 / 현무사
·간호방법 / 1994년 7월 20일 / 서울대학교 출판부
·간호과정 / 1998년 2월 25일 / 한윤복, 전시자, 김남초 / 현무사
·임상검사와 간호 / 홍경애 외 8명 / 수문사
·cnuh.com/%7Etryoon/hipfracture/hipf-ne.htm
·cnuh.com/~tryoon/frameset-artijt.htm
·www.khmcos.or.kr/info/info1.asp
·www.laboratories.co.kr
·dric.sookmyung.ac.kr/master/2003_master.htm
·cpl.yonsei.ac.kr/micro/infect/hi2_4_ur.htm
·kjx-ray.uu.st
추천자료
욕창, suction, 관절운동
대퇴 골절환자에 대한 case study
OA(Osteoarthritis)- 퇴행성 관절염
RA (RheumAtoid)루마티스 OA(Osteoarthritis)퇴행성 관절염
노인간호]] 퇴행성 관절염에 따른 슬관절치환술
[바이오세라믹스] 인공뼈,인공관절의 응용과 향후전망
[임상운동학] Mobilization(관절 가동기법) & Manipulation(도수치료)
성인간호 실습 케이스 스터디-퇴행성 관절염
어깨 신체 검진 및 재활 운동 방법 (시진(Inspection), 뼈의 촉, 임상 구역에 의한 연부조직 ...
[현대인과 성인병] 퇴행성 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의 원인 및 증상과 치료.ppt
[연부조직, 뼈, 그리고 수술 후 상태에서 치료의 원리] 연부조직 병변, 급성기 동안의 관리, ...
골격의 구조와 뼈, 관절에 대해서
case study - [골관절염 (osteoarthritis : OA)]
[간호학] 골관절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