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례보고서 양식
1.개인력
2.건강력
3. 간호진단을 위한 자료수집
⑴ 교환
⑵ 의사소통- 언어장애 : 무
⑶ 관계
⑷ 가치
⑸ 선택
⑹ 기동
⑺인지/지각
⑻지식
⑼ 감정
4. 질병기술
* 복합성 아탈구
병태생리
임상소견(Clinical manifestation in general) :
치료와 간호
5. 간호과정
1) 초기자료
2) 경구, 비경구적 투약과 정맥수액주입 (oral, parenteral medication and fluid administration)
3) 특수 검사
4) 각종처치(각종튜브를 포함하여)
5) 진단 목록 및 우선순위
6) 간호문제 및 간호중재
1.개인력
2.건강력
3. 간호진단을 위한 자료수집
⑴ 교환
⑵ 의사소통- 언어장애 : 무
⑶ 관계
⑷ 가치
⑸ 선택
⑹ 기동
⑺인지/지각
⑻지식
⑼ 감정
4. 질병기술
* 복합성 아탈구
병태생리
임상소견(Clinical manifestation in general) :
치료와 간호
5. 간호과정
1) 초기자료
2) 경구, 비경구적 투약과 정맥수액주입 (oral, parenteral medication and fluid administration)
3) 특수 검사
4) 각종처치(각종튜브를 포함하여)
5) 진단 목록 및 우선순위
6) 간호문제 및 간호중재
본문내용
자기공명을 이용하여 신체에 대한 특별한 조작없이 내부장기의 종양과 연조직(근육, 인대, 건 ) 및 혈관의 병변을 확인 ,진단
-전
1.식이는 해도됨(검사약물 투여시는 금기)
2.금속 및 자석물질 제거
3.임산부, 체내금속성분 소지자, 밀폐공포증 환자는 금기
4.몸을 편안하게 한다
-후
특별한 주의사항은 없음, 검사약물 투여 후
오심,구토, 현기증 등
합병증이 일어날 수 있으니 발생시 연락요망 검사결과는 2-3일 후에 알게 됨을 알림
spinal cord injury5,6
mild contusion of spinal cord with compressive myelopathy.
traumatic spondylolisthesis
척추전방전위증
subluxation of Lt, facet joint 후관절
fracture of inferior articular process , Rt. L5
fracture of spinous process C4, C5
수술후 그림
5
6
Abd-pelvic MDCT
비 침투적 검사로 척추를 가로로 잘라 볼 수 있고 척추뼈 외에 주위의 힘줄이나 디스크의 모양까지 볼 수 있는 검사이다.
-전
1.최소 6시간 이상 금식
2.조영제 사용으로 과민반응 일어날 수 있음(어지러움, 두드러기8.31, 쇼크)
-후
1.검사약물 투여로 인해 메스꺼움이 있을 수 있음.
2.검사약물의 배설을 증진시키기위해 수분섭취를 많이 해야함을 알림
liver, biliary system ,pancreas
and spleen은 이상소견 없음.
focal pnaumonia in LLL and small amount of pleural effusion in Lt lower chest.
4) 각종처치(각종튜브를 포함하여)
유형
사용 기간
(duration)
사용 목적
간호관리(이론적)
사례환자에게 적용시 나타난 부작용 및 문제점
P-brace
8.31~
머리와 목뼈의 회선, 굴곡을 제한하는 경우에 중등도 환자에 사용하는 보조기
-경추를 일정 위치로 고정
의사의 지시없이 제거하지 않으며 목을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항상 몸과 목이 일자가 되도록 한다.
없음
H-vac
8.31~
수술후 상처의 분비물 배액을 하고 체내에 고여 있는 분비물을 배액하기 위함이다.
1.완전하게 흡인기를 압축하여 bag에 음압이 유지되도록 한다.
2.연 배액시 bag의 위치는 카테터 삽입 위치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한다.
3.운동이 필요한 환자에게는 안전핀이나 집게를 사용하여 당겨지지 않도록 환의에 잘 고정한다.
4.흡인기가 가득 차면 음압이 소실되므로 필요시마다 자주 비우도록 한다.
5.갑자기 선홍색이 많은 혈액이 배액될 경우 의사에게 알린다.
6.배액량 측정시에는 cath.를 kelly나 hemostat으로 잠근 후 눈금이 있는 cup에 부어서 측정하고, 배액량이 적을 때에는 곡반에 부은 후 주사기로 재어 양을 측정한다.
7.배액량 측정 후에는 다시 음압이 유지되도록 bag을 꼭 눌러서 뚜껑을 닫고 kelly를 푼다.
8.Hemovac을 제거한 후에는 단순 드레싱을 하고 근무시마다 분비물을 관찰한다.
DVT stocking
8.31~
피부의 부종을 감소시켜 주며, 임파 순환을 촉진시켜 준다.
1.주름이 잡히지 않도록 항상 치켜 올려 팽팽하게 유지한다
2.착용시 손발톱, 반지, 시계 등에 걸리지 않도록 유의한다.
