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Antibiotics)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Penicillin 류

2. Cephalosporin 류

3. Aminoglycoside 류

4. Tetracycline 류

5. Chloramphenicol

6. Polypeptide 항생제

7. Quinolone 류

8. Erythromycin과 기타 항생물질

본문내용

m등의 혐기성균에도 유효 하다.
적 응 증
penicillin, erythromycin에 무효, 금기인 환자
㉠ 폐렴구균,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의 감수성 균주의 감염
㉡ Bacteroides의 장내균주를 포함하는 혐기성 박테이아의 감염
부 작 용
㉠ 위장관 - 복통, 오심, 구토, 설사, 결장염
㉡ 과민반응 - 반점상구진, 담마진, anaphylaxis
㉢ 다양한 홍반, Stevens - Johnson 증후군
㉣ 간장 - 황달 및 간장기능 검사치의 이상
㉤ 혈액 - 백혈구감소증, 호산구증다증, 무과립구증, 혈소판감소증
β-lactamase에 저항성이 있는 그람양성구균에 강한 작용을 나타낸다.
적 응 증
다른 항생제로 치료되지 않는 포도상구균성 감염, 골수염, 폐렴, 연조직감 염, 패혈증, 소장결장염, 항생제에 의한 위막성 대장염 치료
부 작 용
발열, 오한, 실신, 두드러기, 오심, 구토, 호흡곤란, 구갈, 식욕감퇴
약물상호작용
aminoglycoside와 병용시 신독성, 이독성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Vancomycin
Fosfomycin(Fosfocin)
적 응 증
Pseudomonas, Serratia, Proteus, β-lactamase 산생 포도상구균 감염증
부 작 용
shock, SGOT, SGPT의 상승, 단백뇨, BUN상승, 부종, 구내염, 구역, 구 토, 설사, 발진,소양감
참고문헌
제5판 임상약리학 (김옥녀 - 수문사, 1999) P299~335
최신약리학 (은종영 외 3인 - 현문사, 2000) P 326~ 343
http://www.kimsonline.co.kr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2.12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67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