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수손상 (Spinal cord Injury )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원인과 병태생리
1. 발생빈도
2. 원인과 위험요인
Ⅱ. 임상적 증상 및 진단적 소견
Ⅲ. 관리
Ⅳ. 합병증
Ⅴ. 간호사정
Ⅵ. 간호진단
Ⅶ. 간호중재
Ⅷ. 평가

본문내용

다.
3. 섭취량과 배설량을 모니터한다.
4.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수분섭취를 증가시킨다.
5. 낮 동안은 수분을 2시간마다 제공한 뒤 30분정도 후에 배뇨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방광 부위를 눌러줌으로써 배뇨반사를 훈련시킨다. 밤동안은 실금이나 요정체를 방지하기 위 해 수분섭취를 피한다.
E. 장 활동 증진
1. 장음을 사정하고 복부팽만감을 관찰한다. 손상직후 마비성 장폐색이 흔하다.
2. 필요한 경우 비위관으로 흡입을 해준다.
3. 장음이 돌아오고 환자가 음식을 섭취하면 고열량, 고단백, 고섬유 식이를 권한다.
4. 대변이 묽게 스며나오는지 사정, 대변이 차 있는지 항문검진을 한다. - 필요시 대변을 제거한다.
5. 가능한 빠른 시일내로 장운동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a. 보통 식사 후에 매일 같은 시간에 배변을 보도록 권장한다.
b. 글리세린 좌약 등을 삽입하여 배변을 촉진한다.
c. 앉은 자세로 약간 앞으로 몸을 숙여 복부 내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
F. 자율 반사이상의 조절
1. 가능한 한 자극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한다.
a. 대변이 차 있거나 소변정체, 도뇨관의 꼬임 등으로 인하 방광이나 장의 팽만
b. 침구의 주름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피부자극, 온/냉감으로 인한 자극, 꽉 죄는 옷으 로 인한 통증
c. 위장관의 팽만이나 위축
d. 감염 특히 요도감염
2. 두통, 계속되는 발한, 비충혈, 소름끼침, 빈맥, 심한 고혈압 등에 유의한다.
3. 자율 반사이상이 있을 경우 즉시 환자를 앉히고 혈압과 뇌내압을 낮추도록 한다.
4. 가능한 원인 자극을 제거한다.
5. 처방된 항고혈압 제제를 투여한다.
6. 정상으로 돌아올 때까지 혈압을 매 3~5분 간격으로 측정한다.
G. 환자격려
1. 모든 절차를 환자에게 설명한다.
2. 가능하며 환자에게 편리한 방향으로 치료계획을 조정한다.
3. 환자가 휴식을 취하고 불안감이 적을 때 계획된 처치를 한다.
4. 환자가 이루어낸 것에 대해 격려한다.
5. 스트레스 관리방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6. 환자를 동기화시키는 요인을 밝혀낸다.
Ⅷ. 평가
1. 효과적인 호흡기능을 유지한다.
2. 신체운동성 손상에 대한 보상적인 기능을 시작한다.
3. 피부손상이 없다.
4. 소변정체나 감염이 없다.
5. 장기능을 회복한다.
6. 자율반사 이상이 없다.
7. 환자가 자신의 상태에 대한 조절능력을 말로 표현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2.12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7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