3.갑자기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는다.
4.허벅지(밴드)형이 흘러내릴 경우에는 허리밴드 또는 어깨밴드를 착용한다.
5.아침에 일어나서 착용하고 자기 전에 잠자리에서 벗을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하루 평균 8시간 정도 착용하면 된다.
humidication
8.31~
습도유지
1. 가습기를 사용할 때는 매일 물을 갈 때마다 물통 속까지 깨끗이 씻는다. 세제는 가능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2. 물을 갈아 줄 때는 가습기 속에 물이 남아 있으면 버려야 한다. 그 물이 오염되어 공기 중에 균이 떠돌게 되면 폐로 들어가 건강에 좋지 않기 때문이다.
3. 하루에도 환기를 여러 번 시켜준다. 또 가습기를 틀어 놓을 때는 사람과 최소한 2- 3 미터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고 기관지가 약한 사람은 가능하면 침실 외에 다른 곳에 가습기를 틀어 놓고 간접 가습이 되도록 한 다음 잠을 자는 것이 좋다.
PCA
8.31~9.2
효과적이며 개별화된 진통효과와 안위 제공
건강관리시설이나 가정에서 급성과 만성 통증을 조절하는 데 이용
수술 후 절차 진통과 분만외상 그리고 암 통증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킨다.
PCA체계는 주사기를 채워넣은 주사기가 들어있거나 이동 주입 펌프로 구성되어 있다. 통증감각이 일어나면 대상자가 미리 맞추어둔 소량의 일회 용량을 투여하기 위해 PCA 기구를 작동시키는 단추를 누른다. 용량이 모두 주입되면 PCA 단위에 미리 정해 좋은 폐쇄기간(보통5~10분) 동안에는 펌프가 작동하지 않아 부가적인 용량이 투여되지 않는다. 또한 펌프의 기전은 주어진 시간동안(일반적으로 매시간 때때로 4시간마다) 일정량의 진통제만 투여되도록 프로그램을 짤 수 있다.
dressing
8.31~
수술부위의 상처와 튜브배액으로 인해 감염되지 않도록 한다.
1.멸균 건식 드레싱 교환
-드레싱 교환시기에 대한 의사의 처방과 상처 소독에 대한 방법을 확인한다.
-대상자에게 시행절차를 설명하고 스크린으로 가려준다.
-상처가 노출되게 편안한 자세를 취해 주고, 상처나 멸균 물품등을 만지지 않도록 지시한다.
-외부 드레싱을 제거한다.
① 반창고를 떼는데 접착성 반창고가 사용되었다면 피부를 누르고 상처쪽으로 잡아당겨 제거한다.
털이 난 부위라면 털이 자란 방향으로 잡아 당긴다.
②일회용 장갑을 착용하고 드레싱을 조심스럽게 떼어내어 비닐봉지에 버린다. 만약 드 레싱이 건조되어 피부에 붙어 있다면 그 위를 멸균식염수로 적셔준다.
-내부 드레싱을 제거한다.
① 겸자로 내부 드레싱을 제거한다. 이때 drain이 있으면 빠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배액의 양, 유형. 냄새. 상처의 치유과정, 상처 가장자리의 적절성, 부종, 통증 등을 사정한다.
② 곡반이나 비닐붕지에 내부 드레싱을 버린다. 비닐봉지의 가장자리에 겸자의
-전
1.식이는 해도됨(검사약물 투여시는 금기)
2.금속 및 자석물질 제거
3.임산부, 체내금속성분 소지자, 밀폐공포증 환자는 금기
4.몸을 편안하게 한다
-후
특별한 주의사항은 없음, 검사약물 투여 후
오심,구토, 현기증 등
합병증이 일어날 수 있으니 발생시 연락요망 검사결과는 2-3일 후에 알게 됨을 알림
spinal cord injury5,6
mild contusion of spinal cord with compressive myelopathy.
traumatic spondylolisthesis
척추전방전위증
subluxation of Lt, facet joint 후관절
fracture of inferior articular process , Rt. L5
fracture of spinous process C4, C5
수술후 그림
5
6
Abd-pelvic MDCT
비 침투적 검사로 척추를 가로로 잘라 볼 수 있고 척추뼈 외에 주위의 힘줄이나 디스크의 모양까지 볼 수 있는 검사이다.
-전
1.최소 6시간 이상 금식
2.조영제 사용으로 과민반응 일어날 수 있음(어지러움, 두드러기8.31, 쇼크)
-후
1.검사약물 투여로 인해 메스꺼움이 있을 수 있음.
2.검사약물의 배설을 증진시키기위해 수분섭취를 많이 해야함을 알림
liver, biliary system ,pancreas
and spleen은 이상소견 없음.
focal pnaumonia in LLL and small amount of pleural effusion in Lt lower chest.
4) 각종처치(각종튜브를 포함하여)
유형
사용 기간
(duration)
사용 목적
간호관리(이론적)
사례환자에게 적용시 나타난 부작용 및 문제점
P-brace
8.31~
머리와 목뼈의 회선, 굴곡을 제한하는 경우에 중등도 환자에 사용하는 보조기
-경추를 일정 위치로 고정
의사의 지시없이 제거하지 않으며 목을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항상 몸과 목이 일자가 되도록 한다.
없음
H-vac
8.31~
수술후 상처의 분비물 배액을 하고 체내에 고여 있는 분비물을 배액하기 위함이다.
1.완전하게 흡인기를 압축하여 bag에 음압이 유지되도록 한다.
2.연 배액시 bag의 위치는 카테터 삽입 위치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한다.
3.운동이 필요한 환자에게는 안전핀이나 집게를 사용하여 당겨지지 않도록 환의에 잘 고정한다.
4.흡인기가 가득 차면 음압이 소실되므로 필요시마다 자주 비우도록 한다.
5.갑자기 선홍색이 많은 혈액이 배액될 경우 의사에게 알린다.
6.배액량 측정시에는 cath.를 kelly나 hemostat으로 잠근 후 눈금이 있는 cup에 부어서 측정하고, 배액량이 적을 때에는 곡반에 부은 후 주사기로 재어 양을 측정한다.
7.배액량 측정 후에는 다시 음압이 유지되도록 bag을 꼭 눌러서 뚜껑을 닫고 kelly를 푼다.
8.Hemovac을 제거한 후에는 단순 드레싱을 하고 근무시마다 분비물을 관찰한다.
DVT stocking
8.31~
피부의 부종을 감소시켜 주며, 임파 순환을 촉진시켜 준다.
1.주름이 잡히지 않도록 항상 치켜 올려 팽팽하게 유지한다
2.착용시 손발톱, 반지, 시계 등에 걸리지 않도록 유의한다.
3.갑자기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는다.
4.허벅지(밴드)형이 흘러내릴 경우에는 허리밴드 또는 어깨밴드를 착용한다.
5.아침에 일어나서 착용하고 자기 전에 잠자리에서 벗을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하루 평균 8시간 정도 착용하면 된다.
humidication
8.31~
습도유지
1. 가습기를 사용할 때는 매일 물을 갈 때마다 물통 속까지 깨끗이 씻는다. 세제는 가능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2. 물을 갈아 줄 때는 가습기 속에 물이 남아 있으면 버려야 한다. 그 물이 오염되어 공기 중에 균이 떠돌게 되면 폐로 들어가 건강에 좋지 않기 때문이다.
3. 하루에도 환기를 여러 번 시켜준다. 또 가습기를 틀어 놓을 때는 사람과 최소한 2- 3 미터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고 기관지가 약한 사람은 가능하면 침실 외에 다른 곳에 가습기를 틀어 놓고 간접 가습이 되도록 한 다음 잠을 자는 것이 좋다.
PCA
8.31~9.2
효과적이며 개별화된 진통효과와 안위 제공
건강관리시설이나 가정에서 급성과 만성 통증을 조절하는 데 이용
수술 후 절차 진통과 분만외상 그리고 암 통증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킨다.
PCA체계는 주사기를 채워넣은 주사기가 들어있거나 이동 주입 펌프로 구성되어 있다. 통증감각이 일어나면 대상자가 미리 맞추어둔 소량의 일회 용량을 투여하기 위해 PCA 기구를 작동시키는 단추를 누른다. 용량이 모두 주입되면 PCA 단위에 미리 정해 좋은 폐쇄기간(보통5~10분) 동안에는 펌프가 작동하지 않아 부가적인 용량이 투여되지 않는다. 또한 펌프의 기전은 주어진 시간동안(일반적으로 매시간 때때로 4시간마다) 일정량의 진통제만 투여되도록 프로그램을 짤 수 있다.
dressing
8.31~
수술부위의 상처와 튜브배액으로 인해 감염되지 않도록 한다.
1.멸균 건식 드레싱 교환
-드레싱 교환시기에 대한 의사의 처방과 상처 소독에 대한 방법을 확인한다.
-대상자에게 시행절차를 설명하고 스크린으로 가려준다.
-상처가 노출되게 편안한 자세를 취해 주고, 상처나 멸균 물품등을 만지지 않도록 지시한다.
-외부 드레싱을 제거한다.
① 반창고를 떼는데 접착성 반창고가 사용되었다면 피부를 누르고 상처쪽으로 잡아당겨 제거한다.
털이 난 부위라면 털이 자란 방향으로 잡아 당긴다.
②일회용 장갑을 착용하고 드레싱을 조심스럽게 떼어내어 비닐봉지에 버린다. 만약 드 레싱이 건조되어 피부에 붙어 있다면 그 위를 멸균식염수로 적셔준다.
-내부 드레싱을 제거한다.
① 겸자로 내부 드레싱을 제거한다. 이때 drain이 있으면 빠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배액의 양, 유형. 냄새. 상처의 치유과정, 상처 가장자리의 적절성, 부종, 통증 등을 사정한다.
② 곡반이나 비닐붕지에 내부 드레싱을 버린다. 비닐봉지의 가장자리에 겸자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